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앙유라시아사

< Turkic migration > 위키백과

by iamcool 2022. 11. 9.
반응형

Turkic migration

https://en.wikipedia.org/wiki/Turkic_migration

 

Turkic migration refers to the spread of Turkic tribes and Turkic languages across Eurasia and between the 6th and 11th centuries. In the 6th century, the Göktürks overthrew the Rouran Khaganate in what is now Mongolia and expanded in all directions, spreading Turkic culture throughout the Eurasian steppes. Although Göktürk empires came to an end in the 8th century, they were succeeded by numerous Turkic empires such as the Uyghur Khaganate, Kara-Khanid Khanate, Khazars, and the Cumans. Some Turks eventually settled down into a sedentary society such as the Qocho and Ganzhou Uyghurs. The Seljuq dynasty settled in Anatolia starting in the 11th century, resulting in permanent Turkic settlement and presence there. Modern nations with large Turkic populations include Kyrgyzstan, Turkmenistan, Uzbekistan and Kazakhstan, and Turkic populations also exist within other nations, such as Chuvashia, Bashkortostan, Tatarstan, the Crimean Tatars, the Uyghurs in China, and the Sakha Republic Siberia.

 

Turkic migration6~11세기 사이에 유라시아를 건너 투크크계 부족과 투르크어의 확산을 말한다. 6세기에 괵튀르크족은 지금의 몽골에서 유연을 전복시키고 사방으로 확장하여 투르크 문화를 유라시아 스텝으로 전파하였다. 돌궐 제국은 8세기에 종말을 고했지만, 위구르 제국, 카라한조, 하자르, 쿠만 같은 수많은 투르크 제국들에 의해 계승되었다. 일부 Turks는 결국 Qocho(고창회골)와 간수 위구르 같이 정주 사회에 정착했다. 셀주크 왕조는 11세기부터 아나톨리아에 정착하여 항구적인 투르크 정착 후 그곳에 존재하게 되었다. 투르크 인구가 많은 현대 국가로는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등이 있으며, 추바시아, 바슈코르토스탄, 타타르스탄, 크림 타타르족, 중국의 위구르족, 사하 공화국 시베리아 등 다른 나라에도 투르크계 인구가 존재한다.

 

 

< Origin theories>

 

Proposals for the homeland of the Turkic peoples and their language are far-ranging, from the Transcaspian steppe to Northeastern Asia (Manchuria).[1] According to Yunusbayev et al. (2015), genetic evidence points to an origin in the region near South Siberia and Mongolia as the "Inner Asian Homeland" of the Turkic ethnicity.[2] Similarly several linguists, including Juha Janhunen, Roger Blench and Matthew Spriggs, suggest that Mongolia is the homeland of the early Turkic language.[3] According to Robbeets, the Turkic people descend from people who lived in a region extending from present-day South Siberia and Mongolia to the West Liao River Basin (modern Manchuria).[4] Authors Joo-Yup Lee and Shuntu Kuang analyzed 10 years of genetic research on Turkic people and compiled scholarly information about Turkic origins, and said that the early and medieval Turks were a heterogeneous group and that the Turkification of Eurasia was a result of language diffusion, not a migration of a homogeneous population.

 

투르크 민족의 homeland와 그들의 언어를 위한 제안은, Transcaspian steppe(카스피해 동쪽 지역)에서 북동 아시아(만주)에 이르는 광범위한 것이다.[1] 유누스바예프 외 (2015)에 따르면 유전적 증거는 남시베리아와 몽골 인근 지역의 기원을 투르크 민족의 "Inner Asian Homeland" 으로 지목하고 있다.[2] 이와 비슷하게 주하 얀후넨, 로저 블렌치, 매튜 스프릭스 등 몇몇 언어학자들은 몽골이 초기 투르크어의 본고장임을 시사한다.[3] 롭베츠에 따르면 투르크 민족은 현재의 남시베리아와 몽골에서 West Liao River Basin(현재 만주)에 이르는 지역에 살던 사람들로부터 기원한다.[4] 작가 이주엽과 쿤투 캉은 투르크계 민족에 대한 10년간의 유전자 연구를 분석하고 투르크계 기원에 대한 학구적인 정보를 수집했으며, 초기 및 중세 Turks는 이질적인 집단이었고, 유라시아의 투르크화는 동일한 집단의 이주가 아닌 언어 확산의 결과라고 말했다.

 

Hunnic theory

 

The Huns were a nomadic people who lived in Central Asia, the Caucasus, and Eastern Europe, between the 4th and 6th century AD. According to European tradition, they were first reported living east of the Volga River, in an area that was part of Scythia at the time; the Huns' arrival is associated with the migration westward of an Indo-Iranian people, the Alans.[6] The Huns have often been considered a Turkic people, and sometimes associated with the Xiongnu. While in Europe, the Huns incorporated others, such as Goths, Slavs, and Alans.

 

훈족은 4세기에서 6세기 사이에 중앙아시아, 코카서스, 동유럽에 살았던 유목민족이었다. 유럽의 전통에 따르면, 그들은 처음에 그 당시 스키타이의 일부였던 볼가 강 동쪽 지역에 살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훈족의 도착은 인도-이란계 민족인 알란족의 서쪽으로 이주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6] 훈족은 종종 투르크 민족으로 여겨져 왔고, 때로는 흉노와 연관되기도 했다. 유럽에 있는 동안 훈족은 고트족, 슬라브족, 알란족과 같은 다른 민족과 결합되었다.

 

The Huns were not literate (according to Procopius[7]) and left nothing linguistic with which to identify them except their names,[7] which derive from Germanic, Iranian, Turkic, unknown and a mixture.[8] Some, such as Ultinčur and Alpilčur, are like Turkish names ending in -čor, Pecheneg names in -tzour and Kirghiz names in -čoro. Names ending in -gur, such as Utigur and Onogur, and -gir, such as Ultingir, are like Turkish names of the same endings.

