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do-European migrations

< Indo-European migrations > 위키백과

by iamcool 2022. 11. 4.
반응형

Indo-European migrations

- 위키 백과 해석

- 211019

 

https://en.wikipedia.org/wiki/Indo-European_migrations

 

 

 

 

The Indo-European migrations were the migrations of Proto-Indo-European language (PIE) speakers, as proposed by contemporary scholarship, and the subsequent migrations of people speaking further developed Indo-European languages, which explains why the Indo-European languages are spoken in a large area in Eurasia, from India and Iran to Europe.

 

인도-유럽어 이주는 현대학술에서 제안한 대로 Proto-Indo-European language(프로토-인도-유럽어/ PIE) 언어 사용자들의 이주였으며, 더 발전된 인도-유럽어를 말하는 사람들의 뒤 이은 이주는 인도-유럽어가 인도와 이란으로부터 유럽까지의 유라시아의 넓은 지역에서 사용되었는지를 설명한다.

 

While there can be no direct evidence of prehistoric languages, both the existence of Proto-Indo-European and the dispersal of its daughter dialects through wide-ranging migrations and elite-dominance dispersal are inferred through a synthesis of data from linguistics, archaeology, anthropology and genetics. Comparative linguistics describes the similarities between various languages and the linguistic laws at play in the changes in those languages (see Indo-European studies). Archaeological data traces the spread of cultures presumed to be created by speakers of Proto-Indo-European in several stages: from the hypothesized locations of the Proto-Indo-European homeland, into their later locations of Western Europe, Central, South and Eastern Asia by migrations and by language shift through elite-recruitment as described by anthropological research.[1][2] Recent genetic research has increasingly contributed to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 between various prehistoric cultures.

 

선사시대 언어에 대한 직접적인 증거는 있을 수 없지만, 프로토-인도-유럽어의 존재와 광범위한 이동과 elite-dominance dispersal에 의한 그 daughter dialects의 분산은 언어학, 고고학, 인류학, 유전학 등의 자료를 종합하여 추론한다. 비교언어학에서는 다양한 언어와 해당 언어의 변화에서 작용하는 언어법칙의 유사성을 기술한다(인도유럽 연구 참조). 고고학적 데이터는 프로토-인도-유럽의 speaker가 창조한 것으로 추정되는 문화의 확산을 추적한다: 프로토-인도-유럽어의 homeland의 가설적 위치로부터, 이동과 기술한 것과 같이 인류학 연구에 의한 elite-recruitment(엘리트 충원?)을 통한 이동과 언어 변화에 의한 서유럽, 중앙 & 남부 & 동부 아시아에서의 그들의 후기 위치까지. 최근의 유전자 연구는 다양한 선사시대 문화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점점 더 기여하고 있다.

 

According to the widely held Kurgan hypothesis, c.q. renewed Steppe hypothesis, the oldest branch were the Anatolian languages (Hittite language and Luwian language) which split from the earliest proto-Indo-European speech community (archaic PIE), which itself developed in the Volga basin. The second-oldest branch, the Tocharian languages, were spoken in the Tarim Basin (present-day western China), and split-off from early PIE, which was spoken on the eastern Pontic steppe. The bulk of the Indo-European languages developed from late PIE, which was spoken at the Yamnaya horizon in the PonticCaspian steppe, around 3000 BCE.

 

널리 알려진 쿠르간 가설인 c.q. 갱신된 스텝 가설에 따르면, 가장 오래된 브랜치는는 아나톨리아어(히타이트어, 루비아어)로 볼가 유역에서 스스로 발전된 최초의 proto-Indo-European speech community(archaic PIE)에서 갈라졌다. 두 번째로 오래된 브랜치인 토하라어는 타림 분지(현재의 중국 서부)에서 사용되었고, 동부 폰틱 스텝에서 사용되었던 early PIE에서 분리되었다. 인도-유럽 언어의 대부분은 기원전 3000년경 폰틱-카스피언 스텝의 야마나야 지평선에서 사용된 late PIE로부터 발전했다

 

Proto-Celtic and Proto-Italic may have developed from Indo-European languages coming from Central Europe to Western Europe after the 3rd millennium BCE Yamnaya migrations into the Danube Valley,[3][4] while Proto-Germanic and Proto-Balto-Slavic may have developed east of the Carpathian mountains, in present-day Ukraine,[5] moving north and spreading with the Corded Ware culture in Middle Europe (third millennium BCE).[6][7][web 1][8][web 2][9]

 

Proto-CelticProto-Italic은 기원전 3천년기 Yamnaya가 다뉴브 밸리로의 이동한 이후 중앙 유럽으로부터 서유럽으로 이동하면서 인도-유럽어로 발전했을 것이고, 반면 Proto-GermanicProto-Balto-Slavic은 기원전 3천년기 미들 유럽 안으로 Corded Ware culture와 함께 북으로 이동하고 퍼지면서 오늘날 우크라이나에 있는 카르파티아 산맥의 동쪽에서 발전했을 것이다.

 

The Proto-Indo-Iranian language and culture probably emerged within the Sintashta culture (circa 21001800 BCE), at the eastern border of the Abashevo culture, which in turn developed from the Corded Ware-related Fatyanovo-Balanovo culture. The Sintashta culture grew into the Andronovo culture[10][11][1][12][13][14] (ca. 1900[15]800 BCE), the two first phases being the Fedorovo Andronovo culture (ca. 19001400 BCE)[15] and Alakul Andronovo culture (ca. 18001500 BCE).[16] Indo-Aryans moved into the BactriaMargiana Archaeological Complex (ca. 24001600 BCE) and spread to the Levant (Mitanni), northern India (Vedic people, ca. 1500 BCE), and China (Wusun).[2] The Iranian languages spread back throughout the steppes with the Scyths, and into Ancient Iran with the Medes, Parthians and Persians from ca. 800 BCE.[2]

 

프로토-인도-이란 언어와 문화는 아마도 Abashevo culture의 동쪽 경계인 신타슈타 문화(기원전 21001800) 내에서 생겨났을 것이며, 이는 코데드 웨어와 관련된 파티아노보-발라노보 문화로부터 발전되었다. 신타슈타 문화는 안드로노보 문화(기원전 1900800)로 성장했고, 두개의 first phasethe Fedorovo Andronovo culture (ca. 19001400 BCE)Alakul Andronovo culture (ca. 18001500 BCE)이다. 인도-아리아인은 박트리아-마르기아나 고고학 콤플렉스(기원전 24001600) 안으로 이동하고 레반트(미타니), 북부 인도(Vedic people, 기원전 1500), 중국(오순)으로 퍼져나갔다. 이란의 언어는 스키타이와 함께 스텝 지대에 걸쳐 다시 퍼져 나갔고, 기원전 800년경 Medes, Parthians and Persians과 함께 고대 이란으로 퍼져나갔다.

 

A number of alternative theories have been proposed, most notably the Anatolian hypothesis and the Armenian hypothesis. Renfrew's Anatolian hypothesis suggests a much earlier date for the Indo-European languages, proposing an origin in Anatolia and an initial spread with the earliest farmers who migrated to Europe. It has been the only serious alternative for the steppe-theory, but suffers from a lack of explanatory power. The Anatolian hypothesis also led to some support for the Armenian hypothesis, which proposes that the Urheimat of the Indo-European language was south of the Caucasus. While the Armenian hypothesis has been criticized on archeological and chronological grounds, recent genetic research has revived debate[citation needed].

 

많은 대안 이론들이 제안되었는데, 가장 두드러진 것은 아나톨리아 가설과 아르메니아 가설이다. 렌프루의 아나톨리아 가설은 인도-유럽 언어에 대한 훨씬 더 이른 날짜를 제시하며 아나톨리아에 기원을 두고 유럽으로 이주한 초기 농부들과 함께 초기 확산을 제안한다. 그것은 스텝이론에 대한 유일한 심각한 대안이었지만 설명력의 부족으로 고통받고 있다. 아나톨리아 가설은 또한 아르메니아 가설에 대한 일부 지지로 이어졌는데, 이는 인도유럽어의 Urheimat가 코카서스 남쪽에 있었다고 제안한다. 아르메니아 가설이 고고학적이고 연대기적인 이유로 비판 받아온 반면, 최근의 유전자 연구는 논쟁을 되살렸다.

 

 

 

 

<< Fundamentals >> 기본

 

< Linguistics: relations between languages > 언어학: 언어간의 관계

 

1. Indo-European languages 인도-유럽 언어들

 

The Dutch scholar Marcus Zuerius van Boxhorn (1612-1653) noted similarities between various European languages, Sanskrit, and Persian. Over a century later, after learning Sanskrit in India, Sir William Jones detected equivalent correspondences; he described them in his Third Anniversary Discourse to the Asiatic Society in 1786, concluding that all these languages originated from the same source.[17][web 3] From his initial intuitions there developed the hypothesis of an Indo-European language family consisting of several hundred related languages and dialects. The 2009 Ethnologue estimates a total of about 439 Indo-European languages and dialects, about half of these (221) belonging to the Indo-Aryan subbranch based in South Asia.[web 4] The Indo-European family includes most of the major current languages of Europe, of the Iranian plateau, of the northern half of the Indian Subcontinent, and of Sri Lanka, with kindred languages also formerly spoken in parts of ancient Anatolia and of Central Asia. With written attestations appearing from the Bronze Age in the form of the Anatolian languages and Mycenaean Greek, the Indo-European family is significant in historical linguistics as possessing the second-longest recorded history, after the Afroasiatic family.

 

네덜란드의 학자 마르쿠스 주리에리우스 반 박스혼(1612-1653)은 다양한 유럽 언어인 산스크리트어와 페르시아어의 유사점에 주목했다. 한 세기 후, 인도에서 산스크리트어를 배운 후, 윌리엄 존스 경은 동등한 서신을 발견했다; 그는 1786년 그의 Asiatic Society에 대한 3주년 담화에서 이 모든 언어가 같은 출처로부터 유래되었다고 결론짓고 그들을 기술했다. 그의 초기 직감으로부터 수백 개의 관련 언어와 방언으로 구성된 인도유럽어족의 가설을 발전시켰다. 2009Ethnologue는 약 439개의 인도-유럽 언어와 방언을 평가했는데, 이 중 약 절반(221)이 남아시아에 본거지를 둔 인도-아리안 subbranch에 속한다고 평가했다. 인도유럽어족에는 유럽, 이란 고원, 인도 아대륙의 북반부, 스리랑카의 주요 현재 언어가 대부분 포함되며, 이전에는 비슷한 언어들이 고대 아나톨리아와 중앙아시아 일부에서 사용되기도 했다. 청동기 시대부터 아나톨리아어와 Mycenaean Greek의 형태로 나타난 서면 증거로 인도유럽 어족은 Afroasiatic family에 이어 두 번째로 긴 기록사를 보유하고 있어 역사언어학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Almost 3 billion native speakers use Indo-European languages,[web 5] making them by far the largest recognised language family. Of the 20 languages with the largest numbers of native speakers according to Ethnologue, twelve are Indo-European Spanish, English, Hindi, Portuguese, Bengali, Russian, German, Punjabi, Marathi, French, Urdu, and Italian accounting for over 1.7 billion native speakers.[web 6] [needs update]

 

거의 30억 명의 원어민이 인도-유럽 언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지금까지 알려진 언어 중 가장 큰 언어군이다. 에트놀로그에 따르면 원어민이 가장 많은 20개 언어 중 12개가 17억의 원어 화자를 차지하는 인도유럽어(스페인어, 영어, 힌디어, 포르투갈어, 벵골어, 러시아어, 독일어, 펀자브어, 마라티어, 프랑스어, 우르두어, 이탈리아어)이다.

 

2. Development of the Indo-European languages 인도-유럽어의 발전

 

1) Proto-Indo-European language

 

The (late) Proto-Indo-European language (PIE) is the linguistic reconstruction of a common ancestor of the Indo-European languages, as spoken by the Proto-Indo-Europeans after the split-off of Anatolian and Tocharian. PIE was the first proposed proto-language to be widely accepted by linguists. Far more work has gone into reconstructing it than any other proto-language and it is by far the most well-understood of all proto-languages of its age. During the 19th century, the vast majority of linguistic work was devoted to reconstruction of Proto-Indo-European or its daughter proto-languages such as Proto-Germanic, and most of the current techniques of historical linguistics (e. g. the comparative method and the method of internal reconstruction) were developed as a result.

 

The (late) Proto-Indo-European language는 인도-유럽어족의 공통 조상을 언어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으로, 아나톨리아어와 토카리어가 분리된 후 프로토-인도-유럽인들이 말하는 것이다. PIE는 언어학자들에게 널리 받아들여진 최초의 제안된 proto-language였다. 다른 어떤 proto-language 보다 훨씬 더 많은 작업이 그것을 재구성하는 데 들어갔고 그것은 그 시대의 모든 원어 언어들 중에서 단연코 가장 잘 이해된 것이다. 19세기에는 대부분의 언어 작업이 프로토-인도-유럽어 혹은 프로토-게르마닉처럼 그것의 딸 프로토-언어의 재구성에 전념하였고, 그 결과 현재의 역사언어학 기술(: 비교법과 내부 재구성법)이 대부분 개발되었다.

 

Scholars estimate that PIE may have been spoken as a single language (before divergence began) around 3500 BCE, though estimates by different authorities can vary by more than a millennium. The most popular hypothesis for the origin and spread of the language is the Kurgan hypothesis, which postulates an origin in the PonticCaspian steppe of Eastern Europe.

