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43

Eurasian Steppe(유라시아 스텝/ 유라시아 대초원) Eurasian Steppe(유라시아 스텝/ 유라시아 대초원) https://en.wikipedia.org/wiki/Eurasian_Steppe#Dzungarian_Narrowing ** 분류 1) Western Steppe= Pontic–Caspian steppe https://en.wikipedia.org/wiki/Pontic%E2%80%93Caspian_steppe The steppe extends roughly from the Dniepr River to the Ural River 2) Ural–Caspian Narrowing * The Ural Mountains extend south to a point about 650 km (400 mi) northeast of the Caspian Sea... 2022. 11. 8.
< Eastern Turkic Khaganate > 위키백과 *** Eastern Turkic Khaganate https://en.wikipedia.org/wiki/Eastern_Turkic_Khaganate The Eastern Turkic Khaganate (Chinese: 東突厥; pinyin: Dōng tūjué) was a Turkic khaganate formed as a result of the internecine wars in the beginning of the 7th century (AD 593–603) after the Göktürk Khaganate (founded in the 6th century in Mongolia by the Ashina clan) had splintered into two polities – Eastern and .. 2022. 11. 8.
< Cumans > 위키백과 Cumans https://en.wikipedia.org/wiki/Cumans - 쿠만족과 킵차크족의 관계와 기원은 불확실하다. 그들은 때때로 다른 이름의 같은 민족으로 여겨지기도 하는데, 서양에서는 쿠만, 동양에서는 킵차크라고 불렸다. * The Cumans (or Kumans),[2] also known as Polovtsians or Polovtsy (plural only, from the Russian exonym Половцы),[3] were a Turkic[4][5][6][2] nomadic people comprising the western branch of the Cuman–Kipchak confederation. 폴로프테시안이나 폴로프츠시로도 알려진 Cumans(or Kumans)은 .. 2022. 11. 8.
< Buyid dynasty 934-1062 > 위키백과 Buyid dynasty 934-1062 https://en.wikipedia.org/wiki/Buyid_dynasty ** Buyid dynasty 간단 정리 * Buyid 왕조 또는 Buyids는 Daylamite 기원의 Shia Iranian 왕조입니다. * Buyid 왕조는 934 년 Fars를 정복하고 Shiraz를 수도로 만든 'Ali ibn Buya'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 943년 압바스 칼리프를 속국으로 만들었다. * 1055년 Buyids of Iraq, 셀주크에 멸망 ** Buyid dynasty 의 주요 three principalities (1) Shiraz (Buyids of Fars, 934–1062) (2) Ray (Buyids of Jibal, 943–1029) (3) .. 2022. 11. 8.
돌궐의 부족 명단 돌궐의 부족 명단 https://en.wikipedia.org/wiki/Basmyl 1.Bäčänäk; Pechenegs 2.Qifčāk; Kipchaks 3.Oğuz; Oghuz Turks 4.Yemēk; Yemek 5.Bašğirt; Bashkirs(바시키르) 6.Basmyl; Basmyl 7.Qāi; Kumo Xi(해족, 고막해) 8.Yabāqu; Yabaku 9.Tatār; Tatars 10.Qirqiz; Yenisei Kyrgyz 1. 오구즈 Oghuz 2. 위구르 Uygur 3. 튈레스 Tiele 4. 튀.. 2022. 11. 8.
오스만 제국의 영토 상실 ** 오스만 제국의 영토 상실 1) 1811년 이집트의 실질적인 독립 2) 그리스 독립 전쟁으로 그리스 독립 * 1821-1829년 그리스 독립 전쟁 -> 1830년 그리스 독립 3) 제1차 발칸 전쟁 패배로 유럽의 영토를 상실 * 1912년 불가리아, 그리스, 몬테네그로 등 발칸 국가는 발칸 동맹을 맺음 -> 1912-1913 제1차 발칸 전쟁에서 오스만의 패배 -> 1913년 런던 조약으로 오스만 제국은 이스탄불을 제외한 유럽의 전 영토를 잃었다. 4) 제1차 세계 대전 패배 후 오스만 영토의 분할(아랍 지역 제외) * 1920년 세브르 조약으로 오스만 영토를 분할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Treaty_of_S%C3%A8vres_map_partitioni.. 2022. 11. 8.
