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화

힌두교의 기원과 발전

by iamcool 2023. 4. 12.
반응형

힌두교의 기원과 발전- 위키백과 해석

https://en.wikipedia.org/wiki/Hindu_mythology

 

Hindu mythology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Body of myths existing in Hinduism Hindu mythology is the body of myths and literature attributed to, and espoused by, the adherents of the Hindu religion, found in Sanskrit texts such as the Vedic literature, epics li

en.wikipedia.org

 

 

 

< Origins and development 기원과 발전 >

 

1. Indus Valley Civilisation

See also: Religion of the Indus Valley civilization

 

According to Joseph Campbell, the Indus Valley (2600-1900 BCE) may have left traces in the beliefs and traditions of Hinduism. Artefacts have revealed motifs that are also employed and revered by Hindus today, such as primary male deities worshipped by a ruling elite, mother goddesses, nature spirits, snake worship, as well as the reverence of other theriomorphic (animal-shaped) beings.[6] These themes would be maintained by the Dravidian folk religion even after the decline of its parent civilisation around 1800 BCE.[7]

 

조셉 캠벨에 따르면, 인더스 계곡 문명(2600-1900 BCE)은 힌두교의 믿음과 전통에 흔적을 남겼을지도 모른다. 유물들은 다른 짐승 모습을 한(동물 모양의) 존재들에 대한 숭배뿐만 아니라, 엘리트들에 의해 숭배되는 주요 남성신들, 어머니 여신들, 자연 영혼들, 뱀 숭배와 같은 오늘날 힌두교도들에 의해 채택되고 숭배되는 모티브를 드러냈습니다. 이러한 주제들은 기원전 1800년경에 그들의 모태 문명이 쇠퇴한 후에도 드라비다인의 민속 종교에 의해 유지되었을 것이다.

 

* 기원전 2600년에서 기원전 1900년까지 인더스 문명 시기에는 토착 신앙을 믿었다.

* 토착신- , , 여신, 링가, 코끼리

 

2. Vedic Period(기원전 1500-1100)

Main article: Historical Vedic religion

 

A major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Hinduism was the Vedic religion. The Indo-Aryan migration brought their distinct beliefs to the Indian subcontinent, where the Vedas were composed around 1500 BCE. The Indo-Aryans Vedic pantheon of deities included the chief god Indra, the sun deity Surya, Ushas, as well as Agni.

 

힌두교 발전에 있어서 주요 요인은 베다 종교였다. 인도-아리안 이동은 그들의 뚜렷한 믿음을 인도 아대륙으로 가져왔고, 그곳에서 베다는 기원전 1500년경에 구성되었다. 인도-아리안 베다 신들의 판테온은 아그니뿐만 아니라 최고 신 인드라, 태양 신 수리아, 우샤스를 포함했다.

 

* 기원전 1500년경 아리아인이 들어오면서 브라만교를 신앙하게 되었다.

* 기원전 1500년경 베다가 편찬되었다.

* 브라만교의 신- 뇌신 인드라, 불의 신 아그니, 태양신 등

 

 

3. Brahmanical Period

Main article: Brahminism

 

This period saw the composition of commentaries referred to as the Brahmanas.[10]

 

이 시기에는 브라마나라고 불리는 주해서가 편찬되었다.

 

* 기원전 8세기경 제의서 브라마나가 편찬되었다.

 

 

4. Upanishad Period

See also: Upanishads

 

According to Williams, from 900 - 600 BCE, the protests of the populace against sacrifices made towards the Vedic gods and rebellions against the Brahmin class led to the embrace of reform by the latter and the composition of the fourth Veda and the Vedanta texts. About half of the Upanishads were mystical and unitive, speaking of experiencing the divine as the one (ekam), while the other half promoted devotion to one or more deities. New gods and goddesses were celebrated, and devotional practices began to be introduced.[11]

 

윌리엄스에 따르면 기원전 900년부터 600년까지 베다 신들에 대한 희생물에 대한 민중의 항의와 브라만 계급에 대한 반란은 후자(아마도 브라만 계급을 의미?)에 의한 개혁과 네 번째 베다와 베단타 책들(우파니샤드)의 편찬으로 수용되어졌다. 우파니샤드의 절반 가량은 신비롭고 통합적인 것으로 하나(ekam)로서의 신을 경험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했고, 나머지 절반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신에 대한 기도를 장려했다. 새로운 신들과 여신들이 찬양되어졌고, 예배 의식이 도입되기 시작했다.

 

* 기원전 5세기 전후 오의서 우파니샤드가 편찬되었다.

- 제사 중심에서 탈피

 

 

5. Sramanic movements

 

Elements such as those emerging from Buddhism and Jainism made their “heteroprax” contributions to later Hindu mythology, such as temples, indoor shrines, and rituals modeled after service to a divine king. Renunciate traditions contributed elements that questioned sacrifices and the killing of animals, and promoted asceticism and vegetarianism. All of these themes would be incorporated by the Brahmin classes into the later Hindu synthesis, which developed in response to the sramanic movements between ca. 500-300 BCE and 500 CE, and also found their way into Hindu mythology.[11]

 

불교와 자이나교에서 생겨난 요소들은 사원, 실내 사당, 신왕을 모신 의식과 같은 후기 힌두 신화에 그들의 "헤테로프락스"로 기여했다. 금욕적인 전통은 동물의 희생과 죽이는 것에 의문을 제기하고 금욕과 채식을 조장하는 요소들에 기여하였다. 이 모든 주제들은 브라만 계급에 의해 later Hindu synthesis에 통합될 것이고, 이것은 기원전 500-300년에서 기원후 500년 사이의 스라마닉 운동에 대응하여 발전했고 힌두교 신화에까지 도달했다.