 

훈족은 문맹(Procopius[7] 따르면)이어서,[7] 게르만어, 이란어, 투르크어, 무명어, 혼합물에서 유래한 이름 외에는 그들을 식별할 수 있는 언어적 어떤 것도 남기지 않았다.[8] 울틴츄르와 알필츄르와 같은 몇몇은 -chor로 끝나는 투르크식 이름, -tzour로 끝나는 페체네그식 이름, -choro로 끝나는 키르기즈식 이름 같은 것이다. UtigurOnogur-gur로 끝나는 이름과 Ultingir와 같이 -gir로 끝나는 이름들은 같은 끝말(ending)을 갖는 투르크식 이름들이다.

 

The actual identity of the Huns is still debated. Concerning the cultural genesis of the Huns,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of China asserts: "Beginning in about the eighth century BC, throughout inner Asia horse-riding pastoral communities appeared, giving origin to warrior societies." These were part of a larger belt of "equestrian pastoral peoples" stretching from the Black Sea to Mongolia, and known to the Greeks as the Scythians.[9]

 

훈족의 실체는 여전히 논의되고 있다. 훈족의 문화적 기원에 대해 중국 케임브리지 고대사는 "기원전 8세기경에 시작되어 중앙아시아의 기마 목축 공동체가 나타나게 되어서, 전사 사회에 기원을 제공했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흑해에서 몽골에 이르는 "기마 목축인들"larger belt의 일부가 되었고, 그리스인들에게 스키타이족으로 알려져 있다.[9]

 

 

< Göktürk wave (5th-8th c.)>

 

1) Tiele and Turk[edit]

 

The earliest Turks mentioned in textual sources are the Tiele people (鐵勒), a transcription of the endonym *Tegreg "[People of the] Carts",[10] recorded by the Chinese in the 6th century. According to the New Book of Tang, Tiele is just a mistaken form of Chile/Gaoche, who themselves are just the Xiongnu branch of the Dingling people. Many scholars believe the Di, Dili, Dingling, and later Tujue mentioned in textual sources are all just Chinese transcriptions of the same Turkic word.[11

 

텍스트 출처에서 언급된 최초의 Turks6세기 중국인들이 기록한 토착지명 *Tegreg "[People of the Carts"[10]의 필사본인 Tiele people (鐵勒)이다. 당나라 신서에 따르면, Tiele는 그들 자신이 단지 정령의 흉노 브랜치라는 Chile/Gaoche의 잘못된 형태일 뿐이다. 많은 학자들은 텍스트 출처에 언급된 Di, Dili, Dingling과 나중에 Tujue가 같은 투르크계의 중국식 표기일 뿐이라고 믿고 있다.

 

The first reference to Türk or Türküt appears in 6th century Chinese sources as the transcription Tūjué (突厥). The earliest evidence of Turkic languages and the use of "Turk" as an endonym comes from the Orkhon inscriptions of the Göktürks (English: 'Celestial Turks') in the early 8th century. Many groups speaking 'Turkic' languages never adopted the name "Turk" for their own identity. Among the peoples that came under Göktürk dominance and adopted its political culture and lingua-franca, the name "Turk" wasn't always the preferred identity. Turk therefore did not apply to all Turkic peoples at the time, but only referred to the Eastern Turkic Khaganate, while the Western Turkic Khaganate and Tiele used their own tribal names. Of the Tiele, the Book of Sui mentions only tribes which were not part a part of the First Turkic Khaganate.[12] There wasn't a unified expansion of Turkic tribes. Peripheral Turkic peoples in the Göktürk Empire like the Bulgars and even central ones like the Oghuz and Karluks migrated autonomously with migrating traders, soldiers and townspeople.

 

Türk 또는 Türküt에 대한 첫 번째 언급은 6세기 중국 출처에 Tujue(突厥/ 돌궐)이라는 필사본에서 나타난다. 투르크어와 토착지명으로서 Turk의 사용에 대한 최초의 증거는 8세기 초 Gokturks(영어: 'Celestial Turks)'의 오르콘 비문(Orkhon)에서 나온다. 'Turkic' languages를 사용하는 많은 그룹들은 그들 자신의 정체성을 위해 "Turk"라는 이름을 결코 채택하지 않았다. Gokturks의 지배하에 들어와 그 정치문화와 공통어를 채택한 민족들 중에서, "Turks"라는 이름이 항상 선호되는 정체성은 아니었다. 따라서 Turk는 그 당시 모든 투르크 민족에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동동궐에 국한되었으며, 서돌궐과 Tiele는 그들 자신의 부족 이름을 사용했다. Tiele , the Book of Sui는 제1돌궐 제국의 일부가 아니었던 부족만을 언급하였다.[12] 투르크 부족의 통일된 확장은 없었다. 불가르 같은 돌궐제국의 변경 투르크계 민족과 오구즈, 카를룩 같은 중심 민족 조차도 이주하는 상인, 군인, 그리고 마을 사람들과 함께 자율적으로 이주했다.