<이집트의 역사 다이제스트 100> 정리 *** 이집트의 역사 다이제스트 100 *** by bluebird 2019년 1월 9일 정리 완결 * 기원전 5000-3300 이집트 나일 문명의 태동 * 기원전 3200 고대 이집트 문자 히에로글리프 출현 ** 간단 정리: 고왕국 시대(라)-> 중왕국 이후(아몬-라) 1. 이집트의 주요신(이집트 신은 800만) * 멤피스: 프타 * 헬리오폴리스: 라(태양신) * 테베(= 룩소르): 아멘(= 아몬) 2. 고왕국(피라미드 건설- 3왕조, 4왕조)/ 제2중간기의 15, 16왕조는 힉소스 왕조/ 신왕국(미라 유행, 왕가의 계곡 건설/ 투트모세3세,이크나톤, 람세스3세)/ 제3중간기(25왕조는 누비아 왕조)/ 말기왕조(27왕조, 3.. 2022. 11. 8.
아리안(Aryan)과 인도유럽어족 10갈래 *** 아리안(Aryan)과 인도유럽어족 10갈래 ** Aryan * aryan은 산스크리트어 arya(noble)의 차용어이다. * 최근 학계에서는 아리안은 대부분의 경우에 Indo-Iranian과 Indo-European으로 대체 되었고, 아리안은 인도어와 그말을 쓰는 사람들에 위한 Indo-Aryan이란 용어로 제한되어 사용된다. -> 아리안은 본래 인도-이란인을 가리키는 표현이다. ** 인도-유럽어족: 10갈래 (1) 아나톨리아어파 (사어): 고대 아나톨리아에서 사용, 히타이트어 (2) 사템어 1. 발트슬라브어파 a) 슬라브어파: 슬라브인들이 사용 b) 발트어파: 발트해 동남지역에서 사용 2. 인도이란어파: 세그룹으로 나누어짐(Indo-Aryan, Iranian, Nuristani) 3. 아르메니.. 2022. 11. 8.
<이야기 인도사>중에서 남인도 시대 이야기 인도사 중에서 * 남인도 지역= 데칸 중심의 지역+ 타밀 지역 * 남인도 지역의 주민은 대부분 드라비다(타밀)인 이었다. ** 기원전 2세기경 타밀 지역의 세 왕국 * 촐라(Chola dynasty/ 300s BCE–1279 CE). 체라(Chera/ c. 3rd century BCE–12th century CE), 판드야(Pandyan Empire/ 300 BCE–1650 CE) -> 팔라바 왕조(Pallava dynasty/ 275 CE–897 CE) ** 타밀 지역의 세 왕조 (1) 판드야 왕조 * 인도 최남단에서 남동쪽 지역에 이르는 영토를 다스렸으며 수도는 마두라이였다. (2) 촐라 왕조 * 판드야 왕국의 북동쪽 페나르와 벨라 강 사이에 위치했다. (.. 2022. 11. 8.
인도-스키타이, 파르티아 제국, 그리스-박트리아 왕국, 인도-파르티아 왕국 인도-스키타이, 파르티아 제국, 그리스-박트리아 왕국, 인도-파르티아 왕국 ** 인도-스키타이(BC 150- AD 400) -> 4세기경 굽타 제국에 멸망 * 인도-스키타이란 기원전 2세기 중반부터 기원후 4세기까지 중앙아시아와 북남아시아 지방으로 이동한 스키타이(사카)를 말한다. * 남아시아에서 첫 왕인 Maues(Moga)는 기원전 1세기에 간다라(아프가니스탄)에 사카의 권력을 확립하였고, 점차 북서 인도로 세력을 확장하였다. 북서 인도에서 사카의 통치는 395년 굽타 제국의 인도 황제 찬드라굽타 2세에 패배한 서부 총독령 루드라심바 3세에 끝났다. 사카 통치자의 권력은 인도-스키타이가 사타바하나 왕조의 남인도 황제 구타미푸트라 사타카미에 패배한 후 2세기 경부터 기울기 시작했다. 그후 사카왕국은 4.. 2022. 11. 8.