 

* 불교와 자이나교의 영향으로 금욕과 채식이 중시되었다.

 

 

6. Epic Period

Main articles: Ramayana and Mahabharata

 

The era from 400 BCE to 400 CE was the period of the compilation of India’s great epics, the Mahabharata and Ramayana. These were central manifestations of the newly developing Hindu synthesis, contributing to a specific Hindu mythology, emphasising divine action on earth in Vishnu's incarnations and other divine manifestations. The lore of the devas and the asuras expanded. Epic mythology foreshadowed the rich polytheism of the next two periods. The Mahabharata contained two appendices that were extremely important sources for later mythological development, the Bhagavad Gîta and the Harivamsa.

 

기원전 400년부터 기원후 400년까지의 시기는 인도의 위대한 서사시인 마하바라타와 라마야나가 편찬된 시기였다. 이것들은 비슈누의 화신의 지상에서의 신적인 행동과 다른 신성한 행동에 중점을 두면서 특정한 힌두 신화에 기여하면서 새롭게 발전한 Hindu synthesis의 중심적인 표현이었다. 데바와 아수라에 대한 구전 지식은 확장되었다. 서사시 신화는 다음의 두 시기의 풍부한 다신교의 전조가 되었다. 마하바라타에는 후에 신화적 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자료인 바가바드 고타와 하리밤사라는 두 개의 부록이 포함되어 있었다.

 

* 기원전 400년에서 기원후 400년 사이 마하바라타와 라마야나가 편찬되었다.

* 브라만교는 다른 신들의 이야기를 흡수하면서 힌두교로 변화해 나갔다.

 

 

7. Puranic Period

Main article: Puranas

 

According to Williams, the mythology of the Puranas can be broken into three periods (300500; 5001000; 10001800), or the whole period may simply be referred to as the Hindu middle ages. This age saw the composition of the major Puranic texts of the faith, along with the rise of sectarianism, with followers amassing around the cults of Vishnu, Shiva, or Devi. The three denominations within this period help locate in time historical developments within the sectarian communities, the rise and decline of Tantrism and its influence on mainstream mythology, the tendencies in Puranic mythologising of subordinating Vedic gods and past heroes to ever-increasing moral weaknesses, going on to be identified as a period of exuberant polytheism. However, this was also accompanied with the belief in monotheism, the idea that all paths lead to the Ultimate Reality, Brahman.[11]

 

윌리엄스에 따르면, 푸라나의 신화는 3개의 시기(300-500; 500-1000; 1000-1800)로 나눌 수 있고, 전체 시기는 단순히 힌두 중세로 언급될 수도 있다. 이 시대에는 비슈누, 시바, 데비의 컬트 주변에 모여든 추종자들과 함께 종파주의의 발생과 함께 믿음에 대한 주요한 푸라닉 텍스트들의 작품이 나타났다. 이 시기의 세 교파는 마침내 종파 공동체 내의 역사적 발전, 탄트리즘의 흥망과 그것의 주류 신화에 대한 영향, 베다 신들과 과거의 영웅들을 계속 증가하는 도덕적 약점에 종속시키는 퓨란 신화화의 경향, 다신증이 팽배한 시기로 밝혀질 겁니다. 하지만, 이것은 또한 일신교, 즉 모든 길이 궁극의 실재인 브라흐만으로 이른다는 생각과 함께 동반되었다.

 

* 푸라닉 시기에 비슈누, 시바, 데비의 세 교파가 성립되었다.

 

 

8. Tantric Period

See also: Tantras (Hinduism)

 

According to Williams, during the Tantric period from 900 - 1600 CE, the mythology of Tantra and Shaktism revived and enriched blood sacrifice and the pursuit of pleasure as central themes. Tantra’s stories differed radically in meaning from those of epic mythology, which favored devotion, asceticism, and duty. There was either a revival or emphasis that was placed on the shakti or the cosmic energy of goddesses, a concept that had emerged during the Indus Valley Civilisation.[11]

 

윌리엄스에 따르면 서기 900년부터 1600년까지의 탄트릭 시대에는 탄트라와 샤크티즘의 신화가 부활하고 피의 제물과 쾌락 추구를 중심 테마로 풍부하게 했다. 탄트라의 이야기는 헌신, 금욕, 의무를 선호했던 서사시 신화와는 근본적으로 의미가 달랐다. 샥티나 여신의 우주 에너지, 즉 인더스 계곡 문명 시대에 생겨난 개념에 대한 부활이나 강조가 있었다.

 

* 900년에서 1600년까지 탄트릭 시대에 탄트라와 샤크티즘의 신화가 부활하고 피의 제물과 쾌락 추구를 중심 테마로 자리잡게 되었다.

 

 

9. Modern Period

 

In the contemporary era, the mythologies of the dominant traditions of Vaishnavism, Shaivism, and Shaktism prevail.[12] Several myths were found or invented to make tribals or former “outcastes” Hindus and bring them within the cultural whole of a reconstructed Hindu mythological community.

 

현대에는 바이슈나비즘(비슈누파), 샤이즘(시바파), 샤크티즘(샤크티파)의 지배적인 전통에 대한 신화가 우세하다. 부족이나 예전의 "사회계급에서 추방된 사람" 힌두교도를 만들고 그들을 재건된 힌두 신화 공동체의 문화적 전체 안에 포함시키기 위해 몇 가지 신화가 발견되거나 발명되었다.

 

* 현대에는 비슈누파, 시바파, 샤크티파가 우세하다.

반응형

'신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도인이 생각하는 윤회  (2) 2023.04.27
칼파  (2) 2023.04.27
브라만교와 힌두교의 차이- 나무위키 인용  (0) 2023.04.12
브라만, 브라흐마, 브라흐만  (2) 2023.04.12
Kubera, Ravana 계보  (2) 2023.04.1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