 

학자들은 다른 저자마다 천년 이상 차이가 날 수 있지만, 기원전 3500년 경에 PIE가 단일 언어(나눠지기 시작하기 전에)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언어의 기원과 확산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가설은 쿠르간 가설인데, 쿠르간 가설은 동유럽의 폰틱-카스피해 스텝에 기원을 두고 있다.

 

The existence of PIE was first postulated in the 18th century by Sir William Jones, who observed the similarities between Sanskrit, Ancient Greek, and Latin. By the early 20th century, well-defined descriptions of PIE had been developed that are still accepted today (with some refinements). The largest developments of the 20th century have been the discovery of Anatolian and Tocharian languages and the acceptance of the laryngeal theory. The Anatolian languages have also spurred a major re-evaluation of theories concerning the development of various shared Indo-European language features and the extent to which these features were present in PIE itself.

 

PIE의 존재는 산스크리트어, 고대 그리스어, 라틴어의 유사성을 관찰한 윌리엄 존스 경에 의해 18세기에 처음으로 가정되었다. 20세기 초에 오늘날까지도 받아들여지고 있는(일부 개선된) PIE에 대한 명확한 묘사가 개발되었다. 20세기의 가장 큰 발전은 아나톨리아어와 토카리아어의 발견과 후두음 이론의 수용이었다. 아나톨리아어들은 또한 다양한 공유된 인도-유럽 언어 특징의 발달과 이러한 특징이 PIE 그 자체에서 현존하는 정도의 주요한 이론의 재평가를 촉발시켰다.

 

PIE is thought to have had a complex system of morphology that included inflections (suffixing of roots, as in who, whom, whose), and ablaut (vowel alterations, as in sing, sang, sung). Nouns used a sophisticated system of declension and verbs used a similarly sophisticated system of conjugation.

 

PIEinflections(어형변화) (suffixing of roots, as in who, whom, whose), and ablaut(모음 전환)(vowel alterations, as in sing, sang, sung)를 포함하는 형태학의 복잡한 체계를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명사는 곡용의 정교한 체계를 사용했고 동사는 유사하게 정교한 활용 체계를 사용했다.

 

2) Pre-Proto-Indo-European

 

Relationships to other language families, including the Uralic languages, have been proposed but remain controversial. There is no written evidence of Proto-Indo-European, so all knowledge of the language is derived by reconstruction from later languages using linguistic techniques such as the comparative method and the method of internal reconstruction.

 

우랄어족을 포함하여 다른 어족과의 관계가 제안됐지만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 프로토-인도-유럽어에 대한 서면증거가 없기 때문에, 언어에 대한 모든 지식은 비교법, 내부재건법 등의 언어학적 기술을 이용한 후기 언어로부터 재구성에 의해 도출된다.

 

The Indo-Hittite hypothesis postulates a common predecessor for both the Anatolian languages and the other Indo-European languages, called Indo-Hittite or Indo-Anatolian.[1] Although PIE had predecessors,[19] the Indo-Hittite hypothesis is not widely accepted, and there is little to suggest that it is possible to reconstruct a proto-Indo-Hittite stage that differs substantially from what is already reconstructed for PIE.[20]

 

인도-히타이트 가설은 아나톨리아어와 인도-히타이트 혹은 인도-아나톨리언이라고 불리는 다른 인도-유럽어 모두의 공통 전임자를 상정하고 있다. PIE에는 전임자가 있었지만 인도-히타이트 가설은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으며, 이미 PIE용으로 재구성된 것과 실질적으로 다른 프로토-인도-히타이트 단계를 재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제안하는 것은 거의 없다.

 

Frederik Kortlandt postulates a shared common ancestor of Indo-European and Uralic, Indo-Uralic, as a possible pre-PIE.[21] According to Kortlandt, "Indo-European is a branch of Indo-Uralic which was radically trans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a North Caucasian substratum when its speakers moved from the area north of the Caspian Sea to the area north of the Black Sea."[21][subnote 1]

 

프레데릭 코틀란트는 인도유러피언과 우랄릭, 인도-우랄릭의 공통 조상을 가능한 pre-PIE로 가정한다. 코틀랜드트에 따르면 "인도유러피언은 화자가 카스피해 북쪽 지역에서 흑해 북쪽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North Caucasian substratum의 영향에 의해 급진적으로 변모한 인도-우랄릭의 한 브랜치다"

 

3) Uralic, Caucasian and Semitic borrowings

 

Proto-Finno-Ugric and PIE have a lexicon in common, generally related to trade, such as words for "price" and "draw, lead". Similarly, "sell" and "wash" were borrowed in Proto-Ugric. Although some have proposed a common ancestor (the hypothetical Nostratic macrofamily), this is generally regarded as the result of intensive borrowing, which suggests that their homelands were located near each other. Proto-Indo-European also exhibits lexical loans to or from Caucasian languages, particularly Proto-Northwest Caucasian and Proto-Kartvelian, which suggests a location close to the Caucasus.[19][22]

 

Proto-Finno-Ugric and PIE에는 공통의 어휘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price" and "draw, lead"라는 단어와 같이 무역과 관련이 있다. 마찬가지로 "sell" and "wash“'도 프로토-우그릭에서 빌렸다. 일부에서는 공통된 조상(the hypothetical Nostratic macrofamily)을 제안했지만, 이는 일반적으로 집중적인 차용의 결과로 간주되는데, 이는 그들의 홈랜드가 서로 가까운 곳에 위치했음을 암시한다. 프로토-인도-유럽어 또한 백인 언어, 특히 Proto-Northwest Caucasian and Proto-Kartvelian에 대한 어휘 대출을 나타내는데, 이것은 코카서스에 가까운 위치를 암시한다.

 

Gramkelidze and Ivanov, using the now largely unsupported glottalic theory of Indo-European phonology, also proposed Semitic borrowings into Proto-Indo-European, suggesting a more southern homeland to explain these borrowings. According to Mallory and Adams, some of these borrowings may be too speculative or from a later date, but they consider the proposed Semitic loans *táwros 'bull' and *wéyhon- 'wine; vine' to be more likely.[23] Anthony notes that those Semitic borrowings may also have occurred through the advancement of Anatolian farmer cultures via the Danube valley into the steppe zone.[1]

 

그람켈리체와 이바노프도 현재 크게 지원되지 않는 인도유럽 음운론의 glottalic theory을 이용하여 이러한 차입을 설명할 수 있는 좀 더 남쪽의 홈랜드를 제시하면서 프로토-인도-유럽어로 셈어 차입을 제안했다. 말로리와 아담스에 따르면, 이러한 차입 중 일부는 너무 이론적이거나 나중에 나온 것일 수 있지만, 그들은 제안된 셈어 차용 *táwros 'bull' and *wéyhon- 'wine; vine'이 더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Anthony는 그러한 셈어 차용은 다뉴브 계곡을 거쳐 스텝 지대로의 아나톨리아 농부 문화의 advancement(이동)을 통해서도 일어났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

 

4) Phases of Proto-Indo-European

 

According to Anthony, the following terminology may be used:[1]

* Archaic PIE for "the last common ancestor of the Anatolian and non-Anatolian IE branches";

* Early, core, or Post-Anatolian, PIE for "the last common ancestor of the non-Anatolian PIE languages, including Tocharian";

* Late PIE for "the common ancestor of all other IE branches".

 

Anthony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 "Anatolian non-Anatolian IE 브랜치의 마지막 공통 조상"에 대한 Archaic PIE;

* “토카리인을 포함한 비 아나톨리언 PIE의 마지막 공통조상을 위한 Early, core, or Post-Anatolian

* “다른 모든 IE 브랜치들의 공통 조상을 위한 Late PIE

 

**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1) 아나톨리아어의 공통 조상 Archaic PIE

2) 토카리어의 공통 조상 Early PIE

3) 그외의 모든 IE 브랜치의 공통 조상 Late PIE

 

The Anatolian languages are the first Indo-European language family to have split off from the main group. Due to the archaic elements preserved in the now extinct Anatolian languages, they may be a "cousin" of Proto-Indo-European, instead of a "daughter", but Anatolian is generally regarded as an early offshoot of the Indo-European language group.[1]

 

아나톨리아어는 주요 집단에서 분리된 최초의 인도유럽어족이다. 현재 멸종된 아나톨리아 언어에 보존된 고대의 원소 때문에, 그들은 ''이 아닌 프로토-인도-유럽어족의 '사촌'이 될 수도 있지만, 아나톨리안은 일반적으로 인도-유럽어군의 early offshoot(초기 분지)로 간주된다.

 

5) Genesis of Indo-European languages 인도-유럽어의 발생

 

Using a mathematical analysis borrowed from evolutionary biology, Don Ringe and Tandy Warnow propose the following evolutionary tree of Indo-European branches:[24]

 

진화생물학에서 차용한 수학적 분석을 이용하여 돈 링게와 탠디 워노우는 인도유럽 브랜치의 다음과 같은 진화 트리를 제안한다.

 

* Pre-Anatolian (before 3500 BCE)

* Pre-Tocharian

* Pre-Celtic and Pre-Italic (before 2500 BCE)

* [Pre-Germanic?][note 1]

* Pre-Armenian and Pre-Greek (after 2500 BCE)

* [Pre-Germanic?][note 1]

* Pre-Balto-Slavic[24]

* Proto-Indo-Iranian (2000 BCE)

 

David Anthony, following the methodology of Ringe and Warnow, proposes the following sequence:[27]

 

데이비드 앤서니는 링게와 워노우의 방법론에 따라 다음과 같은 순서를 제안한다

 

* Pre-Anatolian (4200 BCE)

* Pre-Tocharian (3700 BCE)

* Pre-Germanic (3300 BCE)

* Pre-Celtic and Pre-Italic (3000 BCE)

* Pre-Armenian (2800 BCE)

* Pre-Balto-Slavic (2800 BCE)

* Pre-Greek (2500 BCE)

* Proto-Indo-Iranian (2200 BCE); split between Iranian and Old Indic 1800 BCE

 

Ringe and Warnow's methodology may be outdated, and not accurately reflect the development of the IE languages.[citation needed]

 

링게와 워노우의 방법론은 시대에 뒤떨어질 수 있으며, IE 언어의 발전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한다.

 

< Archaeology: migrations from the steppe Urheimat >

고고학: 스텝 우르하맛에서부터의 이동

 

Archaeological research has unearthed a broad range of historical cultures that can be related to the spread of the Indo-European languages. Various steppe-cultures show strong similarities with the Yamna-horizon at the Pontic steppe, while the time-range of several Asian cultures also coincides with the proposed trajectory and time-range of the Indo-European migrations.[30][1]

 

고고학 연구는 인도-유럽 언어의 확산과 관련이 있는 광범위한 역사 문화를 발굴했다. 다양한 스텝 문화는 폰틱 스텝의 Yamna-horizon과 강한 유사성을 보이는 반면, 여러 아시아 문화의 시간 범위는 인도-유럽 이동의 제안된 궤적과 시간 범위와도 일치한다.

 

According to the widely accepted Kurgan hypothesis or Steppe theory, the Indo-European language and culture spread in several stages from the Proto-Indo-European Urheimat in the Eurasian Pontic steppes into Western Europe, Central and South Asia, through folk migrations and so-called elite recruitment.[1][2] This process started with the introduction of cattle at the Eurasian steppes around 5200 BCE, and the mobilisation of the steppe herder cultures with the introduction of wheeled wagons and horse-back riding, which led to a new kind of culture. Between 4500 and 2500 BCE, this "horizon", which includes several distinctive cultures culminating in the Yamnaya culture, spread out over the Pontic steppes, and outside into Europe and Asia.[1] Anthony regards the Khvalynsk culture as the culture that established the roots of Early Proto-Indo-European around 4500 BCE in the lower and middle Volga.[31]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쿠르간 가설이나 스텝 이론에 따르면 인도유럽 언어와 문화는 유라시아 폰틱 스텝의 프로토-인도-유럽 우르하맛에서 서유럽, 중앙 아시아 & 남 아시아로 민족이동과 소위 엘리트 모집을 통해 여러 단계로 확산되었다. 이 과정은 기원전 5200년경 유라시아 스텝에 소가 유입되고, 바퀴 달린 마차, 말타기 등의 도입으로 스텝 헤르더 문화가 동원되면서 시작되었으며, 이는 새로운 종류의 문화로 이어졌다. 기원전 4500년에서 2500년 사이에, 야마나야 문화에서 절정에 이른 몇몇 독특한 문화들을 포함하는 이 "horizon"은 폰틱 스텝을 넘어 유럽과 아시아로 퍼져나갔다. 앤소니는 기원전 4500년경 Early Proto-Indo-European의 뿌리를 볼가 중하류에 세운 문화로서 Khvalynsk culture를 고려하고 있다.