< 인도-스키타이 > 위키백과 Indo-Scythians(c. 150 BCE–400 CE) https://en.wikipedia.org/wiki/Indo-Scythians Indo-Scythians (also called Indo-Sakas) were a group of nomadic Iranian peoples of Saka and Scythian origin who migrated southward into western and northern South Asia (Sogdiana, Bactria, Arachosia, Gandhara, Sindh, Kashmir, Punjab, Haryana, Uttar Pradesh, Bihar, Rajasthan, Gujarat and Maharashtra) from the middle of .. 2022. 11. 8.
<종횡무진 동양사>중 인도사 정리 *** 종횡무진 동양사(인도) *** + 이야기 인도사 by 블루버드 ** 기원전 3500년-2000년경 인더스 문명 발생 * 기원전 3000년경, 청동기 문화 시작(주로 동기, 청동기는 미약) * 모헨조다로, 하라파 번성 ** 기원전 1500년경(통세계사는 기원전 2000년경) 아리아인이 인도 펀자브 지방을 침략하면서 인더스 문명 파괴 * 철기 유목민족인 아리아인이 청동 농경민족인 드라비다인을 정복 * 카스트 제도(노골적인 신분차별 정책) 실시: 철저한 계급 사회 a) 브라만(사제계급, 종교의식 담당), 크샤트리아(귀족과 정치적 지배층, 군인계급), 바이샤(농업이나 공업에 종사하는 평민), 수드라(노예계급) b) 상위 세 계급은 아리아인, 원주민은 모두 수드라. * 기원.. 2022. 11. 8.
Languages of Africa Languages of Africa https://en.wikipedia.org/wiki/Languages_of_Africa https://en.wikipedia.org/wiki/Languages_of_Africa#/media/File:Map_of_African_language_families.svg 1. 아프리카아시아어족(Afroasiatic) 2. 나일사하라어족(Nilo-Saharan) 3. 니제르콩고어족(Niger–Congo) * 반투어군(Bantu) 4. 코이산제어(Khoisan) 5. 인도유럽어족(Indo-European) 6. 오스트로네시아어족(Austronesian) 2022. 11. 8.
라틴 아메리카 역사 방통대 강의 ** 방통대 강의- 고대문명에서 미국의 라티노까지 - 2019년 4월 30일 완강 - 수 많은 사회가 엮어내는 하나의 세계 ** 주제 1. 오랜 역사를 가진 하나의 세계로서 메소아메리카를 이해한다. 2. 그 세계의 일부로서 아스테카와 마야를 이해한다. ** 메소아메리카 * 지리적 준거점: 중부아메리카 * 현재의 멕시코 중부지역 이남으로 과테말라, 온두라스, 엘살바도르, 니카라과 등 중앙아메리카에 걸친 지역 * 확장된 의미 : 16세기 초 이전 이 지역에서 발달하여 현재까지 그 일부가 계승되고 있는 토착 문화 ** 잘못 부른 이름 인디오 * 인디오: 16세기 초 스페인 사람들이 부르기 시작- 인도인이라는 뜻의 스페인어 * 원주민 * 아스테카인, 사포테카인, 믹스테카인, .. 2022. 11. 8.
<라틴 아메리카 역사 다이제스트 100> 정리 *** 라틴 아메리카 역사 다이제스트 100 - 2019년 1월 24일 정리 완료 > ** 메소 아메리카 문명 간단 정리 (1) 멕시코만 부위: 기원전 12세기-서기 2세기 올멕 문명 (2) 멕시코 남부, 유카탄 반도 부위: 기원전 6세기-서기 1541년 마야 문명 (3) 멕시코 중부 부위: 2세기-700년 테오티와칸 문명-> 7세기-12세기 톨텍 문명-> 1248-1521 아즈텍 문명 ** 기원전 12세기-서기 2세기경 올멕 문명(혹은 기원전 1200년경-기원전후) * 메소아메리카 최초의 문명 * 멕시코 동쪽의 멕시코 만을 중심으로 발달 ** 서기 2세기경-700년 테오티와칸 문명(Teotihuacan/ 혹은 기원전후-7세기경) * 전성기인 서기 350-650년경 인구가.. 2022. 11. 8.