 

The precise date of the initial expansion from the early homeland remains unknown. The first state known as "Turk", giving its name to the many states and peoples afterwards, was that of the Göktürks (gök = 'blue' or 'celestial', however in this context "gök" refers to the direction "east". Therefore, Gokturks are the Eastern Turks) in the 6th century. In 439, the head of the Ashina clan led his people from Lijian (modern Zhelaizhai) to the Rouran seeking inclusion in their confederacy and protection from China. His tribe consisted of famed metal smiths and was granted land near a mountain quarry that looked like a helmet, from which they got their name Turk/Tujue 突厥.[citation needed] In 546, the leader of the Ashina, Bumin, aided the Rouran in putting down a Tiele revolt. Bumin requested a Rouran princess for his service but was denied, after which he declared independence. In 551, Bumin declared himself Khagan and married Princess Changle from Western Wei. He then dealt a serious blow to the Rouran Khaganate the next year, but died soon after. His sons, Issik Qaghan and Muqan Qaghan, continued to wage war on the Rouran, finishing them off in 554. By 568, their territory had reached the edges of the Byzantine Empire, where the Avars, possibly related to the Rouran in some fashion, escaped.[13] In 581, Taspar Qaghan died and the khaganate entered a civil war that resulted in two separate Turkic factions. The Eastern Khaganate was defeated by the Tang dynasty in 630 while the Western Khaganate fell to the Tang in 657. In 682, Ilterish Qaghan rebelled against the Tang and founded the Second Turkic Khaganate, which fell to the Uyghurs in 744.

 

early homeland에서 처음 확장된 정확한 날짜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이후 많은 나라와 민족에게 이름을 붙인 'Turk'로 알려진 첫 번째 나라는 6세기의 Gokturks(괴크 = '파란색' 또는 '천체'였지만, 이 맥락에서 '괴크''동쪽' 방향을 가리킨다. 따라서 Gokturks는 동돌궐이다) 이다. 439년 아시나 가문의 수장이 리젠(현대 젤라이자이/ 간쑤성에 위치)에서 유연으로 백성들을 이끌고 연합군에 편입하고 중국으로부터의 보호를 요청했다. 그의 부족은 유명한 금속세공사로 구성되었고, 헬멧처럼 생긴 산 채석장 근처의 토지를 하사받았고, 거기서 Turk/Tujue 突厥(돌궐)이라는 이름을 얻었다.[citation needed] 546년 아시나의 지도자 부민은 유연이 Tiele의 반란을 진압하는 것을 도왔다. 부민은 봉사의 댓가로 유연 공주를 요청했으나 거절당했고, 그 후 독립을 선언했다. 551년 부민은 자신을 카간이라고 선언하고 서위 출신의 장레 공주와 결혼했다. 그 후 이듬해 유연에게 심각한 타격을 입혔으나 곧 사망하였다.. 그의 아들 이시크 카한과 무칸 카한은 유연과 계속 전쟁을 해서 554년에 끝마쳤다. 568년이 되자 그들의 영토는 어떤 식으로든 유연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는 아바르가 탈출한 비잔틴 제국의 가장자리에 이르렀다.[13] 581년 타스파르 카한은 죽고 칸국은 내전에 돌입하여 두 개의 분리된 투르크 파벌을 낳았다. 동돌궐은 630년 당나라에 패했고 서돌궐은 657년 당나라에 패했다. 682년 일테리쉬 카한은 당나라에 반란을 일으켜 제2 돌궐국을 건설했으나, 744년 위구르족에게 함락되었다.

 

2) Bulgar[edit]

 

The Bulgars, also known as the Onogur-Bulgars or Onogundurs, arrived in the Kuban steppe zone sometime during the 5th century. By the 7th century, they were under the rule of the Avars, who they revolted against in 635 under the leadership of Kubrat. Prior to this, Kubrat had made an alliance with Heraclius of the Byzantine Empire. He was baptized in 619. Kubrat died in the 660s and his territory, Old Great Bulgaria, was divided between his sons. Two of them were incorporated by the Khazars, one headed to Pannonia, and one became a subject of the Byzantines. The Bulgars in Pannonia revolted against the Pannonian Avars and migrated to Thessalonika by 679. There they formed the First Bulgarian Empire.[15]

 

Onogur-Bulgars 혹은 Onogundurs라고 알려진 불가르족은 5세기 중 쿠반 스텝(흑해 북동쪽에 위치) 지대에 도착했다. 7세기에 이르러 그들은 아바르의 지배하에 있었는데, 635년 쿠브라트의 지휘 아래 반란을 일으켰다. 이에 앞서 쿠브라트는 비잔틴 제국의 헤라클리우스와 동맹을 맺은 바 있다. 그는 619년에 세례를 받았다. 쿠브라트는 660년대에 사망했고 그의 영토인 고대 대 불가리아는 그의 아들들 사이에서 분열되었다. 그 중 두 명은 하자르에 의해 편입되었고, 한 명은 판노니아로 향했으며, 한 명은 비잔틴의 신하가 되었다. 판노니아에 있는 불가르족은 파노니아 아바르에 반란을 일으키고 679년까지 테살로니카로 이주했다. 그곳에서 그들은 제1 불가리아 제국을 형성했다.

 

3) Khazar[edit]

 

The origin of the Khazars is unclear. Some believe they were originally part of the Uyghurs, some of whom migrated west prior to 555. According to Al-Masudi, the Khazars were called Sabirs in Turkic. Some believe the Khazars were founded by Irbis Seguy, the penultimate ruler of the Western Turkic Khaganate, since the Hudud al-'Alam says the Khazar king descended from the Ansa, which has been interpreted as Ashina. By the mid-7th century, the Khazars were located in the North Caucasus, where they fought against the Umayyads constantly.[16]

 

하자르의 기원은 불분명하다. 어떤이는 그들이 원래 555년 이전에 서쪽으로 이주한 위구르족의 일부였다고 믿고 있다. 알 마수디에 따르면, 하자르는 투르크어로 Sabirs(사비르)라고 불렸다. 일부 사람들은 후두드 알 알알람이 카자르 왕이 아시나로 해석되는 Ansa로부터 유래되었다고 말했기 때문에 하자르가 서돌궐의 the penultimate ruler(끝에서 두번째 통치자)인 이르비스 세구이에 의해 세워졌다고 믿고 있다. 7세기 중반까지 하자르는 북부 코카서스에 위치하여 끊임없이 우마이야에 대항하여 싸웠다