 

Early migrations at ca. 4200 BCE brought steppe herders into the lower Danube valley, either causing or taking advantage of the collapse of Old Europe.[32] According to Anthony, the Anatolian branch,[33][34] to which the Hittites belong,[35] probably arrived in Anatolia from the Danube valley.[36][37][web 7] Alternatively, David Reich has mentioned that the possibility exists that archaic PIE originated in the Caucasus, from where archaic PIE speaking people migrated into Anatolia.[38][39][40]

 

기원전 4200년경의 초기 이동은 Old Europe의 붕괴를 유발하거나 이용하면서, 초원의 목동을 다뉴브 계곡 하류로 들여왔다. 앤소니에 따르면, 히타이트가 속해있는 아나톨리아 브랜치는 아마도 다뉴브 계곡에서 아나톨리아에 도착했을 것이라고 한다. 대신에, 데이비드 라이치는 archaic PIE가 코카서스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는데, 거기서 archaic PIE speaking people이 아나톨리아로 이주했다고 한다.

 

cf) Old Europe= Danubian culture

relatively homogeneous pre-Indo-European Neolithic culture in Southeastern Europe located in the Danube River valley, also known as Danubian culture.

 

Migrations eastward from the Repin culture founded the Afanasevo culture[1][41] which developed into the Tocharians.[42] The Tarim mummies may represent a migration of Tocharian speakers from the Afanasevo culture into the Tarim Basin.[43] Migrations southward may have founded the Maykop culture,[44] but the Maykop origins could also have been in the Caucasus.[45][web 8]

 

Repin culture로부터 동쪽 이동은 토카리아인으로 발전한 아프나세보 문화를 형성하였다. 타림 미라는 토카리아어 화자들이 아프나세보 문화에서 타림 분지로 이주한 것을 나타낼수도 있다. 남쪽으로의 이주가 메이코프 문화를 형성했을 수도 있지만, 메이코프 기원은 또한 코카서스에 있었을 것이다.

 

Late PIE is related to the Yamnaya culture. Proposals for its origins point to both the eastern Khvalynsk and the western Sredny Stog culture;[46] according to Anthony it originated in the Don-Volga area at ca. 3400 BCE.[47]

 

Late PIEYamnaya 문화와 관련이 있다. 그것의 기원에 대한 제안은 the eastern Khvalynsk and the western Sredny Stog culture를 모두 지적하고 있다. 앤서니에 따르면 그것은 기원전 3400년경에 돈-볼가 지역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The western Indo-European languages (Germanic, Celtic, Italic) probably spread into Europe from the Balkan-Danubian complex, a set of cultures in Southeastern Europe.[3] At ca. 3000 BCE a migration of Proto-Indo-European speakers from the Yamna-culture took place toward the west along the Danube river,[4] Slavic and Baltic developed a little later at the middle Dniepr (present-day Ukraine),[5] moving north toward the Baltic coast.[48] The Corded Ware culture in Middle Europe (third millennium BCE),[web 1] which arose in the contact zone east of the Carpathian mountains, materialized with a massive migration from the Eurasian steppes to Central Europe,[8][web 2][9] probably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spread of the pre-Germanic and pre-Balto-Slavic dialects.[6][7]

 

The western Indo-European languages(독일어, 켈트어, 이탈리아어)는 아마도 남동유럽의 문화 집합체인 Balkan-Danubian complex에서 유럽으로 확산되었을 것이다. 기원전 3000년경 Yamna-culture로부터 프로토-인도-유럽어 사용자들의 이동은 다뉴브 강을 따라 서쪽으로 향하여 일어났고, 슬라빅과 발틱은 발틱 코스트를 따라서 북쪽으로 움직이면서 조금 후에 middle Dniepr(현재의 우크라이나)에서 발전하였다. 중유럽의 Corded Ware culture(기원전 3천년기)는 카르파니아 산맥의 동쪽 접경 지역에서 발생하여 유라시아 스텝으로부터 중앙유럽으로 대규모 이주로 구체화되었으며, 아마도 pre-Germanic and pre-Balto-Slavic dialects가 확산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했을 것이다.

 

The eastern part of the Corded Ware culture contributed to the Sintashta culture (c. 21001800 BCE), where the Indo-Iranian language and culture emerged, and where the chariot was invented.[1] The Indo-Iranian language and culture was further developed in the Andronovo culture (c. 1800800 BCE), and influenced by the BactriaMargiana Archaeological Complex (c. 24001600 BCE). The Indo-Aryans split off around 18001600 BCE from the Iranians,[49] whereafter Indo-Aryan groups moved to the Levant (Mitanni), northern India (Vedic people, c. 1500 BCE), and China (Wusun).[2] The Iranian languages spread throughout the steppes with the Scyths and into Iran with the Medes, Parthians and Persians from ca. 800 BCE.[2]

 

코데드 웨어 문화의 동부는 인도-이란 언어와 문화가 생겨난 신타슈타 문화(기원전 21001800)에 기여했고, 거기서 전차들이 발명되었다. 인도-이란 언어와 문화는 안드로노보 문화(기원전 1800800)에서 더욱 발전하였고, 박트리아-마르기아나 고고학 콤플렉스(기원전 24001600)의 영향을 받았다. 인도-아리아인들은 기원전 1800~1600년경 이란인에서 분리되었고, 그 후 인도-아리아 집단은 레반트(미타니), 북부 인도(Vedic people, 기원전 1500년경), 중국(오손)으로 이주하였다. 이란의 언어는 스키타이와 함께 스텝 지대에 걸쳐 퍼져 나갔고, 800년경 부터 메데스족, 파르티아족, 페르시안족과 함께 이란 안으로 퍼져나갔다.

 

 

< Anthropology: Elite recruitment and language shift >

인류학: 엘리트 모집과 언어 전환

 

According to Marija Gimbutas, the process of "Indo-Europeanization" of Europe was essentially a cultural, not a physical transformation.[50] It is understood as a migration of Yamnaya people to Europe, as military victors, successfully imposing a new administrative system, language and religion upon the indigenous groups, referred to by Gimbutas as Old Europeans.[51][note 2] The Yamnaya people's social organization, especially a patrilinear and patriarchal structure, greatly facilitated their effectiveness in war.[52] According to Gimbutas, the social structure of Old Europe "contrasted with the Indo-European Kurgans who were mobile and non-egalitarian" with a hierarchically organised tripartite social structure; the IE were warlike, lived in smaller villages at times, and had an ideology that centered on the virile male, reflected also in their pantheon. In contrast, the indigenous groups of Old Europe had neither a warrior class nor horses.[53][note 3]

 

마리자 김부타스에 따르면 유럽의 '인도-유럽화' 과정은 본질적으로 육체적 변형이 아니라 문화적인 것이었다. 김부타스가 Old Europeans으로 지칭하는 원주민 집단에게 성공적으로 새로운 행정체계, 언어, 종교를 부과한 것은 군대의 승리자로서 야마나야 사람들의 유럽으로의 이주로 이해되고 있다. 야마나야 사람들의 사회 조직, 특히 patrilinear(부계를 따르는 친족 시스템?)과 가부장적 구조는 전쟁에서 그들의 효과를 크게 촉진시켰다. 김부타스에 따르면, Old Europe의 사회구조는 "이동적이고 비 평등주의적인 인도-유럽 쿠르간인들과 대조를 이루었다"고 한다. IE는 호전적이었고, 때로는 작은 마을에 살았으며, 남성적인 남성 중심의 이념을 가지고 있었으며, 판테온에도 반영되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Old Europe의 원주민 집단은 전사 계급이나 말도 없었다.

 

Indo-European languages probably spread through language shifts.[54][55] Small groups can change a larger cultural area,[56][1] and elite male dominance by small groups may have led to a language shift in northern India.[57][58][59]

 

인도-유럽 언어는 아마도 언어의 변화를 통해 전파되었을 것이다. 작은 집단은 더 큰 문화 영역을 바꿀 수 있고, 작은 집단에 의한 엘리트 남성 지배는 인도 북부의 언어 전환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When Indo-Europeans expanded into Europe from the Pontic-Caspian steppe, they encountered existing populations that spoke dissimilar, unrelated languages. Based on evidence from presumably non-Indo-European lexicon in the European branches of Indo-European, Iversen and Kroonen (2017) postulate a group of "Early European Neolithic" languages that is associated with the Neolithic spread of agriculturalists into Europe. Early European Neolithic languages were supplanted with the arrival of Indo-Europeans, but according to Iversen and Kroonen left their trace in a layer of mostly agricultural vocabulary in the Indo-European languages of Europe.[60]

 

인도-유럽인들이 폰틱-카스피언 스텝에서 유럽으로 확장되었을 때, 그들은 서로 다른, 관련이 없는 언어를 사용하는 기존 인구들과 마주쳤다. 인도유럽인의 유럽 브랜치에 있는 비인도유럽어 어휘로 추정되는 증거에 근거하여 IversenKroonen(2017)은 신석기 농경주의자들의 유럽으로의 확산과 관련이 있는 "초기 유럽 신석기" 언어의 집단을 상정하고 있다. 초기 유럽 신석기 언어는 인도유럽인의 도래로 대체되었지만, IversenKroonen에 따르면 유럽의 인도유럽 언어에서 주로 농업 어휘의 층에 그들의 흔적을 남겼다.

 

According to Edgar Polomé, 30% of non-Indo-European substratum found in modern German derives from non-Indo-European-speakers of Funnelbeaker Culture indigenous to southern Scandinavia.[61] When Yamnaya Indo-European speakers came into contact with the indigenous peoples during the third millennium BCE, they came to dominate the local populations yet parts of the indigenous lexicon persisted in the formation of Proto-Germanic, thus lending to the Germanic languages the status of Indo-Europeanized languages.[62] According again to Marija Gimbutas, Corded Ware cultures migration to Scandinavia "synthesized" with the Funnelbeaker culture, giving birth to the Proto-Germanic language.[50]

 

에드가 폴로메에 따르면 현대 독일어에서 발견된 비인도유럽 기질 중 30%는 남부 스칸디나비아 토착의 Funnelbeaker Culture의 비인도유럽어 화자로부터 유래한다고 한다. 기원전 3천년기 동안 Yamnaya Indo-European 화자들이 원주민들과 접촉했을 때, 그들은 지역 인구를 지배하게 되었지만, 원주민 어휘의 일부는 Proto-Germanic의 형성에 있어서 지속되어 게르만어족에게 인도-유럽 언어의 지위를 빌려주었다. 다시 마리자 김부타스에 따르면, 코데드 웨어 문화는 스칸디나비아로 이주하여 Funnelbeaker culture"합성"하여 Proto-Germanic language를 탄생시켰다.

 

David Anthony, in his "revised Steppe hypothesis"[63] notes that the spread of the Indo-European languages probably did not happen through "chain-type folk migrations", but by the introduction of these languages by ritual and political elites, which were emulated by large groups of people,[64][note 4] a process which he calls "elite recruitment".[66]

 

데이비드 앤서니, 그의 "개정된 스텝 가설"에서 인도 유럽 언어의 확산은 아마도 "chain-type folk migrations"을 통하여 일어나지 않았지만, 그가 "elite recruitment“ 라고 불렀던 과정인 많은 사람들의 그룹에 의해 모방된 의식적이고 정치적인 엘리트들에 의한 이러한 언어들의 소개에 의해서였다고 언급했다.

 

According to Parpola, local elites joined "small but powerful groups" of Indo-European speaking migrants.[54] These migrants had an attractive social system and good weapons, and luxury goods which marked their status and power. Joining these groups was attractive for local leaders, since it strengthened their position, and gave them additional advantages.[67] These new members were further incorporated by matrimonial alliances.[68][55]

 

파르폴라에 따르면 현지 엘리트들은 인도유럽어를 구사하는 이주민들의 '작지만 강력한 집단'에 가입했다. 이 이주자들은 매력적인 사회 시스템과 좋은 무기, 그리고 그들의 지위와 권력을 나타내는 사치품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그룹에 가입하는 것은 지역 지도자들에게 매력적인 일이었는데, 그것은 그들의 입지를 강화시켰고, 그들에게 추가적인 이점을 주었기 때문이다. 이 새로운 구성원들은 결혼 동맹에 의해 더욱 통합되었다.

 

According to Joseph Salmons, language shift is facilitated by "dislocation" of language communities, in which the elite is taken over.[69] According to Salmons, this change is facilitated by "systematic changes in community structure", in which a local community becomes incorporated in a larger social structure.[69][note 5]

 

조셉 살몬스에 따르면, 언어의 변화는 엘리트들이 장악되는 언어 공동체의 '탈권화'에 의해 촉진된다. 살몬스에 따르면, 이러한 변화는 지역사회가 더 큰 사회구조에 편입되는 "공동체 구조의 체계적 변화"에 의해 촉진된다.

 

 

< Genetic relations between historical populations >

역사적 인구와의 유전적 관계

 

Since the 2000s genetic studies are assuming a prominent role in the research on Indo-European migrations. Whole-genome studies reveal relations between the people associated with various cultures and the time-range in which those relations were established. Research by Haak et al. (2015) showed that ~75% of the ancestry of Corded Ware-related people came from Yamna-related populations,[8] while Allentoft et al. (2015) shows that the people of the Sintashta culture are genetically related to those of the Corded Ware culture.[73]

 

2000년대 이후 인도-유럽 이주 연구에서는 유전학 연구가 두드러진 역할을 하고 있다. Whole-genome studies는 다양한 문화와 관련된 사람들과 그러한 관계가 성립된 시간 범위를 보여준다. 하크 외 연구진(2015)은 코데드 웨어 관련 사람들의 조상의 약 75%Yamna-related populations에서 나왔고, 알렌토프트 외 연구진(2015)은 신타시타 문화의 사람들이 코데드 웨어 문화의 사람과 유전적으로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Ecological studies: widespread drought, urban collapse, and pastoral migrations >

생태학적 연구: 광범위한 가뭄, 도시 붕괴, 목축인의 이주

 

Climate change and drought may have triggered both the initial dispersal of Indo-European speakers, and the migration of Indo-Europeans from the steppes in south central Asia and India.