태국의 간단 역사 태국의 간단 역사 1. 6-11세기 드바라바티(몬족) 2. 450-1388 Lavo(몬족/ 드바라바티의 도시국가 중 하나) 3. Lavo Kingdom의 후속 왕국 1) 8세기-1292 Hariphunchai(몬족) 2022. 11. 8.
미얀마의 간단 역사 *** 미얀마의 역사 *** ** 미얀마 이주민 기원전 3000년경 몬족-> 기원전 2세기경 퓨족-> 7세기경 버마족-> 10세기 샨족(파간 왕국의 속국)-> 13세기 샨족( Shan states) ** 미얀마의 역사 간단 정리 1) 기원전 3000년경 몬족이 버마 남부에 이주 -> 기원전 4세기 몬족이 미얀마 남부에 Thaton Kingdom 건국 2) 기원전 2세기경 퓨족이 윈난으로부터 이라와디 계곡에 와서 도시국가를 건설 3) 7세기 버마족이 윈난의 남조로부터 이라와디 계곡으로 이주하여 소국들을 세웠다. 4) 9세기 윈난의 남조의 침략으로 퓨족 국가가 쇠퇴 5) 849년 파간 왕국의 성립 * 849년 파간 왕국이 실권 장악 * 1044년 파간이 미얀마 전체를 통일 * 1057년 몬족의 Thaton .. 2022. 11. 8.
몬족(Mon people) *** 몬족(Mon people) 1) 기원전 3000년경 중국에서 인도차이나로 이주 시작 2) 태국 중부에 Dvaravati * 1000년 이후 북쪽에서 이동하는 타이족과 동쪽의 크메르족 침략의 압력을 받아 Dvaravati의 몬족은 lower Burma로 대거 이주하고 1000년경 Lavo Kingdom(450-1388)이 차지 3) 태국 북부에 하리푼차이(8세기-1292) * 1292년 란나 왕국(1292-1775)이 하리푼차이를 정복 4) lower Burma에 Thaton Kingdom(기원전 4세기–1057) * 1057년 버간이 Thaton Kingdom을 정복 cf) Dvaravati 6-11세기 : 태국 중부에 있었던 도시국가의 네트워크 cf) Lavo Kingdom(450-1388) *.. 2022. 11. 8.
동남아시아 대륙부 민족 정리 * 기원전 3000년경 몬족, 크메르족(둘다 오스트로아시아 어족) * 기원전 1000년경 오스트로네시아족 * 기원전 3세기 킨족(비엣족/ 오스트로아시아 어족) * 기원전 2세기 퓨족(티베트버마어파) * 7세기 버마족(티베트버마어파) * 8-10세기 따이족 Tai(타이족 Thai, 샨족, 라오족/ 크라다이어족) 1) 미얀마 * 인도차이나 반도에서 미얀마에서만 중국-티베트 어족이 다수를 차지한다 - 미얀마인은 중국인과 티베트인의 혼혈 인종으로 본다 * 기원전 3000년경 몬족-> 기원전 2세기경 퓨족(버마족에 동화)-> 7세기경 버마족-> 10세기 샨족 2) 미얀마를 제외한 인도차이나 반도 나머지 나라는 오.. 2022. 11. 8.
수메르의 역사 간단 정리 by bluebird 수메르의 역사 간단 정리 by bluebird(19.11.21) - 모든 연대는 BC이다. - 수메르 약 4500-1900년? 1. 바빌로니아, 앗시리아 * 바빌로니아(메소포타미아의 중남부)= 북반부 아카드+ 남반부 수메르 * 앗시리아(메소포타미아의 북부) - 본래 아시리아의 의미는 티그리스 강 상류 지역을 부르는 말이었으며, BC 2000년 경에 세워진 고대 도시이자 수도였던 아수르(Assur)에서 유래한 명칭이다. 2. 크게 시대 구분 = 도시 국가 시대(3,000-1,600)/ 영토 국가 시대(1,600-제1천년기 초기)/ 제국 시대(제1천년기) 1) 3,000-1,600 도시 국가 시대 * 수메르 문명이 가장 융성했던 때는 기원전 제3천년기로, 역사학자들은 통상적으로 이 1000년의 기간을 크게 .. 2022. 1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