 

 

4) Kyrgyz[edit]

 

According to the Book of Tang, the Yenisei Kyrgyz were tall, red haired, blue eyed, and had ruddy faces. It also notes that Kyrgyz women outnumbered men, both men and women wore tattoos, and they made weapons which they gave to the Turks. They practiced agriculture but did not grow fruits. The Kyrgyz lived west of Lake Baikal and east of the Karluks. According to the Book of Sui, the Kyrgyz chaffed at the domination of the First Turkic Khaganate. The Uyghur Khaganate also made war on the Kyrgyz and cut them off from trade with China, which the Uyghurs monopolized. As a result, the Kyrgyz turned to other channels of trade such as with the Tibetans, Arabs, and Karluks. From 820 onward, the Kyrgyz were constantly at war with the Uyghurs, until 840, when the Uyghur Khaganate was dismantled. Although the Kyrgyz managed to occupy some of the Uyghur land, they had no great effect on the geopolitical configuration around them. The Chinese paid no heed to them other than to award them with some titles and reasoned that since the Uyghurs were no longer in power, there was no reason to maintain relations with the Kyrgyz any longer. The Kyrgyz themselves seemed to lack any interest in occupying the former territory of the Uyghurs in the east. By 924, the Khitans had occupied Otuken in the territory of the former Uyghur Khaganate.[17

 

당서에 따르면 예니세이 키르기스인들은 키가 크고, 머리가 빨갛고, 눈이 파랗고, 얼굴이 거칠었다. 또한 키르기스 여성들이 남성들보다 수적으로 우세했고, 남성과 여성 모두 문신을 했고, 그들이 Turks에게 준 무기를 만들었다고 언급하고 있다. 그들은 농업을 했지만 과일은 재배하지 않았다. 키르기스인들은 바이칼 호수의 서쪽과 칼루크족의 동쪽에 살았다. 수서에 따르면 키르기스스탄은 제1 돌궐제국의 지배를 비웃었다. 위구르 제국은 키르기스와 전쟁을 벌여 중국과의 무역을 단절시키고, 위구르족이 무역을 독점했다. 그 결과 키르기스는 티베트인, 아랍인, 카를룩인 등과 같은 무역의 다른 통로로 눈을 돌렸다. 820년부터 840년까지 키르기스는 위구르족과 끊임없이 전쟁을 벌였고, 이때(840) 위구르 카가나테가 해체되었다. 비록 키르기스가 위구르 땅의 일부를 차지했지만 주변의 지정학적 구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중국인들은 그들에게 어떤 칭호를 수여하는 것 외에는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고, 위구르족이 더 이상 집권하지 않았기 때문에 더 이상 키르기스와의 관계를 유지할 이유가 없다고 추론했다. 키르기스인들 자신에게는 동방의 옛 위구르족 영토를 점령하는 데 아무런 관심이 없는 것 같았다. 924년 즈음에 Kitans은 옛 위구르 카간국의 영토에 있는 오투켄(1돌궐제국과 위구르 제국의 수도)을 점령했다.[17]

 

5) Turgesh[edit]

 

In 699, the Turgesh ruler Wuzhile founded a khaganate stretching from Chach to Beshbalik. He and his successor Saqal campaigned against the Tang dynasty and their Turkic allies until 711, when the resurgent Second Turkic Khaganate crushed the Turgesh in battle. Turgesh remnants under Suluk re-established themselves in Zhetysu. Suluk was killed by one of his subordinates in 737 after he was defeated by the Umayyads. The Tang took advantage of the situation to invade Turgesh territory and took the city of Suyab. In the 760s, the Karluks drove out the Turgesh

 

699년 투르게쉬의 지배자 우질레는 차흐(현 타슈켄트)에서 베쉬발릭(현 지무싸얼현/ 신장 소재)에 이르는 칸국을 세웠다. 그와 그의 후계자 사칼은 711년까지 당 왕조와 당의 투르크 동맹국들에 대항하여 캠페인을 벌였는데, 그 때 부활한 제2 돌궐제국이 투르게쉬를 전투에서 격파했다. 술루크 휘하의 투르게쉬 잔당들이 제티수에 다시 자리를 잡았다. 술룩은 737년 우마이야에게 패한 뒤 부하 중 한 명에게 살해당했다. 당나라는 이 상황을 틈타 투르게쉬 영토를 침공하고 수야브(현 키르기스탄 소재)를 함락시켰다. 760년대에 카를룩은 투르게쉬를 몰아냈다.[18

 

6) Karluk[edit]

 

The Karluks, who take their name from the Turkic word for snow, migrated into the area of Tokharistan as early as the 7th century.[19] In 744, they participated in the Uyghur Khaganate's rise by overthrowing the Second Turkic Khaganate, but conflict with the Uyghurs forced them to migrate further west into Zhetysu. By 766, they had pushed out the Turgesh and took the Western Turkic capital of Suyab. Islam began spreading in the Karluk tribes during the 9th century. According to the Hudud al-'Alam, written in the 10th century, the Karluks were pleasant nearly civilized people who participated in agriculture as well as herding and hunting. Al-Masudi considered the Karluks to be the most beautiful people among the Turks, being tall in stature, and lordly in appearance. By the 11th century, they had integrated a considerable number of Sogdians into their population, resulting in speech that to Mahmud al-Kashgari, sounded slurred. The Karluks, Chigils, and Yagmas formed the Kara-Khanid Khanate in the 9th century, but it's unclear whether the leadership of the new polity fell to the Karluks or the Yagmas.[20

 