 

기후 변화와 가뭄은 인도-유럽어 사용자들의 초기 분산과 인도-유럽인들이 스텝으로부터 남부 중앙아시아와 인도로 이주하는 것을 촉발시켰을지도 모른다.

 

Around 42004100 BCE a climate change occurred, manifesting in colder winters in Europe.[74] Steppe herders, archaic Proto-Indo-European speakers, spread into the lower Danube valley about 42004000 BCE, either causing or taking advantage of the collapse of Old Europe.[32]

 

기원전 4200~4100년경에는 유럽의 더 추운 겨울에 나타나는 기후 변화가 일어났다. archaic Proto-Indo-European speakersSteppe herders은 기원전 4200~4000년경 다뉴브 계곡 하류로 퍼져나갔고, 이는 Old Europe의 붕괴를 유발하거나 이용했다.

 

The Yamnaya horizon was an adaptation to a climate change that occurred between 3500 and 3000 BCE, in which the steppes became drier and cooler. Herds needed to be moved frequently to feed them sufficiently, and the use of wagons and horse riding made this possible, leading to "a new, more mobile form of pastoralism".[75]

 

Yamnaya 지평선은 기원전 3500년에서 3000년 사이에 일어난 기후 변화에 적응한 것으로, 스텝들이 더 건조해지고 차가워졌다. 목동들은 무리를 충분히 먹이기 위해 수시로 옮겨야 했고, 마차나 승마 등을 이용해 이를 가능하게 해 '새롭고 보다 이동적인 유목의 형태'로 이어졌다.

 

In the second millennium BCE widespread aridization led to water shortages and ecological changes in both the Eurasian steppes and south Asia.[web 10][76] At the steppes, humidization led to a change of vegetation, triggering "higher mobility and transition to the nomadic cattle breeding".[76][note 6][note 7] Water shortage also had a strong impact in south Asia, "causing the collapse of sedentary urban cultures in south central Asia, Afghanistan, Iran, and India, and triggering large-scale migrations".[web 10]

 

기원전 2천년기에 걸친 광범위한 건조화는 유라시아 스텝과 남아시아의 물 부족과 생태학적 변화를 이끌었다. 스텝에서 가습은 초목의 변화로 이어져 "더 높은 이동성과 유목 소 사육으로의 전환"을 촉발시켰다. 물 부족은 "남 중앙 아시아, 아프가니스탄, 이란, 그리고 인도의 정주 도시 문화 붕괴를 초래하고, 대규모 이주를 촉발"하는 등 남아시아에서도 강한 영향을 미쳤다.

 

 

 

<< Origins of the Indo-Europeans >>

인도-유럽인의 기원

 

< Urheimat (original homeland) >

 

 

The Proto-Indo-European Urheimat hypotheses are tentative identifications of the Urheimat, or primary homeland, of the hypothetical Proto-Indo-European language. Such identifications attempt to be consistent with the glottochronology of the language tree and with the archaeology of those places and times. Identifications are made on the basis of how well, if at all, the projected migration routes and times of migration fit the distribution of Indo-European languages, and how closely the sociological model of the original society reconstructed from Proto-Indo-European lexical items fits the archaeological profile. All hypotheses assume a significant period (at least 15002000 years) between the time of the Proto-Indo-European language and the earliest attested texts, at Kültepe, c. 19th century BCE.

 

Proto-Indo-European Urheimat hypothesesUrheimat 혹은 가상적인 프로토-인도-유럽어의 primary homeland를 잠정적으로 동일시 한 것이다. 그러한 동일시는 언어 트리의 언어연대학과 그 장소와 시대의 고고학과도 일치하도록 시도한다. 동일시는 예상된 이주 경로와 이주 시기가 인도유럽 언어의 분포에 얼마나 잘 맞는지, 프로토-인도-유럽 어휘목록에서 재구성된 원래의 사회의 사회학적 모델이 고고학적 프로파일과 얼마나 밀접하게 맞는지 등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모든 가설은 프로토-인도-유럽어 시대와 기원전 19세기 Kültepe(퀼테페)에서 가장 먼저 증명된 문헌 사이의 유의한 기간(최소한 1500-2000)을 가정한다.

 

 

< The Kurgan hypothesis and the "revised steppe theory" >

쿠르간 가설과 개정된 스텝 이론

 

Since the early 1980s[77] the mainstream consensus among Indo-Europeanists favors Marija Gimbutas' "Kurgan hypothesis",[78][79][13][19] c.q. David Anthony's "Revised Steppe theory", derived from Gimbutas' pioneering work,[1] placing the Indo-European homeland in the Pontic steppe, more specifically, between the Dniepr (Ukraine) and the Ural river (Russia), of the Chalcolithic period (4th to 5th millennia BCE),[78] where various related cultures developed.[78][1]

 

1980년대 초기 이래로 Indo-Europeanists 사이에서 주류 합의는 마리자 김부타스의 "Kurgan 가설에 편들었는데, 데이비드 안토니의 김부타스의 개척적인 작업으로 부터 파생된 "Revised Steppe theory" (개정된 스텝 이론)은 인도-유럽어의 홈랜드로 여러가지 관련된 문화가 발전했던 동기시대(기원전 4,5 천년기)Dniepr(우크라이나)Ural river(러시아)사이의 폰틱 스텝을 상정했다.

 

The Pontic steppe is a large area of grasslands in far Eastern Europe, located north of the Black Sea, Caucasus Mountains and Caspian Sea and including parts of eastern Ukraine, southern Russia and northwest Kazakhstan. This is the time and place of the earliest domestication of the horse, which according to this hypothesis was the work of early Indo-Europeans, allowing them to expand outwards and assimilate or conquer many other cultures.[1]

 

폰틱 스텝은 흑해, 코카서스 산맥, 카스피해의 북쪽에 위치하며 우크라이나 동부, 러시아 남부, 카자흐스탄 북서부의 일부를 포함하는 극동유럽의 넓은 초원 지역이다. 이곳은 말이 가장 일찍 가축화된 시기와 장소인데, 이 가설에 따르면 인도-유럽 초기 사람들이 바깥으로 확장하여 많은 다른 문화를 동화하거나 정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었다.

 

The Kurgan hypothesis (also theory or model) argues that the people of an archaeological "Kurgan culture" (a term grouping the Yamnaya or Pit Grave culture and its predecessors) in the Pontic steppe were the most likely speakers of the Proto-Indo-European language. The term is derived from kurgan (курган), a Turkic loanword in Russian for a tumulus or burial mound. An origin at the Pontic-Caspian steppes is the most widely accepted scenario of Indo-European origins.[80][81][13][19][note 8]

 

쿠르간 가설(이론이나 모델)은 폰틱 스텝에 있는 고고학적 "쿠르간 문화"(Yamnaya or Pit Grave culture 와 그 이전 세대들을 그룹화한 용어)의 사람들이 프로토-인도-유럽 언어의 가장 유력한 화자였다고 주장한다. 이 용어는 러시아어로 종양이나 무덤을 뜻하는 투르크어 외래어인 쿠르간(уураа)에서 유래되었다. 폰틱-카스피언 스텝 지대의 기원은 인도-유럽 기원의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시나리오다.

 

Marija Gimbutas formulated her Kurgan hypothesis in the 1950s, grouping together a number of related cultures at the Pontic steppes. She defined the "Kurgan culture" as composed of four successive periods, with the earliest (Kurgan I) including the Samara and Seroglazovo cultures of the Dnieper/Volga region in the Copper Age (early 4th millennium BCE). The bearers of these cultures were nomadic pastoralists, who, according to the model, by the early 3rd millennium expanded throughout the PonticCaspian steppe and into Eastern Europe.[82]

 

마리자 김부타스는 1950년대에 폰틱 스텝에서 많은 관련 문화들을 한데 모아서 자신의 쿠르간 가설을 공식화하였다. 그녀는 "쿠르간 문화"를 구리시대(기원전 4천년 초)에 드네프르/볼가 지역의 the Samara and Seroglazovo cultures 문화를 포함한 최초의( (Kurgan I) 과 함께 4개의 연속된 시기로 구성했다고 정의했다. 이러한 문화의 전달자는 유목 목축민들이었는데, 모델에 따르면, 기원전 3천년기초까지 폰틱-카스피언 스텝 전체와 동유럽으로 확장되었다.

 

Gimbutas' grouping is nowadays considered to have been too broad. According to Anthony, it is better to speak of the Yamnaya culture or of a "Yamnaya horizon", which included several related cultures, as the defining Proto-Indo-European culture at the Pontic steppe.[1] David Anthony has incorporated recent developments in his "revised steppe theory", which also supports a steppe origin of the Indo-European languages.[1][83] Anthony emphasizes the Yamnaya culture (33002500 BCE),[1] which according to him started on the middle Don and Volga, as the origin of the Indo-European dispersal,[1][83] but regards Khvalynsk archaeological culture since around 4500 BCE as the oldest phase of Proto-Indo-European in the lower and middle Volga, a culture that kept domesticated sheep, goats, cattle and maybe horses.[31] Recent research by Haak et al. (2015) confirms the migration of Yamnaya-people into western Europe, forming the Corded Ware culture.[8]

 

오늘날 김부타스의 grouping은 너무 광범위했다고 여겨진다. 앤서니에 따르면, 폰틱 스텝에서 프로토-인도-유럽 문화를 정의하는 것으로서 여러 관련 문화를 포함하는 야마나야 문화나 '야마나야 지평선'을 말하는 것이 더 좋다고 한다. 데이비드 앤서니는 인도-유럽 언어의 스텝 기원을 뒷받침하는 그의 "개정된 스텝 이론"에 최근의 발전을 접목시켰다. 앤서니는 the Indo-European dispersal의 기원으로 돈강과 볼가강의 중류에서 시작된 Yamana culture(기원전 3300-2500)을 강조하고 있지만, 볼가강 하류와 중류에서 프로토-인도-유럽어의 가장 오래된 시기로서 기원전 4500년경 이래 양, 염소, , 아마도 말들을 길들였던 문화인 Khvalynsk archaeological culture를 간주한다. Haak 외 연구진(2015)의 최근 연구는 야마나야 사람들이 서유럽으로 이주하여 코데드 웨어 문화를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시켜 준다.

 

cf) Khvalynsk culture

https://en.wikipedia.org/wiki/Khvalynsk_culture

 

cf) Samara culture(기원전 5천년기)-> Khvalynsk culture(기원전 4900-3500년경)-> Yamnaya culture(기원전 3300-2600년경)

 

A recent analysis by Anthony (2019) also suggests a genetic origin of proto-Indo-Europeans (of the Yamnaya culture) in the Eastern European steppe north of the Caucasus, deriving from a mixture of Eastern European Hunter-Gatherers (EHGs) and hunter-gatherers from the Caucasus (CHGs). Anthony additionally suggests that the proto-Indo-European language formed mainly from a base of languages spoken by Eastern European hunter-gathers with influences from languages of northern Caucasus hunter-gatherers, in addition to a possible later, and minor, influence from the language of the Maikop culture to the south (which is hypothesized to have belonged to the North Caucasian family) in the later neolithic or Bronze Age involving little genetic impact.[84]

 

앤서니(2019)의 최근 분석에서 또한 Eastern European Hunter-Gatherers (EHGs)hunter-gatherers from the Caucasus (CHGs)의 혼합에서 유래한 코가서스 북쪽의 동유럽 스텝에서의 프로토-인도-유럽인(야마니야 문화의)의 유전적 기원을 제안한다. 앤소니는 추가적으로 프로토-인도-유럽 언어는 주로 northern Caucasus hunter-gatherers의 언어로부터 영향을 받은 Eastern European hunter-gathers이 사용하는 언어의 기반에서 형성되었으며, 그 외에도 가능한 나중에, 그리고 사소한 것이 유전적 임팩트가 거의 없는 후기 신석기 시대나 청동기 시대에 마이캅 문화의 언어로부터 남쪽에까지 영향을 준다고 제안한다.

cf) Maykop culture

https://en.wikipedia.org/wiki/Maykop_culture

 

 

< Proto-Indo-Europeans >

 

The Proto-Indo-Europeans were the speakers of the Proto-Indo-European language (PIE), a reconstructed prehistoric language of Eurasia. Knowledge of them comes chiefly from the linguistic reconstruction, along with material evidence from archaeology and archaeogenetics.

 

프로토-인도-유럽인들은 유라시아의 재구성된 선사시대 언어인 프로토-인도-유럽어(PIE)의 화자였다. 그들에 대한 지식은 주로 고고학과 고고유전학?에서 나온 물질적 증거와 함께 언어적 재구성에서 나온다.

