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카소이드 3대 어족?
1. 셈족
* 근동에서 발원
* 셈어에 속한 언어로는 고대와 현대 아카드어(Akkadian), 암하라어(Amharic), 아랍어(Arabic), 아람어(Aramaic), 그으즈어(Ge'ez), 히브리어(Hebrew), 몰타어(Maltese), 페니키아어(Phoenician), 티그레어(Tigre), 티그리냐어(Tigrinya) 등이 있다.
2. 함족- 북아프리카 및 북동아프리카의 코카소이드(백인)계(系) 주민
* 아프로아시아 어족 중 셈어를 제외한 어족
* BC 5000년경 아라비아 남부로부터의 이주민이 나일강(江) 하구에 정착하여 농경을 시작하여 점점 나일강 유역과 지중해 연안을 따라 퍼져 나갔다.
* Berber, Cushitic, Egyptian branches을 포함
* 베르베르는 나일 벨리의 서북쪽 아프리카가 기원
3. 인도 유럽 어족
* 기원전 1500년 무렵에 중앙아시아로부터 인도나 이란에 이주한 고대 민족으로, 언어를 포함한 문화상의 공통성으로 보아 이들이 서진(西進)한 것이 그리스 인, 로마 인, 게르만 인, 슬라브 인, 켈트 인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
cf) 투라니드 인종
중앙아시아와 아나톨리아 지역에 분포하는 투라니드 인종에 속하는 원시 튀르크인들에서 유래한 튀르크족들을 말하며, 이들 중에서도 코카서스 인종의 형질을 지닌 터키인, 우즈벡인, 투르크멘인, 아제리인(아제르바이잔인) 등이 대표적인 투라니드 인종에 속한다
cf) 튀르크족의 종족적 원류- 알타이 민족인가, 유럽형 백인인가
* 튀르크족은 안드로노보 문화의 대표자로서, 장두형 몽골족이나 장두형 지중해 인종과 다른 단두형 백인종 전사가 원류라고 주장.
* 단두형 백인인 튀르크 원족들로 추정되는 집단이 주로 알타이-시얀산맥 지대, 톈산산맥 및 카자흐스탄 일대에 거주하고 있었다.
*** 아프로아시아 어족= 셈함 어족
-> Berber, Chadic, Cushitic, Egyptian, Omotic, Semitic
https://ko.wikipedia.org/wiki/%EC%95%84%ED%94%84%EB%A6%AC%EC%B9%B4%EC%95%84%EC%8B%9C%EC%95%84%EC%96%B4%EC%A1%B1#/media/파일:Hamito-Semitic_languages.jpg
1) 베르베르어파(Berber)
* 북 아프리카, 특히 모로코
* 분류- Northern/ Western/ Tuareg/ Eastern
* 북서 아프리카의 산지나 사막에 서로 고립되어 공동체를 형성한 유목민(遊牧民)들이 사용하며, 각 지역에서 아랍어와 같이 사용하는 자가 많아서 정확히 파악하기는 곤란하다.
2) 차드어파(Chadic)
* distribution- Nigeria, Niger, Chad, Central African Republic, Cameroon
* 가장 널리 쓰이는 차드어파 언어는 서아프리카 내륙 동부의 공통어인 하우사어이다
3) 쿠시어파(Cushitic)
* 주로 the Horn of Africa (Djibouti, Eritrea, Ethiopia and Somalia)에서 사용
* 아프리카 북동부의 셈함제어에서 셈어족에 속하는 에티오피아제어를 제외한 것이다. 하위언어로 수단공화국에서 쓰이는 베자어(Beja:약 15만), 에티오피아 해안지역의 사호아파르어(Saho-Afar:약 48만)가 있으며 남서에티오피아에는 시다모어(Sidamo)가, 남(南)에티오피아에서 북(北)케냐에 걸쳐 분포하는 갈라어(Galla:약 700만) 등이 있다.
4) 이집트어파(Egyptian)
* 고대 이집트의 언어. 현재는 상이집트의 카이로와 몇 몇 마을의 일부만 사용
* 주로 현재의 아스완 이북의 나일강 연안에서 삼각주지대에까지 많은 흔적을 남긴 고대 이집트문화의 언어. 기록은 BC 4000여 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현재 이집트에 약 800만이 사용한다.
5) 오모어파(Omotic)
* 에티오피아 남서부에서 사용
6) 셈어파(Semitic)
* distribution- West Asia, North Africa, Northeast Africa, Malta
* 오늘날 가장 널리 쓰이는 셈어파의 언어는 아랍어로 그 사용자 수는 중동에서만 3억 4천만 명에 육박하고, 그 다음으로 암하라어(에티오피아 공용어)가 약 2700만여 명, 티그리냐어(에르트리아 공용어 중 하나)가 700만 명, 히브리어가 670여만 명(이스라엘에 한정)이다.
* 셈제어는 북동 ·북서 ·남의 세 어파로 분류되는데, 북동 셈어파에는 BC 3000년경의 기록을 남기고 있는 아카드어(Akkadian)와 그 이후에 남방의 바빌로니아어(Babyllonian)와 북방의 아시리아어(Assyrian)가 있었으나 현재에는 전하지 않는다.
북서 셈어파로는 현재 시리아 ·팔레스티나라고 불리는 지역에서 사용하는 언어로서 크게 아람어군(Aramaic)과 가나안어군(Canaanite)으로 나뉜다. 이 모두는 절멸했으며, 다만 헤브라이어가 종교적인 힘에 의하여 아직까지 전해지며 이스라엘에서 약 300만 명이 사용하고 있다.
남셈어파는 아라비아반도의 중부를 중심으로 하여 북쪽으로는 북아랍어, 남해안지대의 남아랍어, 홍해를 사이에 둔 양 해안의 에티오피아어로 분류된다. 남셈어파의 제언어는 모두 약 1억의 인구가 사용하고 있다.
cf) 무어인
1. 북서 아프리카(마그리브)의 이슬람 교도를 가리키는 영어의 호칭. 프랑스어로는 모르(maure). 특히 베르베르 및 아랍화한 베르베르를 가리켜서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2. 북아프리카 전체에 퍼져 살던 유목민족 베르베르족+ 북아프리카 사는 아랍인을 의미 했는데, 이베리아 반도가 이슬람화 된 뒤에는 이슬람교도 아랍인을 의미.
'어족, 민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랄 알타이 어족 (1) | 2022.11.11 |
---|---|
<혈통과 민족으로 보는 세계사> 정리 (3) | 2022.11.04 |
인도 유럽 어족 (0) | 2016.10.06 |
유럽 3대 인종 (0) | 2016.10.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