(snow)을 뜻하는 투르크어에서 이름을 따온 카를룩은 빠르면 7세기경 토하리스탄(현 타림분지 지역) 지역으로 이주했다.[19] 744년 제2 돌궐제국을 전복시키면서 위구르 카간국의 부상에 참여하였으나, 위구르와의 갈등으로 더 서쪽 제티수로 이주할 수밖에 없었다. 766년까지 그들은 투르게쉬를 밀어내고 서돌궐의 수도 수야브를 점령했다. 이슬람은 9세기 동안 카를룩 부족에 퍼지기 시작했다. 10세기에 쓰여진 후두드 알알람에 따르면, 카를룩은은 목축과 사냥뿐 아니라 농업에도 참여한 쾌적한 거의 문명인이었다고 한다. 알 마수디는 카를룩을 Turks 중에서 가장 아름다운 민족으로 여겼으며, 키도 크고, 용모가 당당하다고 여겼다. 11세기까지, 그들은 상당한 수의 소그디아인들을 그들의 인구에 통합시켰고, 결과적으로 마흐무드 알 카슈가리에게 비루하게 들린다는 말을 하게 되었다. 9세기에 Karluks, Chigils, Yagmas는 카라한 조를 형성했지만, 새로운 정치의 리더십이 카를룩에게 넘어갔는지 야그마족에게 넘어갔는지는 불분명하다.

 

7) Pecheneg[edit]

 

According to the Book of Sui (7th century), the Pechenegs, known as the Beiru, lived among the Tiele and were neighbors of the Onoğurs and Alans in the steppes of modern Kazakhstan and the North Caucasus. An 8th century Tibetan translation of a Uyghur account says the Pechenegs warred with the Hephthalites. The Pecheneg tribes were possibly related to the Kankalis. In the late 9th century, conflict with the Khazars drove the Pechenegs into the Pontic steppes. In the 10th century they had substantial interactions with the Byzantine Empire, who depended on them for keeping control of their neighbors. Byzantine and Muslim sources confirm that the Pechenegs had a leader, but the position was not passed down from father to son. In the 10th century, the Pechenegs came into military conflict with the Rus', and in the early 11th century, military conflict with the Oghuz Turks drove them further west across the Danube into Byzantine territory

 

<수서>(7세기)에 따르면, Beiru라고 알려진 페체네그족은 Tiele 사이에 살았으며, 현대 카자흐스탄과 캅카스 북부의 스텝지대에 있는 Onoğurs Alans의 이웃이었다. 8세기 티베트의 위구르어 기술은 페체네그족이 헤프탈인과 싸웠다고 말한다. 페체네그 부족은 아마 Kankalis(캉글리)와 관련이 있었을 것이다. 9세기 후반 하자르와의 갈등은 페체네그족을 폰틱 스텝으로 몰아넣었다. 10세기에 그들은 비잔틴 제국과 중요한 상호작용을 했는데, 비잔틴 제국은 이웃을 통제하는 데 의존했다. 비잔틴과 무슬림 소식통들은 페체네그족에게 지도자가 있었다고 확인하지만, 그 자리는 아버지로부터 아들에게로 전해지지 않았다. 10세기에는 페체네그족이 루스족과 군사적 충돌을 하게 되었고, 11세기 초에는 오구즈 투르크족과의 군사적 충돌이 다뉴브 강을 건너 비잔틴 영토로 더 서쪽으로 몰아냈다.

 

 

< Uyghur wave (8th-9th c.)>

 

1) Oghuz[edit]

 

The Oghuz Turks take their name from the Turkic word for "clan", "tribe", or "kinship". As such, Oghuz is a common appellation for many Turkic groups, such as the Toquz Oghuz (nine tribes), Sekiz Oghuz (eight tribes), and Uch Oghuz (three tribes). Oghuz has been used to refer to many different Turkic tribes, causing much confusion. For example, the ruler of the Oghuz was called the Toquz Khagan, even though there were 12 tribes instead of nine.[22] It's not certain if the Oghuz Turks were directly descended from the Toquz Oghuz. They may have been under the direct leadership of the Toquz at some point, but by the 11th century, the Oghuz were already linguistically distinct from their neighbors such as the Kipchaks and Karakhanids.[23]

 

오구즈 투르크인들은 "clan", "tribe", or "kinship"에 대한 투르크 단어로부터 그들의 이름을 취했다. 이처럼 오구즈는 토쿠즈 오구즈(9개 부족), 세키즈 오구즈(8개 부족), 우흐 오구즈(3개 부족) 등과 같은 투르크계 집단의 일반적인 명칭이다. 오구즈는 많은 다른 투르크 부족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어 많은 혼란을 야기했다. 예를 들어, 오구즈족의 통치자는 9개가 아닌 12개 부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토쿠즈 카간이라고 불렸다.[22] 오구즈 투르크족이 토쿠즈 오구즈로부터 직접 후손이 되었는지는 확실치 않다. 그들은 어느 시점에는 토쿠즈의 직접적인 지도하에 있었을지 모르지만, 11세기에 이르러서는 이미 오구즈족은 킵차크나 카라한과 같은 이웃국가들과는 언어학적으로 구별되어 있었다.[23

 

The Oghuz migration westward began with the fall of the Second Turkic Khaganate and rise of the Uyghur Khaganate in 744. Under Uyghur rule, the Oghuz leader obtained the title of "right yabgu". When they appeared in Muslim textual sources in the 9th century, they were described using the same title. The Oghuz fought a series of wars with the Pechenegs, Khalaj, Charuk, and Khazars for the steppes, emerging victorious and establishing the Oghuz Yabgu State. The Oghuz were in constant conflict with the Pechenegs and Khazars throughout the 10th century, as recorded by Muslim texts, but they also cooperated at times. In one instance, the Khazars hired the Oghuz to fight off an attack by the Alans. In 965, the Oghuz took part in a Rus' attack on the Khazars and in 985 they joined the Rus' again in attacking Volga Bulgaria. The Yabgu State of the Oghuz did not have a central leadership and there is no evidence of the Yabgu acting as a spokesman for the entire Oghuz people. By the 10th century, some Oghuz had settled in towns and converted to Islam, although many tribes still followed Tengrism.[24]