 

1.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ome archaeologists, PIE speakers cannot be assumed to have been a single, identifiable people or tribe, but were a group of loosely related populations ancestral to the later, still partially prehistoric, Bronze Age Indo-Europeans. This view is held especially by those archaeologists who posit an original homeland of vast extent and immense time depth. However, this view is not shared by linguists, as proto-languages generally occupy small geographical areas over a very limited time span, and are generally spoken by close-knit communities such as a single small tribe.[90]

 

일부 고고학자들에 따르면, PIE 화자는 단일의 식별 가능한 사람들 또는 부족이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없지만, 나중에 여전히 부분적으로 선사시대인 청동기시대 인도-유럽인들과는 느슨하게 연관되어 있는 집단이었다. 이 견해는 특히 방대한 범위와 엄청난 시간의 깊이의 본래의 original homeland을 가정하는 고고학자들이 갖고 있다. 그러나 proto-languages는 일반적으로 매우 제한된 기간 동안 작은 지리적 영역을 차지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하나의 작은 부족과 같은 친밀한 공동체가 말하므로 이러한 관점은 언어학자들이 공유하지 않는다.

 

The Proto-Indo-Europeans were likely to have lived during the late Neolithic, or roughly the 4th millennium BCE. Mainstream scholarship places them in the forest-steppe zone immediately to the north of the western end of the PonticCaspian steppe in Eastern Europe. Some archaeologists would extend the time depth of PIE to the middle Neolithic (5500 to 4500 BCE) or even the early Neolithic (7500 to 5500 BCE), and suggest alternative Proto-Indo-European original homelands.

 

프로토-인도-유럽인들은 신석기 후기, 즉 기원전 4천년기에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주류 학문은 동유럽의 폰틱-카스피언 스텝 서쪽 끝의 바로 북쪽에 있는 forest-steppe zone에 그들을 배치한다. 일부 고고학자들은 중기의 신석기시대(기원전 5500~4500)나 초기 신석기시대(기원전 7500~5500)까지 PIE의 시간적 깊이를 연장하고, 대안적인 프로토-인도-유럽 original homelands를 제안하기도 한다.

 

By the late third millennium BCE, offshoots of the Proto-Indo-Europeans had reached Anatolia (Hittites), the Aegean (Mycenaean Greece), Western Europe, and southern Siberia (Afanasevo culture).[

 

기원전 3천년기 후반에 이르러 프로토-인도-유럽인들의 발걸음은 아나톨리아(히타이트), 에게(미케네안 그리스), 서유럽, 남부 시베리아(아파나세보 문화)에 이르렀다.

 

2. Origins of Proto-Indo-Europeans

 

The proto-Indo-Europeans, i.e. the Yamnaya people and the related cultures, seem to have been a mix from Eastern European hunter-gatherers; and people related to the Near East,[92] i.e. Caucasus hunter-gatherers (CHG)[93] i.e. Iran Chalcolithic people with a Caucasian hunter-gatherer component.[94] Where this CHG-component came from is unknown; the mix of EHG and CHG may result from "an existing natural genetic gradient running from EHG far to the north to CHG/Iran in the south,"[95] or it may be explained as "the result of Iranian/CHG-related ancestry reaching the steppe zone independently and prior to a stream of AF [Anatolian Farmer] ancestry,"[95] reaching the steppes with people who migrated northwards into the steppes between 5,000 and 3,000 BCE.[34][84][note 12]

 

프로토-인도-유럽인, 즉 야마나야 사람들과 관련 문화는 Eastern European hunter-gatherers, 그리고 근동 즉 코카서스 수렵-채집자(CHG), Caucasian hunter-gatherer component를 가진 Iran Chalcolithic people(이란계 금석병용의 사람들)가 혼재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CHG-component가 어디서 왔는지 알수 없다; EHGCHG의 혼합은 북쪽 멀리 EHG로부터 남쪽 CHG/Iran까지 진행된 기존의 자연의 genetic gradient(유전적 비탈)” 혹은 기원전 5000에서 3000년 사이에 스텝 안으로 북쪽 이동을 한 사람들과 함께 스텝에 도달했을 “AF [Anatolian Farmer] 조상의 흐름이전에 독립적으로 스텝 존에 도달한 Iranian/CHG-related 조상의 결과로 설명되어질 수도 있다.

 

3. Origins of archaic PIE

 

Different possibilities exist regarding the genesis of archaic PIE.[38][84][21][96] While the consensus is that early and late PIE languages originated on the Pontic steppes, the location of the origin of archaic PIE has become the focus of renewed attention, due to the question where the CHG-component came from, and if they were the carriers of archaic PIE.[38] Some suggest an origin of Archaic PIE from languages of the (EHG) hunter-gatherers of the Eastern European/Eurasian Steppe, some suggest an origin in or south of the Caucasus, and others suggest a mixed origin from the languages of both aforementioned regions.

 

archaic PIE의 발생에 관하여 다른 가능성이 존재한다. Pontic steppes에서 초기 및 후기 PIE 언어가 유래되었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었지만, CHG 구성요소가 어디서 왔는지, 그리고 그들이 고대 PIE의 매개체인지에 대한 의문 때문에, 고대 PIE의 오리진의 위치는 새롭게 주목받는 대상이 되었다. 일부는 동유럽/유라시아 스텝의 (EHG) 수렵채집자의 언어에서 고대 PIE의 기원을 제시하고, 일부는 코카서스 또는 남쪽에서 기원을 제시하며, 다른 일부는 앞서 언급한 두 지역의 언어에서 기원을 혼합하여 기원을 제시한다.

 

1) Caucasus origins

Some recent DNA-research has led to renewed suggestions, most notably by David Reich, of a Caucasian homeland for archaic or 'proto-proto-Indo-European', from where archaic PIE speaking people migrated into Anatolia, where the Anatolian languages developed, while at the steppes archaic PIE developed into early and late PIE.[8][96][97][98][38][39][40][99][note 14]

 

최근 몇몇 DNA-research, 특히 David Reich에 의한 리서치는 archaic or 'proto-proto-Indo-European의 코카서스 홈랜드에 대한 새로운 제안을 냈다- archaic PIE speaking people이 어디서부터 아나톨리아로 이동했는지, 아나톨리아어가 어디서 발달했는지, 스텝에서 archaic PIE가 초기와 후기 PIE 로 언제 발전했는지.

 

Anthony (2019, 2020) criticizes the Southern/Caucasian origin proposals of Reich and Kristiansen, and rejects the possibility that the Bronze Age Maykop people of the Caucasus were a southern source of language and genetics of Indo-European. According to Anthony, referring to Wang et al. (2018),[note 15] the Maykop-culture had little genetic impact on the Yamnaya, whose paternal lineages were found to differ from those found in Maykop remains, but were instead related to those of earlier Eastern European hunter-gatherers. Also, the Maykop (and other contemporary Caucasus samples), along with CHG from this date, had significant Anatolian Farmer ancestry "which had spread into the Caucasus from the west after about 5000 BC", while the Yamnaya had a lower percentage which does not fit with a Maykop origin. Partly for these reasons, Anthony concludes that Bronze Age Caucasus groups such as the Maykop "played only a minor role, if any, in the formation of Yamnaya ancestry." According to Anthony, the roots of Proto-Indo-European (archaic or proto-proto-Indo-European) were mainly in the steppe rather than the south. Anthony considers it likely that the Maykop spoke a Northern Caucasian language not ancestral to Indo-European.[104][84]

 

앤서니(2019, 2020)는 라이히와 크리스티안센의 Southern/Caucasian origin 제안을 비판하고, 코카서스의 청동기 시대 Maykop people이 인도유럽어의 남방 언어와 유전학의 원천이었을 가능성을 배척한다. 앤서니에 따르면, 왕 외 연구진(2018)을 언급하면서, 메이코프 문화는 야마나야에 유전적 영향은 거의 없었으며, 야마나야의 paternal lineages은 메이코프 유해에서 발견된 것과 다른 것으로 밝혀졌지만, 대신 이전 동유럽 수렵채집자들의 그것과 관련이 있었다. 또한, 메이코프(및 다른 현대 코카서스 표본들)는 이 날로부터 CHG와 함께 "기원전 5000년경 이후 서쪽에서 코카서스로 퍼진" 아나톨리안 파머 조상이 유의미한 반면, 야마나야는 메이코프 기원과 맞지 않는 낮은 비율을 가지고 있었다. 부분적으로 이러한 이유로, 앤소니는 메이코프와 같은 청동기 시대의 코카서스 집단이 "만약 있더라도 야마나야 조상의 형성에 있어서, 작은 역할만 했다"고 결론짓는다. 앤소니에 따르면 프로토-인도-유럽어의 뿌리(archaic or proto-proto-Indo-European)는 남쪽보다는 주로 스텝에 있었다. 앤소니는 메이코프가 인도유럽어에게 조상이 아닌 Northern Caucasian language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2) Indo-Uralic Urheimat

Bomhard's alternative Caucasian substrate hypothesis proposes a "north-Caspian Indo-Uralic" Urheimat, involving an origin of PIE from the contact of two languages; a Eurasian steppe language from the north Caspian (related to Uralic) which acquired a substratal influence from a northwest Caucasian language.[105][note 16] According to Anthony (2019), a genetic relationship to Uralic is unlikely and cannot be reliably proven; similarities between Uralic and Indo-European would be explained by early borrowings and influence.[84]

 

봄하드의 alternative Caucasian substrate hypothesis은 두개의 언어의 접촉으로부터 PIE 의 오리진을 인벌브 시키는 "north-Caspian Indo-Uralic" Urheimt를 제안했다; northwest Caucasian language로부터 기체적 영향력을 획득한 north Caspian (related to Uralic)로부터의 유라시안 스텝 언어. Anthony(2019)에 따르면, 우랄릭과 유전적 관계는 가능성이 낮고 신뢰할 수 없다; 우랄릭과 인도유럽의 유사성은 초기 차용과 영향력에 의해 설명될 것이다.

 

3) Steppe origins with south Caspian CHG-influences

 

Anthony argues that proto-Indo European formed mainly from the languages of Eastern European hunter-gatherers with influences from those of Caucasus hunter-gatherers,[104] and suggests that the archaic proto-Indo-European language formed in the Volga Basin (in the Eastern European Steppe).

 

앤소니는 프로토-인도-유럽어가 주로 코카서스 수렵-채집자의 영향을 받은 동유럽 수렵-채집자의 언어에서 형성되었다고 주장하며,[104] archaic proto-Indo-European language가 볼가 분지(동유럽 스텝)에서 형성되었음을 시사한다.[84]

 

It developed from a base of languages spoken by Eastern European hunter-gathers at the Volga steppe plains, with some influences from languages of northern Caucasus hunter-gatherers who migrated from the Caucasus to the lower Volga. Additionally, there is possible later influence, involving little genetic impact, in the later neolithic or Bronze Age from the language of the Maykop culture to the south, which is hypothesized to have belonged to the North Caucasian family.[84]

 

그것은 볼가 스텝 평원에서 동유럽 수렵 채집자들이 사용하는 언어의 기초로부터 발전했으며, 코카서스에서 볼가강 하류로 이주한 북부 코카서스 수렵채집자들의 언어로부터 일부 영향을 받았다. 게다가, 후기 신석기 시대나 청동기 시대에는, 거의 유전적 영향을 받지 않은 메이코프 문화의 언어로부터 남쪽에 이르기까지 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데, 이것(메이코프?)North Caucasian family에 속한다고 가설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thony, hunting-fishing camps from the lower Volga, dated 62004500 BCE, could be the remains of people who contributed the CHG-component, similar to the Hotu cave, migrating from northwestern Iran or Azerbaijan via the western Caspian coast. They mixed with EHG-people from the northern Volga steppes, forming the Khvalynsk culture, which "might represent the oldest phase of PIE.".[84][38][note 17] The resulting culture contributed to the Sredny Stog culture,[114] a predecessor of the Yamnaya culture.

 

앤서니에 따르면 기원전 6200~4500년 경의 볼가 하류의 사냥 어획 캠프는 western Caspian coast를 통해 이란 북서쪽이나 아제르바이잔으로부터 이주함으로써(후투 동굴 처럼) CHG 성분에 기여한 사람들의 유해가 될 수 있다고 한다. 그들은 북부 볼가 스텝으로부터 EHG 사람들과 섞여, "가장 오래된 PIE의 단계를 상징할 것"Khvalynsk 문화를 형성했다. 그 결과로 생긴 문화는 야마나야 문화의 전신인 Sredny Stog culture에 기여했다.

 

cf) Sredny Stog culture

https://en.wikipedia.org/wiki/Sredny_Stog_culture

 

 

<< Archaic Proto-Indo-European >>

 

< Pre-Yamnaya steppe cultures >

 

According to Anthony, the development of the Proto-Indo-European cultures started with the introduction of cattle at the Pontic-Caspian steppes.[115] Until ca. 52005000 BCE the Pontic-Caspian steppes were populated by hunter-gatherers.[116] According to Anthony, the first cattle herders arrived from the Danube Valley at ca. 58005700 BCE, descendants from the first European farmers.[117] They formed the Criş culture (58005300 BCE), creating a cultural frontier at the Prut-Dniestr watershed.[118]

 

앤소니에 따르면 프로토-인도-유럽 문화의 발전은 폰틱-카스피언 스텝에서 소가 소개되면서 시작되었다. 기원전 52005000년경 까지 폰틱-카스피언 스텝들은 수렵-채집자들이 서식했다. Anthony에 따르면, 최초의 소 목축업자들은 기원전 5800~5700년경 다뉴브 계곡로부터 도착하였고, 첫 번째 유럽 농부들의 후손들이다. 그들은 Criş culture(기원전 58005300)를 형성하여 Prut-Dniestr watershed(프루트-디니프르 유역)의 문화적 프론티어(변경?)를 형성하였다.