 

서쪽으로 향한 오구즈 이주는 744년 제2 돌궐제국이 몰락하고 위구르 카간국이 부상하면서 시작되었다. 위구르 통치하에서 오구즈 지도자는 "right yabgu" 라는 칭호를 얻었다. 이들이 9세기에 이슬람교 텍스트 출처에 등장했을 때, 같은 타이틀을 사용하여 기술되었다. 오구즈족은 스텝에서 the Pechenegs, Khalaj, Charuk, and Khazars 과 일련의 전쟁을 치렀고, 승리한 뒤 오구즈 야브구국을 세웠다. 오구즈족은 10세기 내내 무슬림 문헌에 기록된 대로 페체네그족과 하자르족과 끊임없이 대립하고 있었지만, 때로는 협력하기도 했다. 일례로 하자르는 알란족의 공격을 물리치기 위해 오구즈족을 고용했다. 965년 오구즈족은 루스의 하자르족 공격에 가담했고 985년 다시 볼가 불가리아를 공격하는데 루스와 함께 하기도 했다. 오구즈 야브구국에는 중앙 지도부가 없었고, 야브구가 오구즈족 전체를 대변하는 역할을 했다는 증거는 없다. 10세기 즈음 많은 부족들이 여전히 텐그리즘을 따르고 있지만, 몇몇 오구즈족들은 마을에 정착하여 이슬람교로 개종하였다.[24

 

2) Cuman Kipchak[edit]

 

The relationship and origins of the Cumans and Kipchaks is uncertain. They are sometimes considered the same people by different names: they were called Cumans in the West and Kipchaks in the East. The earliest mention of them comes from an inscription of Bayanchur Khan of the Uyghur Khaganate, which mentions the Turk-Kipchak. According to Rashid al-Din Hamadani, writing much later in the Ilkhanate, Kipchak is derived from a Turkic word which means "hollow rotted out tree". Cuman may be derived from the Turkic word qun, which means "pale" or "yellow". Some scholars associate the Cuman Kipchaks with the Kankalis.[25] The Kipchaks were next mentioned in the 9th century by Ibn Khordadbeh, who placed them next to the Toquz Oghuz, while Al-Biruni claimed that the Qun were further east of them. Habash al-Hasib al-Marwazi writes that the Qun came from the lands of Cathay which they fled from in fear of the Khitans. This may have been what the Armenian chronicler Matthew of Edessa was referring to when he recounted Pale Ones being driven out by the people of the Snakes,[26] whom Golden identified as a Mongolic or para-Mongolic people known as Qay in Arabic, Tatabï in Old Turkic, and Kumo Xi in Chinese language.

 

쿠만족과 킵차크족의 관계와 기원은 불확실하다. 그들은 때때로 다른 이름의 같은 민족으로 여겨지기도 하는데, 서양에서는 쿠만, 동양에서는 킵차크라고 불렸다. 이들에 대한 가장 초기의 언급은 Turk-Kipchak를 언급하는 위구르 카간국의 바얀추르 칸의 비문에서 나온 것이다. 라시드 알딘 하마다니에 따르면, 훨씬 나중에 일 칸국에서 쓴 글에서, 킵차크는 "하얗게 썩은 나무"를 의미하는 투르크어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쿠만은 "pale" or "yellow" 을 의미하는 투르크어 qun에서 유래된 것일 수 있다. 어떤 학자들은 쿠만 킵차크족을 칸칼리스 족과 결부시킨다.[25] 킵차크족은 9세기에 이븐 호르다드베에 의해 다시 언급되었는데, 이븐 호르다드베는 토쿠즈 오구즈의 옆에 그들을 위치시켰는데, 알비루니는 Qun이 더 동쪽이라고 주장했다. 하바시 알 하십 알 마르와지는 쿤이 키탄족을 두려워하여 도망친 캐세이 땅에서 왔다고 쓰고 있다. 이것은 에데사의 아르메니아인 연대기 작가 Matthew이 뱀의 민족에 의해 쫓겨나는 Pale Ones을 언급할 때,[26] Golden은 아랍어로 케이(Qay), 올드 투르크어로는 타타베(Tatabï),[27] 중국어로 쿠모자이(Kumo Xi)라고 알려진 a Mongolic or para-Mongolic people로 확인되었다?

 

3) Kimek[edit]

 

In the mid-9th century, the Kimeks emerged in the northern steppes stretching from Lake Balkhash in the east to the Aral Sea in the west. They were originally a minor tribe who held the title of "Shad Tutuk", derived from the Chinese military title "Dudu", but started using the title of "Yabgu" instead when remnants of the Uyghur Khaganate fled to them in 840. By the early 10th century, the Kimeks bordered the Oghuz to the south, where the Ural formed the boundary. According to the Hudud al-'Alam, written in the 10th century, the Kimeks used the title of Khagan. They were the most removed from sedentary civilization of all the Turks and had only one town within their territory. In the 11th century, the Kimeks were displaced by the Cumans.[28]

 