 

The adjacent BugDniester culture (63005500 BCE) was a local culture, from where cattle breeding spread to the steppe peoples.[119] The Dniepr Rapids area was the next part of the Pontic-Caspian steppes to shift to cattle-herding. It was the densely populated area of the Pontic-Caspian steppes at the time, and had been inhabited by various hunter-gatherer populations since the end of the Ice Age. From ca.58005200 it was inhabited by the first phase of the Dnieper-Donets culture, a hunter-gatherer culture contemporaneous with the Bug-Dniestr culture.[120]

 

인접한 Bug-Dniester culture(기원전 63005500)는 소의 번식이 스텝 피플에까지 퍼진 곳으로부터의 지역 문화였다. Dniepr Rapids(우크라이너 강 지도에 나옴) 지역은 소떼들로 옮겨간 폰틱-카스피언 스텝의 다음 지역이었다. 당시 폰틱-카스피언 스텝 지대는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이었으며, 빙하시대 말기부터 다양한 수렵·채집 인구가 거주하고 있었다. 기원전 58005200년경부터 그것은 Bug-Dniestr culture와 동시대인 hunter-gatherer cultureDnieper-Donets 문화의 제1단계에 의해 거주하고 있다.

 

At ca. 52005000 BCE the CucuteniTrypillia culture (60003500 BCE) (aka Tripolye culture), presumed to be non-Indo-European speaking, appears east of the Carpathian mountains, [121] moving the cultural frontier to the Southern Bug valley,[122] while the foragers at the Dniepr Rapids shifted to cattle herding, marking the shift to Dniepr-Donets II (5200/5000 4400/4200 BCE).[123] The Dniepr-Donets culture kept cattle not only for ritual sacrifices, but also for their daily diet.[124] The Khvalynsk culture (47003800 BCE),[124] located at the middle Volga, which was connected with the Danube Valley by trade networks,[125] also had cattle and sheep, but they were "more important in ritual sacrifices than in the diet".[126] The Samara culture (early 5th millennium BCE),[note 18] north of the Khvalynsk culture, interacted with the Khvalynsk culture,[127] while the archaeological findings seem related to those of the Dniepr-Donets II Culture.[127]

 

기원전 52005000년경 non-Indo-European speaking로 추정되는 CucuteniTrypillia culture (60003500 BCE) (aka Tripolye culture)는 카르파티아 산맥의 동쪽에 나타났는데, 약탈자들이 the Dniepr Rapids에서 소떼를 이동하면서 Dniepr-Donets II (5200/5000 4400/4200 BCE)를 만드는 동안, 그들의 프론티어는 the Southern Bug valley로 이동하였다. Dniepr-Donets 문화는 의식적인 희생뿐만 아니라 그들의 일상 식단을 위해 소를 기르고 있다. 무역망에 의해 다뉴브 계곡과 연결된 볼가 중류에 위치한 Khvalynsk culture (47003800 BCE)도 소와 양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들은 "식사 보다 의식 희생에 더 중요했다"고 했다. Khvalynsk 문화의 북쪽에 있는 Samara 문화(기원전 5천년기 초반)Khvalynsk 문화와 상호작용을 하였으며, 고고학적 발견은 Dniepr-Donets II culture의 문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e Sredny Stog culture (44003300 BCE)[128] appears at the same location as the Dniepr-Donets culture, but shows influences from people who came from the Volga river region.[114] According to Vasiliev, the Khvalynsk and Sredny Stog cultures show strong similarities, suggesting "a broad Sredny Stog-Khvalynsk horizon embracing the entire Pontic-Caspian during the Eneolithic."[129] From this horizon arose the Yamnaya culture, which also spread over the entire Pontic-Caspian steppe.[129]

 

Sredny Stog culture (44003300 BCE)Dniepr-Donets culture와 같은 위치에 나타나지만 볼가 강 지역에서 온 사람들의 영향을 보여준다. 바실리예프에 따르면 Khvalynsk Sredny Stog cultures"Eneolithic 동안 폰틱-카스피해 전체를 아우르는 넓은 Sredny Stog-Khvalynsk horizon"을 암시하며 강한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 이 지평선으로부터 야마나야 문화가 생겨났고, 이 문화는 또한 폰틱-카스피해 스텝 전체로 퍼져나갔다.

 

cf) Ukrainian rivers

https://en.wikipedia.org/wiki/Indo-European_migrations#/media/File:Ukraine_rivers.png

 

** 간단 정리(정확하지 않음)

1) 앤소니에 따르면 프로토-인도-유럽 문화의 발전은 폰틱-카스피언 스텝에서 소가 소개되면서 시작되었다. 최초의 소 목축업자들은 기원전 5800~5700년경 다뉴브 계곡으로부터 도착하였고, 첫 번째 유럽 농부들의 후손들이다. 그들은 the Criş culture (58005300 BCE)/ 헝가리 동부와 루마니아에 위치)를 형성

-> Prut-Dniestr watershed 지역에 영향

-> 인접한 Bug-Dniester culture(기원전 63005500)에 영향

2) 흑해 북서부의 CucuteniTrypillia culture (60003500 BCE) (aka Tripolye culture)the Southern Bug valley로 이동하며 Dniepr-Donets II culture에 영향?

3) 흑해 북부의 Dniepr-Donets culture(5800-4200 BCE)-> western Sredny Stog culture (44003300 BCE/ 드네프르 강 Dniepr)-> Yamnaya culture(3300-2600 BCE)

4) 볼가강 상류의 Samara culture(기원전 5천년기)-> eastern Khvalynsk culture(4900-3500 BCE/ 볼가 강 중류)-> Yamnaya culture(3300-2600 BCE)

 

5) 바실리예프에 따르면 Khvalynsk Sredny Stog cultures"Eneolithic 동안 폰틱-카스피해 전체를 아우르는 넓은 Sredny Stog-Khvalynsk horizon"을 제안하며 강한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 이 지평선으로부터 야마나야 문화가 생겨났고, 이 문화는 또한 폰틱-카스피해 스텝 전체로 퍼져나갔다.

 

 

< Europe: migration into the Danube Valley (4200 BCE)

 

According to Anthony, the Pre-Yamnaya steppe herders, archaic Proto-Indo-European speakers, spread into the lower Danube valley about 42004000 BCE, either causing or taking advantage of the collapse of Old Europe,[32] their languages "probably included archaic Proto-Indo-European dialects of the kind partly preserved later in Anatolian."[130]

 

앤서니에 따르면, archaic Proto-Indo-European speakers인 프리 야마나야 스텝 목동들은 기원전 4200~4000년경 다뉴브 계곡으로 퍼져 나갔고,[32] Old Europe의 붕괴를 유발시켰거나 이용했으며, 그들의 언어는 "나중에 아나톨리아어로 부분적으로 보존된 고대 프로토-인도-유럽어 사투리를 포함했을 가능성이 있다"[130]고 한다.

 

cf) Old Europe =Danubian culture.

* pre-Indo-European Neolithic culture in Southeastern Europe located in the Danube River valley

 

< Anatolia: Archaic Proto-Indo-European (Hittites; 45003500 BCE) >

 

The Anatolians were a group of distinct Indo-European peoples who spoke the Anatolian languages and shared a common culture.[131][132][133][134][135] The Anatolians' earliest linguistic and historical attestation are as names mentioned in Assyrian mercantile texts from 19th-century BCE Kanesh.[131]

 

아나톨리아인들은 아나톨리아어를 말하고 공통의 문화를 공유하는 확실한 인도-유럽 민족들의 집단이었다. 아나톨리아인들의 초기 언어적, 역사적 증명은 기원전 19세기 카네쉬(퀼테페)의 아시리아 상업적 문헌에서 언급된 이름이다.

 

The Anatolian languages were a branch of the larger Indo-European language family. The archaeological discovery of the archives of the Hittites and the classification of the Hittite language to a separate Anatolian branch of the Indo-European languages caused a sensation among historians, forcing a re-evaluation of Near Eastern history and Indo-European linguistics.[135]

 

아나톨리아어는 더 큰 인도유럽어족의 한 분파였다. 히타이트족의 기록보관소 고고학적 발굴과 인도-유럽어의 아나톨리언 브랜치로 분리된 히타이트어의 분류는 역사학자들 사이에 센세이션을 일으켜 근동역사와 인도유럽언어학에 대한 재평가가 불가피해졌다.

 

 

1. Origins

 

Damgaard et al. (2018) note that "[a]mong comparative linguists, a Balkan route for the introduction of Anatolian IE is generally considered more likely than a passage through the Caucasus, due, for example, to greater Anatolian IE presence and language diversity in the west."[34]

 

Damgaard 외 연구진(2018)"비교 언어학자 사이에서, Anatolian IE를 도입하기 위한 발칸 경로가 일반적으로 코카서스를 통과하는 통로보다 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간주되는데, 이는 예를 들어 서부에서 아나톨리아 IE의 존재와 언어 다양성이 더 크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Mathieson et al. note the absence of "large amounts" of steppe-ancestry in the Balkan peninsula and Anatolia, which may indicate that archaic PIE originated in the Caucasus or Iran, but also state that "it remains possible that Indo-European languages were spread through southeastern Europe into Anatolia without large-scale population movement or admixture."[101]

 

마티손 외 연구진은 발칸반도와 아나톨리아에 "대량"steppe-ancestry의 부재를 주목한다. 이는 archaic PIE가 코카서스나 이란에서 기원하였음을 나타낼 수 있지만, 인도-유럽 언어가 대규모 인구 이동이나 혼합 없이 남동유럽을 거쳐 아나톨리아로 전파되었을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Damgaard et al. (2018), found "no correlation between genetic ancestry and exclusive ethnic or political identities among the populations of Bronze Age Central Anatolia, as has previously been hypothesized."[34] According to them, the Hittites lacked steppe-ancestry, arguing that "the Anatolian clade of IE languages did not derive from a large-scale Copper Age/Early Bronze Age population movement from the steppe," contrary Anthony's proposal of a large-scale migration via the Balkan as proposed in 2007.[34] The first IE-speakers may have reached Anatolia "by way of commercial contacts and small-scale movement during the Bronze Age."[34] They further state that their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historical models of cultural hybridity and 'middle ground' in a multicultural and multilingual but genetically homogeneous Bronze Age Anatolia," as proposed by other researchers.[34]

 

담가르드 외 연구진(2018)"기존 가설처럼 청동기 중앙 아나톨리아의 인구 중 유전적 조상과 배타적 민족 또는 정치적 정체성 사이의 상관관계가 없다"고 밝혔다. 이들에 따르면 히타이트인들은 2007년 제안된 대로 발칸을 통한 대규모 이주를 제안했던 앤소니의 제안과는 달리 "IE 언어의 아나톨리아어 분기군은 스텝으로부터 대규모 동기시대/초기 청동기시대 인구 이동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다"라고 주장하면서 steppe-ancestry가 부족했다고 한다. 최초의 IE 화자들은 "청동기 시대의 상업적 접촉과 소규모의 움직임을 통해" 아나톨리아에 도달했을지도 모른다. 그들은 또한 그들의 연구 결과가 다른 연구자들이 제안한 것처럼 "다문화적이고 다언어적이지만 유전적으로 동질적인 청동기 시대의 아나톨리아에서 문화적 잡종과 '중간지'의 역사적 모델과 일치한다"고 진술하고 있다

 

According to Kroonen et al. (2018), in the linguistic supplement to Damgaard et al. (2018), aDNA studies in Anatolia "show no indication of a large-scale intrusion of a steppe population", but do "fit the recently developed consensus among linguists and historians that the speakers of the Anatolian languages established themselves in Anatolia by gradual infiltration and cultural assimilation."[136] They further note that this lends support to the Indo-Hittite hypothesis, according to which both proto-Anatolian and proto-Indo-European split-off from a common mother language "no later than the 4th millennium BCE."[137]

 

크로넨 외 연구진(2018)에 따르면, Damgaard 외 연구진(2018)의 언어 보충 자료에서 아나톨리아의 aDNA 연구는 "대규모의 스텝 인구 침입의 징후는 보이지 않지만, “언어학자와 역사가들 사이에 아나톨리아어 화자들은 점진적으로 침투와 문화적 동화에 의하여 아나톨리아 안에서 그들 스스로 확립했다는 최근에 확립된 의견과 맞는다고 밝혔다. 그들은 또한 이것이 인도-히타이트 가설의 지지를 돕는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 가설은 프로토-아나톨리아어 및 프로토-인도-유럽어 양쪽이 기원전 4천년기 이전에 공통 모국어로부터 분리되었다는 것이다.

 

2. Time-frame

 

Although the Hittites are first attested in the 2nd millennium BCE,[35] the Anatolian branch seems to have separated at a very early stage from Proto-Indo-European, or may have developed from an older Pre-Proto-Indo-European ancestor.[138]

 

기원전 2천년기에 히타이트족이 처음 증명되기는 하지만 아나톨리아 브랜치는 프로토-인도-유럽에서 아주 초기 단계에서 분리되었거나, 더 오래된 Pre-Proto-Indo-European ancestor으로부터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

 

Considering a steppe origin for archaic PIE, together with the Tocharians the Anatolians constituted the first known dispersal of Indo-European out of the Eurasian steppe.[139] Although those archaic PIE-speakers had wagons, they probably reached Anatolia before Indo-Europeans had learned to use chariots for war.[139] It is likely that their arrival was one of gradual settlement and not as an invading army.[131]

 

archaic PIE의 스텝 기원을 고려했을 때, 아나톨리아인들은 토카리인들과 함께 유라시아 스텝에서 Indo-European으로 알려진 최초의 분산을 구성했다. 비록 그 archaic PIE-speakers이 마차를 가지고 있었지만, 그들은 인도-유럽 사람들이 전쟁을 위해 전차를 사용하는 것을 배우기 전에 아나톨리아에 도달했을 것이다. 그들의 도착은 침략군이 아닌 점진적인 정착의 하나였을 가능성이 높다.