9세기 중반 키메크족은 동쪽의 발하시 호수에서 서쪽의 아랄 해까지 뻗어 있는 북쪽 스텝 지대에 출현했다. 이들은 원래 중국 군사 칭호인 "Dudu'에서 파생된 "Shad Tutuk‘이라는 칭호를 갖고 있던 소수 부족이었으나 840년 위구르 카간국 잔당들이 자신들에게서 도망치자 '야브구'라는 호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10세기 초까지 키메크족은 Ural 강을 경계로 남쪽의 오구즈족과 접했다. 10세기에 쓰여진 후두드 알알람에 따르면 키메크족은 카간이라는 호칭을 사용했다. 그들은 모든 Turks중에서 가장 정주문화가 없던 민족이었고, 그들의 영토 안에 오직 하나의 마을만 있었다. 11세기에 키멕크족은 쿠만족에 의해 대체되었다.[28]

 

 

< Later Turkic peoples>

 

Later Turkic peoples include the Khazars, Turkmens: either Karluks (mainly 8th century) or Oghuz Turks, Uyghurs, Yenisei Kyrgyz, Pechenegs, Cumans-Kipchaks, etc. As these peoples were founding states in the area between Mongolia and Transoxiana, they came into contact with Muslims, and most gradually adopted Islam. However, there were also some other groups of Turkic people who belonged to other religions, including Christians, Judaists, Buddhists, Manichaeans, and Zoroastrians

 

후기 투르크 민족은 하자르, 투르크멘: 즉 카를루크(주로 8세기)이나 오구즈 투르크, 위구르, 예니세이 키르기스, 페체네그스, 쿠만스-킵차크 등이다. 이 민족들이 몽골과 Transoxiana 사이의 지역에 국가를 세우고 있었기 때문에, 그들은 이슬람교도와 접촉하게 되었고, 대부분은 점차 이슬람교를 채택하게 되었다. 그러나 기독교인, 유대인, 불교인, 마니교인, 조로아스터교인 등 다른 종교에 속한 투르크 민족의 그룹도 있었다.

 

1) Turkmens[edit]

 

While the Karakhanid state remained in this territory until its conquest by Genghis Khan, the Turkmen group of tribes was formed around the core of westward Oghuz. The name "Turkmen" originally simply meant "I am Turk" in the language of the diverse tribes living between the Karakhanid and Samanid states. Thus, the ethnic consciousness among some, but not all Turkic tribes as "Turkmens" in the Islamic era came long after the fall of the non-Muslim Gokturk (and Eastern and Western) Khanates. The name "Turk" in the Islamic era became an identity that grouped Islamized Turkic tribes in contradistinction to Turkic tribes that were not Muslim (that mostly have been referred to as "Tatar"), such as the Nestorian Naiman (which became a major founding stock for the Muslim Kazakh nation) and Buddhist Tuvans. Thus the ethnonym "Turk" for the diverse Islamized Turkic tribes somehow served the same function as the name "Tajik" did for the diverse Iranian peoples who converted to Islam and adopted Persian as their lingua-franca.[citation needed] Both names first and foremost labeled Muslimness, and to a lesser extent, common language and ethnic culture.

 

카라한조가 징기스칸에 의해 정복될 때까지 이 영토에 머무르는 동안, 투르크멘 부족 집단은 서쪽으로 향하는 오구즈 중심부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Turkmen" 이라는 이름은 원래 카라한조와 사만조 사이에 살고 있는 다양한 부족들의 언어로 "나는 투르크인"이라는 뜻이었다. 이리하여 이슬람 시대에 투르크 부족 전부는 아니지만 일부에서 '투르크멘'으로서의 민족 의식이 비무슬림 괵튀르크(동과 서) 칸국이 몰락한 지 한참 후에 생겨났다. 이슬람 시대의 'Turk'라는 명칭은 네스토리안 나이만(무슬림 카자흐스탄 국가의 주요 건국 민족이 되었다)이나 Buddhist Tuvans(투바인)과 같이 이슬람인이 아닌 투르크 부족(대부분 'Tartar'로 일컬어졌던)과 대조적으로 이슬람 투르크 부족을 집대성한 정체성이 되었다. 따라서 이슬람화된 다양한 투르크 부족에 대한 민족 이름인 "Turk"는 이슬람으로 개종하여 페르시아어를 그들의 공통어로 채택한 다양한 이란계 민족들에게 "Tajik "이라는 명칭과 같은 기능을 하게 되었다.[citation needed] 두 이름 모두 무슬림이라는 꼬리표가 붙은 이름이고, 덜한 정도는 공통어와 민족 문화다.

 

Long after the departure of the Turkmens from Transoxiana towards the Karakum and Caucasus, consciousness associated with the name "Turk" still remained, as Chagatay and Timurid period Central Asia was called "Turkestan" and the Chagatay language called "Turki", even though the people only referred to themselves as "Mughals", "Sarts", "Taranchis" and "Tajiks". This name "Turk", was not commonly used by most groups of the Kypchak branch, such as the Kazakhs, although they are closely related to the Oghuz (Turkmens) and Karluks (Karakhanids, Sarts, Uyghurs). Neither did Bulgars (Kazan Tatars, Chuvash) and non-Muslim Turkic groups (Tuvans, Yakuts, Yugurs) come close to adopting the ethnonym "Turk" in its Islamic Era sense. Among the Karakhanid period Turkmen tribes rose the Atabeg Seljuq of the Kinik tribe, whose dynasty grew into a great Islamic empire stretching from India to Anatolia.

 

투르크멘이 트란스옥시아나로부터 카라쿰(투르크메니스탄에 위치)과 캅카스로 떠난 한참 후 “Turk”라는 이름에 관련된 의식은 차가타이와 티무르 시대 비록 사람들은 그들 자신을 "Mughals", "Sarts", "Taranchis" and "Tajiks"라고 불리더라도 중앙 아시아가 투르케스탄이라 불리우고, 차가타이 언어를 “Turki"로 불리움으로써 아직도 남아 있었다.