 

According to Mallory, it is likely that the Anatolians reached the Near East from the north, either via the Balkans or the Caucasus in the 3rd millennium BCE.[135] According to Anthony, if it separated from Proto-Indo-European, it likely did so between 4500 and 3500 BCE.[140] According to Anthony, descendants of archaic Proto-Indo-European steppe herders, who moved into the lower Danube valley about 42004000 BCE, later moved into Anatolia, at an unknown time, but maybe as early as 3,000 BCE.[141] According to Parpola, the appearance of Indo-European speakers from Europe into Anatolia, and the appearance of Hittite, is related to later migrations of Proto-Indo-European speakers from the Yamna-culture into the Danube Valley at ca. 2800 BCE,[37][4] which is in line with the "customary" assumption that the Anatolian Indo-European language was introduced into Anatolia somewhere in the third millennium BCE.[web 7]

 

말로리에 따르면 아나톨리아인들은 기원전 3천기년에 발칸반도나 코카서스를 거쳐 북쪽에서 근동에 도달했을 가능성이 높다. 앤서니에 따르면, 만약 그것이 프로토-인도-유럽에서 분리되었다면, 기원전 4500년에서 3500년 사이에 그렇게 했을 것이라고 한다. 앤소니에 따르면 기원전 4200~4000년경 다뉴브 계곡 하류로 이주한 고대 프로토-인도-유럽 스텝 목동들의 후손들(descendants of archaic Proto-Indo-European steppe herders)은 나중에 알려지지 않은 시기에 아마도 기원전 3000년경처럼 이른 시기에 아나톨리아로 이주하였다고 한다. 파폴라에 따르면 유럽에서 아나톨리아로 온 인도-유럽 어족 화자의 외모 그리고 히타이트의 외모는 기원전 2800년경 Yaman-culture로 부터 다뉴브 밸리 안으로 후에 이주한 Proto-Indo-European speakers과 연관이 있고, 아나톨리안 인도-유럽어가 기원전 3천년기에 아나톨리아 어딘가에 도입되었다는 관습적인가정과 비슷한 것이다.

 

3. Hittite civilisation

 

The Hittites, who established an extensive empire in the Middle East in the 2nd millennium BCE, are by far the best-known members of the Anatolian group. The history of the Hittite civilization is known mostly from cuneiform texts found in the area of their kingdom, and from diplomatic and commercial correspondence found in various archives in Egypt and the Middle East. Despite the use of Hatti for their core territory, the Hittites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the Hattians, an earlier people who inhabited the same region (until the beginning of the 2nd millennium).

 

기원전 2천년기에 중동에 광대한 제국을 세운 히타이트는 아나톨리안 그룹의 가장 잘 알려진 구성원이다. 히타이트 문명의 역사는 대부분 그들의 왕국 지역에서 발견된 쐐기문자와 이집트와 중동의 여러 기록보관소에서 발견된 외교와 상업적 서신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그들의 핵심 영토를 위해 하티를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히타이트인들은 같은 지역에 거주했던 초기 민족인 Hattians과 구별되어야 한다(기원전 2천년 초까지).

 

The Hittite military made successful use of chariots. Although belonging to the Bronze Age, they were the forerunners of the Iron Age, developing the manufacture of iron artifacts from as early as the 14th century BCE, when letters to foreign rulers reveal the latter's demand for iron goods. The Hittite empire reached its height during the mid-14th century BCE under Suppiluliuma I, when it encompassed an area that included most of Asia Minor as well as parts of the northern Levant and Upper Mesopotamia.

 

히타이트 군대는 성공적으로 전차를 이용했다. 청동기 시대에 속하지만, 그들은 철기 시대의 선구자였으며, 외국 통치자들에게 보내는 편지가 철기 제품에 대한 후자(외국 통치자?)의 요구를 드러내는 기원전 14세기부터 철기 가공품의 제조를 발전시켰다. 히타이트 제국은 기원전 14세기 중반 수필룰리우마 1세 치하의 전성기에 이르렀는데, 당시 북부 레반트와 상부 메소포타미아의 일부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소아시아를 포함하는 지역을 포함하였다.

 

After 1180 BCE, amid the Bronze Age Collapse in the Levant associated with the sudden arrival of the Sea Peoples, the kingdom disintegrated into several independent "Neo-Hittite" city-states, some of which survived until as late as the 8th century BCE. The lands of the Anatolian peoples were successively invaded by a number of peoples and empires at high frequency: the Phrygians, Bithynians, the Medes, the Persians, the Greeks, the Galatian Celts, Romans and the Oghuz Turks. Many of these invaders settled in Anatolia, in some cases causing the extinction of the Anatolian languages. By the Middle Ages, all the Anatolian languages (and the cultures accompanying them) were extinct, although there may be lingering influences on the modern inhabitants of Anatolia, most notably Armenians.[142]

 

기원전 1180년 이후, 바다 민족의 갑작스러운 도래와 관련된 레반트의 청동기 시대 붕괴로 인해, 이 왕국은 몇 개의 독립된 "네오-히타이트" 도시 국가들로 분해되었고, 그 중 일부는 기원전 8세기까지 존속되었다. 아나톨리아 민족의 땅은 프리기아인, 비티니아인, 메데스인, 페르시아인, 그리스인, 갈라티아 켈트인, 로마인, 오구즈 투르크인 등 수많은 민족과 제국의 높은 빈도로 연속적으로 침략을 받았다. 이러한 침략자들 중 많은 수가 아나톨리아에 정착했고, 어떤 경우에는 아나톨리아 언어의 멸종을 초래하기도 했다. 중세까지 모든 아나톨리아어(그리고 거기에 수반되는 문화)는 멸종되었지만, 현대 아나톨리아 거주자 특히 아르메니아인에게 영향이 남아있을 수 있다.

 

< Northern Caucasus: The Maykop culture (37003000 BCE) >

Main article: Maikop culture

 

The Maykop culture, c. 37003000 BCE,[143] was a major Bronze Age archaeological culture in the Western Caucasus region of Southern Russia. It extends along the area from the Taman Peninsula at the Kerch Strait to near the modern border of Dagestan and southwards to the Kura River. The culture takes its name from a royal burial found in Maykop kurgan in the Kuban River valley.

 

기원전 3700~3000년경의 메이코프 문화는 남러시아의 서부 코카서스 지역에서 청동기 시대의 주요 고고학 문화였다. 케르치 해협 타만 반도에서 현 다게스탄의 현대 국경 부근까지, 남쪽으로 쿠라 강까지 영역을 따라 뻗어 있다. 이 문화는 쿠반 강 계곡의 메이코프 쿠르간에서 발견된 왕실의 무덤에서 유래되었다

 

According to Mallory and Adams, migrations southward founded the Maykop culture (c. 35002500 BCE).[44] Yet, according to Mariya Ivanova the Maykop origins were on the Iranian Plateau,[45] while kurgans from the beginning of the 4th millennium at Soyuqbulaq in Azerbaijan, which belong to the Leyla-Tepe culture, show parallels with the Maykop kurgans. According to Museyibli, "the Leylatepe Culture tribes migrated to the north in the mid-fourth millennium and played an important part in the rise of the Maikop Culture of the North Caucasus."[web 8] This model was confirmed by a genetic study published in 2018, which attributed the origin of Maykop individuals to a migration of Eneolithic farmers from western Georgia towards the north side of the Caucasus.[144]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Maykop people spoke a North Caucasian, rather than an Indo-European, language.[84][145]

 

말로리와 아담스에 따르면, 남쪽으로의 이주들은 메이코프 문화(기원전 35002500)를 창시했다. 그러나 마리야 이바노바에 따르면 메이코프의 기원은 이란 고원에 있었고, 4천년 초반부터 레일라-테페 문화에 속하는 아제르바이잔의 소유크불라크에서 시작된 쿠르간들은 메이코프 쿠르간과 비슷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한다. 뮤즈이블리에 따르면, "레일라테페 문화 부족은 4천년 중반에 북부로 이주하여 북 코카서스의 마이캅 문화가 부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한다. 이 모델은 2018년 발표된 유전자 연구에 의해 확인되었는데, 이 연구는 메이코프 개인의 기원을 조지아 서부에서 코카서스 북부로 이주한 Eneolithic farmers 의 이동으로 여겼다. 메이코프족은 인도유럽어보다는 North Caucasian를 사용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 Early Proto-Indo-European >>

 

< Afanasevo culture (35002500 BCE) >

 

The Afanasievo culture (3300 to 2500 BCE) is the earliest Eneolithic archaeological culture found until now in south Siberia, occupying the Minusinsk Basin, Altay and Eastern Kazakhstan. It originated with a migration of people from the pre-Yamnaya Repin culture, at the Don river,[147] and is related to the Tocharians.[148]

 

아파나시예보 문화(기원전 3300~2500)는 지금까지 시베리아 남부에서 발견된 가장 최초의 Eneolithic archaeological culture, 미누신스크 분지, 알타이, 카자흐스탄 동부를 포함하고 있다. 돈 강 유역의 pre-Yamnaya Repin culture으로부터 온 사람들의 이동에 기원하며,토카리아인들과 관련이 있다.

 

Radiocarbon gives dates as early as 3705 BCE on wooden tools and 2874 BCE on human remains for the Afanasievo culture.[149] The earliest of these dates has now been rejected, giving a date of around 3300 BCE for the start of the culture.[1

 

방사성탄소는 아파나시예보 문화의 경우 기원전 3705년 나무 도구와 기원전 2874년에 사람의 유해로 연대를 부여한다.[149] 이 날짜 중 가장 이른 날짜는 현재 거부되었고, 문화의 시작일은 기원전 3300년 경이라고 본다.

 

< The Tocharians >

 

The Tocharians, or "Tokharians" (/təˈkɛəriənz/ or /təˈːriənz/) were inhabitants of medieval oasis city-states on the northern edge of the Tarim Basin (modern Xinjiang, China). Their Tocharian languages (a branch of the Indo-European family) are known from manuscripts from the 6th to 8th centuries CE, after which they were supplanted by the Turkic languages of the Uyghur tribes. These people were called "Tocharian" by late 19th-century scholars who identified them with the Tókharoi described by ancient Greek sources as inhabiting Bactria. Although this identification is now generally considered mistaken, the name has become customary.

 

토카리아인은 타림 분지(현재 중국 신장) 북쪽 가장자리에 있는 중세 오아시스 도시국가들의 거주민이었다. 그들의 토카리아어(인도유럽어족의 한 분파)CE 6세기부터 8세기까지 문서를 통해 알려져 있으며, 그 후 위구르족의 투르크어에 의해 대체되었다. 이 사람들은 19세기 말 고대 그리스 출처가 박트리아에 거주하는 것으로 묘사한 토카로이와 동일시했던 학자들에 의해 "토카리안"이라고 불렸다. 비록 이 식별이 일반적으로 잘못되었다고 여겨지지만, 그 이름은 관습화되었다.

 

The Tocharians are thought to have developed from the Afanasevo culture of Siberia (c. 35002500 BCE).[148] It is believed that the Tarim mummies, dated from 1800 BCE, represent a migration of Tocharian speakers from the Afanasevo culture in the Tarim Basin in the early 2nd millennium BCE.[43] The Indo-European eastward expansion in the 2nd millennium BC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hinese culture,[152] introducing the chariot,[web 12] horse burials,[web 13][153] the domesticated horse,[152][154] iron technology,[152][web 14] and wheeled vehicles,[155][156][157][158] fighting styles, head-and-hoof rituals, art motifs and myths.[153]

 

토카리안은 시베리아의 아파나시예보 문화(기원전 35002500)에서 발전한 것으로 생각된다. 기원전 1800년에 연대 측정된 타림 미라는 기원전 2천년 초에 타림 분지에 아파나세보 문화에서 토카리아어 화자들이 이주한 것을 상징한다고 여겨진다. 기원전 2천년기의 인도-유럽인의 동쪽 확장은 전차,말 매장, 길들인 말, 철기 기술, 바퀴 달린 차량, 전투 스타일, 머리와 발굽 의식, 예술 모티프, 신화 등을 소개하면서 중국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By the end of the 2nd millennium BCE, the dominant people as far east as the Altai Mountains southward to the northern outlets of the Tibetan Plateau were anthropologically Caucasian, with the northern part speaking Iranian Scythian languages and the southern parts Tocharian languages, having Mongoloid populations as their northeastern neighbors.[159][web 15] These two groups were in competition with each other until the latter overcame the former.[web 15] The turning point occurred around the 5th to 4th centuries BCE with a gradual Mongolization of Siberia, while Eastern Central Asia (East Turkistan) remained Caucasian and Indo-European-speaking until well into the 1st millennium CE.[160]

 

기원전 제2천년기가 끝날 무렵, 멀리 동쪽으로는 알타이 산맥에서 남쪽으로 티베트 고원의 북쪽 출구까지 지배적인 사람들은 인류학적으로 백인이었고, 북부 지역은 이란 스키타이어를 사용하고 남부 지역은 토카리어를 사용하며, 몽골로이드 인구를 북동쪽 이웃으로 가지고 있었다. 이 두 그룹은 후자가 전자를 이길 때까지 서로 경쟁했다. 전환점은 기원전 5~4세기경 시베리아가 점차 몽골화되면서 발생했으며, 동쪽 중앙 아시아(동투르키스탄)는 기원후 1천년기까지 백인이었고 인도유럽어를 사용했다.