 

'Turk'라는 이름은 비록 오구즈(투르크멘)과 카를룩(Karakhanids, Sarts, Uyghurs)과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카자흐족 등 대부분의 킵차크 브랜치에서는 흔히 사용하지 않았던 이름이다. Bulgars(카잔 타타르스, 추바시)와 비무슬림 투르크 집단(투반스, 야쿠츠, 유구르스)도 이슬람 시대적 의미에 있어서 'Turk'라는 민족적 이름을 채택하기에 근접하지 못했다. 카라한조시대 중 투르크멘 부족은 키닉 부족의 아타베그 셀주크(Atabeg Seljuq)가 발흥했는데, 그의 왕조는 인도에서 아나톨리아에 이르는 거대한 이슬람 제국으로 성장했다

 

Turkic soldiers in the army of the Abbasid caliphs emerged as the de facto rulers of much of the Muslim Middle East (apart from Syria and North Africa) from the 13th century. The Oghuz and other tribes captured and dominated various countries under the leadership of the Seljuk dynasty, and eventually captured the territories of the Abbasid dynasty and the Byzantine Empire

 

압바스 칼리프 군대의 투르크 병사들은 13세기부터 이슬람 중동의 상당 부분(시리아와 북아프리카로부터 떨어져 있는)의 사실상의 통치자로 부상했다. 오구즈족과 다른 부족들은 셀주크 왕조의 지도 아래 여러 나라를 점령하고 지배했으며, 결국 압바스 왕조와 비잔틴 제국의 영토를 점령했다.

 

Meanwhile, the Kyrgyz and Uyghurs were struggling with one another and with the Chinese Empire. The Kyrgyz people ultimately settled in the region now referred to as Kyrgyzstan. The Batu hordes conquered the Volga Bulgars in what is today Tatarstan and Kypchaks in what is now Southern Russia, following the westward sweep of the Mongols in the 13th century. Other Bulgars settled in Europe in the 7-8th centuries, but were assimilated by the Slavs, giving the name to the Bulgarians and the Slavic Bulgarian language.

 

한편 키르기스와 위구르족은 서로, 그리고 중국 제국과 힘겨루기를 하고 있었다. 키르기스 민족은 궁극적으로 현재 키르기스스탄이라고 불리는 지역에 정착했다. 바투 군단은 13세기에 몽골의 서쪽을 휩쓸고 이어 오늘날의 Tatarstan에 있는 볼가 불가르와 오늘날 남 러시아에 있는 킵차크를 정복했다. 다른 Bulgars7-8세기에 유럽에 정착했지만, Slavs에 의해 동화되어 Bulgarians Slavic Bulgarian language에게 그 이름을 주었다.

 

It was under Seljuq suzerainty that numerous Turkmen tribes, especially those that came through the Caucasus via Azerbaijan, acquired fiefdoms (beyliks) in newly conquered areas of Anatolia, Iraq and even the Levant. Thus, the ancestors of the founding stock of the modern Turkish nation were most closely related to the Oghuz Turkmen groups that settled in the Caucasus and later became the Azerbaijani nation.

 

수많은 투르크멘 부족들, 특히 아제르바이잔을 거쳐 코카서스를 통해 들어온 부족들이 새로 정복한 아나톨리아, 이라크, 심지어 레반트 지역에서도 fiefdoms(영지/ beyliks)을 획득한 것은 셀주크 종주권 하에서 였다. 따라서 현대 터키 국가의 건국 민족의 조상은 캅카스에 정착하여 나중에 아제르바이잔 국가가 된 오구즈 투르크멘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다.

 

By early modern times, the name "Turkestan" has several definitions:

 

1. land of sedentary Turkic-speaking townspeople that have been subjects of the Central Asian Chagatayids, i.e. Sarts, Central Asian Mughals, Central Asian Timurids, Taranchi of Chinese Turkestan, and the later invading East Kipchak Tatars who mixed with local Sarts and Chagatais to form the Uzbeks; This area roughly coincides with "Khorasan" in the widest sense, plus Tarim Basin which was known as Chinese Turkestan. It is ethnically diverse, and includes homelands of non-Turkic peoples like the Tajiks, Pashtuns, Hazaras, Dungans, Dzungars. Turkic peoples of the Kypchak branch, i.e. Kazakhs and Kyrgyz, are not normally considered "Turkestanis" but are also populous (as pastoralists) in many parts of Turkestan.

 

근대 초기에 이르러서는 "Turkestan" 이라는 명칭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정의가 있다.

 

1. 중앙아시아 차가타이족(예를들면 Sarts, 중앙아시아 무굴족, 중앙아시아 티무르족, 중국 투르케스탄의 타란치족, local Sarts와 믹스된 후에 들어온 동 킵차크 타타르족 그리고 우즈벡을 형성하는 차가타이족)이 주민인 정주하는 투르크어를 사용하는 마을 사람들의 땅.

 

이 지역은 중국 투르케스탄으로 알려진 타림 분지를 더해서 가장 넓은 의미의 "호라산"과 거의 일치한다. 민족적으로 다양하며 타지크족, 파슈툰족, 하자라스족, 둥간족, 중가르족과 같은 비투르크족의 고향을 포함한다. 킵차크 브랜치의 투르크족, 즉 카자흐와 키르기스족은 보통 "Turkestanis" 로 간주되지 않지만 투르크스탄의 많은 지역에서 (목축인으로서) 인구가 많다

 

2. a specific district governed by a 17th-century Kazakh Khan, in modern-day Kazakhstan, which were more sedentary than other Kazakh areas, and were populated by towns-dwelling Sarts

 

2. 17세기 카자흐 칸이 통치했던 특정 지구는 현대 카자흐스탄에서 다른 카자흐 지역보다 정주성이 강했으며, 소도시의 Sarts에 의해 인구가 많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