 

** 간단 정리

* 기원전 2천년기가 끝날 무렵까지 알타이 산맥 남쪽과 티베트 고원의 북쪽 출구 북쪽의 우세적인 사람들은 북쪽은 이란 스키타이어를 사용, 남쪽은 토카리어를 사용하는 백인이었다.

* 기원전 5-4세기경 북쪽은 몽골화가 진행

* 기원후 1천년기까지 남쪽(동투르키스탄)은 백인이 우세했고 인도유럽어를 사용했다

 

The political history of the Indo-Europeans of Inner Asia from the 2nd century B.C. to the 5th century A.D. is indeed a glorious period. It is their movement which brought China into contact with the Western world as well as with India. These Indo-Europeans held the key to world trade for a long period... In the process of their own transformation, these Indo-Europeans influenced the world around them more than any other people before the rise of Islam."[161]

 

— A. K. Narain

 

기원전 2세기부터 서기 5세기까지 내 아시아의 인도유럽인들의 정치사는 실로 영광스러운 시대다. 중국이 인도뿐 아니라 서방세계와 접촉하게 된 것은 그들의 움직임이다. 이 인도-유럽인들은 오랫동안 세계 무역의 열쇠를 쥐고 있었다... 그들 자신의 변혁 과정에서 이들 인도유럽인들은 이슬람이 일어나기 전 그 어떤 사람들보다도 그들 주변의 세계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 The Yuezhi >

 

The Sinologist Edwin G. Pulleyblank has suggested that the Yuezhi, the Wusun, the Dayuan, the Kangju and the people of Yanqi, could have been Tocharian-speaking.[163] Of these the Yuezhi are generally held to have been Tocharians.[164] The Yuezhi were originally settled in the arid grasslands of the eastern Tarim Basin area, in what is today Xinjiang and western Gansu, in China.

 

신학자 에드윈 G. 풀리블랭크는 월지, 오순, 대원, 강거 그리고 the people of Yanqi(카라샤르)이 토카리아어를 구사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이 중 월지는 일반적으로 토차리아인이라고 한다. 월지는 원래 오늘날 신장과 서부 간쑤 지역인 타림 분지 동쪽의 건조한 초원지대에 정착했었다.

 

At the peak of their power in the 3rd century BC, the Yuezhi are believed to have dominated the areas north of the Qilian Mountains (including the Tarim Basin and Dzungaria), the Altai region,[165] the greater part of Mongolia, and the upper waters of the Yellow River.[166][167][168] This territory has been referred to as the Yuezhi Empire.[169] Their eastern neighbors were the Donghu.[167] While the Yuezhi were pressuring the Xiongnu from the west, the Donghu were doing the same from the east.[167] A large number of peoples, including the Wusun, the states of the Tarim Basin, and possibly the Qiang,[168] were under the control of the Yuezhi.[167] They were considered the predominant power in Central Asia.[168]

 

기원전 3세기 그들의 권력의 정점에 있던 월지는 치롄 산맥 북쪽 지역(타림 분지와 중가리아를 포함하는), 알타이 지역, 몽골의 큰 지역, 황하 상류 지역을 지배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 영토는 월지 제국으로 일컬어져 왔다. 그들의 동쪽 이웃은 동호였다. 월지가 서쪽에서 흉노를 압박하고 있는 동안 동호는 동쪽에서 같은 행동을 하고 있었다. 오손, 타림 분지의 나라들, 그리고 어쩌면 Qiang(강족)을 포함한 많은 민족들이 월지의 지배를 받고 있었다. 그들은 중앙아시아에서 지배적인 세력으로 여겨졌다.

 

Evidence from Chinese records indicate the peoples of Central Asia as far west as the Parthian Empire were under the sway of the Yuezhi.[168] This means that the territory of the Yuezhi Empire roughly corresponded to that of the later First Turkic Khaganate.[168] The Pazyryk burials of the Ukok Plateau coincide with the apex of power of the Yuezhi, and the burials have therefore been attributed to them, which means that the Altai region was part of the Yuezhi Empire.[165]

 

중국 기록에서 나온 증거는 파르티야 제국에 이르기까지 서쪽으로 먼 중앙아시아의 민족들은 월지의 지배하에 있었다고 나타낸다. 이는 월지 제국의 영토가 후기 제1돌궐제국의의 영토와 대략 일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곡 고원의 파지리크 매장지는 월지의 권력의 정점과 일치하며, 따라서 그들에 의해 매장된 것으로 보아 알타이 지역이 월지 제국의 일부였음을 알 수 있다.

 

After the Yuezhi were defeated by the Xiongnu, in the 2nd century BCE, a small group, known as the Little Yuezhi, fled to the south, later spawning the Jie people who dominated the Later Zhao until their complete extermination by Ran Min in the WeiJie war. The majority of the Yuezhi however migrated west to the Ili Valley, where they displaced the Sakas (Scythians). Driven from the Ili Valley shortly afterwards by the Wusun, the Yuezhi migrated to Sogdia and then Bactria, where they are often identified with the Tókharoi (Τοχάριοι) and Asioi of Classical sources. They then expanded into northern South Asia, where one branch of the Yuezhi founded the Kushan Empire. The Kushan empire stretched from Turfan in the Tarim Basin to Pataliputra on the Gangetic plain at its greatest extent,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Silk Road and the transmission of Buddhism to China. Tocharian languages continued to be spoken in the city-states of the Tarim Basin, only becoming extinct in the Middle Ages.

 

월지가 흉노에 패한 후 기원전 2세기에는 소월지로 알려진 작은 그룹이 남쪽으로 도망쳐 후에 WeiJie war에서 염민에 의해 완전히 몰살될 때까지 후조를 지배했던 Jie people(갈족)을 낳았다. 그러나 대다수의 월지는 서쪽으로 일리 계곡으로 이주하여 사카(스키타이인)를 대체했다. 오순에 의해 얼마 지나지 않아 일리계곡에서 쫓겨난 월지는 소그디아와 그 다음 박트리아로 이주했는데, 그곳에서 고전적 소스의 Tókharoi (Τοχάριοι) Asioi와 동일시되는 경우가 많다. 그 후 그들은 남아시아 북부로 확대되어, 월지의 한 브랜치가 쿠샨 제국을 세웠다. 쿠샨 제국은 타림 분지의 투루판으로부터 갠지스 평원의 파탈리푸트라까지 그 최대 범위로 뻗어나갔고, 실크로드의 발전과 불교가 중국에 전파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토카리아어는 타림 분지의 도시국가에서 계속 사용되었고, 중세시대에야 멸종되었다.

 

 

 

 

 

<< Late Proto-Indo-European >>

 

Late PIE is related to the Yamnaya culture and expansion, from which all IE-languages except the Anatolian languages and Tocharian descend.

 

Late PIE는 야마나야 문화와 팽창과 관련이 있는데, 이로부터 아나톨리아어와 토카리아어를 제외한 모든 IE언어가 내려온다.

 

 

< Yamnaya-culture >

 

According to Mallory 1991, "The origin of the Yamnaya culture is still a topic of debate," with proposals for its origins pointing to both Khvalynsk and Sredny Stog.[46] The Khvalynsk culture (47003800 BCE)[124] (middle Volga) and the Don-based Repin culture (ca.39503300 BCE)[147] in the eastern Pontic-Caspian steppe, and the closely related Sredny Stog culture (c.4500-3500 BCE) in the western Pontic-Caspian steppe, preceded the Yamnaya culture (33002500 BCE).[170][171] According to Anthony, the Yamnaya culture originated in the Don-Volga area at ca. 3400 BCE,[47] arguing that late pottery from these two cultures can barely be distinguished from early Yamnaya pottery.[172]

 

말로리 1991년에 따르면 "야마나야 문화의 기원은 여전히 논쟁의 주제"라고 하며, 그 기원에 대한 제안은 Khvalynsk Sredny Stog 둘 다 라는 걸 지적했다. eastern Pontic-Caspian steppe에서 Khvalynsk culture (47003800 BCE/ middle Volga) the Don-based Repin culture (ca.39503300 BCE), 그리고 western Pontic-Caspian steppe의 가장 가깝게 관련된 Sredny Stog culture(Dniepr 주변)Yamnaya culture (33002500 BCE)를 선행했다. 앤서니에 따르면, 야마나야 문화는 기원전 3400년경 돈-볼가 지역에서 유래되었는데, 이 두 문화권의 후기 도자기는 초기 야마나야 도자기와 거의 구별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The Yamnaya horizon (a.k.a. Pit Grave culture) spread quickly across the Pontic-Caspian steppes between ca. 3400 and 3200 BCE.[47] It was an adaptation to a climate change that occurred between 3500 and 3000 BCE, in which the steppes became drier and cooler. Herds needed to be moved frequently to feed them sufficiently, and the use of wagons and horse-back riding made this possible, leading to "a new, more mobile form of pastoralism".[75] It was accompanied by new social rules and institutions, to regulate the local migrations in the steppes, creating a new social awareness of a distinct culture, and of "cultural Other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se new institutions.[170]

 

야마나야 지평선(Pit Grave culture라고 알려진)은 기원전 3400년에서 3200년 사이에 폰틱-카스피언 스텝 지대에 빠르게 퍼져나갔다. 그것은 기원전 3500년에서 3000년 사이에 일어난 기후 변화에 대한 적응이었고, 스텝들은 더 건조해지고 더 차가워졌다. 목동들은 무리를 충분히 먹이기 위해 수시로 옮겨야 했고, 마차나 말타기의 사용은 이런 일이 가능하게해서 '새롭고 보다 이동형의 유목'로 이어졌다. 새로운 사회 규칙과 제도와 함께 스텝 지대의 지역 이주를 규제하고, 뚜렷한 문화에 대한 새로운 사회적 의식을 창조하며, 이러한 새로운 제도에 참여하지 않은 "문화적인 다른 사람들"을 규제하는 것이었다.

 

According to Anthony, "the spread of the Yamnaya horizon was the material expression of the spread of late Proto-Indo-European across the Pontic-Caspian steppes."[173] Anthony further notes that "the Yamnaya horizon is the visible archaeological expression of a social adjustment to high mobility the invention of the political infrastructure to manage larger herds from mobile homes based in the steppes."[174] The Yamnaya horizon represents the classical reconstructed Proto-Indo-European society with stone idols, predominantly practising animal husbandry in permanent settlements protected by hillforts, subsisting on agriculture, and fishing along rivers. According to Gimbutas, contact of the Yamnaya horizon with late Neolithic Europe cultures results in the "kurganized" Globular Amphora and Baden cultures.[175] Anthony excludes the Globular Amphora culture.[1]

 

앤서니에 따르면, "야마나야 지평선의 확산은 폰틱-카스피해 스텝 지대를 가로지르는 late Proto-Indo-European의 확산의 중요한 표현이었다"고 한다. 앤서니는 또 "야마나야 지평선은 높은 이동성에 대한 사회적 적응의 눈에 보이는 고고학적 표현이며, 이는 스텝을 기반으로 한 이동 주택으로부터 더 큰 무리를 관리하기 위한 정치적 기반 시설의 발명"이라고 지적했다. 야마나야 지평선은 석조 우상으로 재건된 Proto-Indo-European society를 대표하며, 주로 힐포트(언덕위의 성채)의 보호를 받는 영구 정착지에서 가축 사육을 하고, 농업에 의존하고, 강을 따라 어업을 하고 있다. 김부타스에 따르면, 야마나야 지평선과 후기 신석기 유럽 문화와의 접촉은 "kurganized" Globular Amphora Baden cultures로 귀결된다. AnthonyGlobular Ampora culture를 제외한다.

 

cf) 구상 암포라 문화와 바덴 문화

1) Globular Amphora culture(구상 암포라 문화/ c. 34002800 BC)- 2개에서 4개의 핸들을 가진 구상 항아리가 특징

2) Baden culture(Chalcolithic culture from c. 35202690 BC)

 

The Maykop culture (37003000) emerges somewhat earlier in the northern Caucasus. Although considered by Gimbutas as an outgrowth of the steppe cultures, it i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Mesopotamia, and Anthony does not consider it to be a Proto-Indo-European culture.[1] The Maykop culture shows the earliest evidence of the beginning Bronze Age, and bronze weapons and artifacts are introduced to the Yamnaya horizon.

 

메이코프 문화(3700~3000)는 북부 코카서스에서 다소 일찍 나타난다. 김부타스에 의해 스텝 문화의 발전으로 간주되기는 하지만 그것은 메소포타미아의 발전과 관련이 있으며, 앤소니는 프로토-인도-유럽 문화로 간주하지 않는다. 메이코프 문화는 청동기 시대가 시작된 가장 초기 증거를 보여주며, 청동 무기와 유물이 야마나야 지평선에 소개된다.

 

Between 3100 and 2600 BCE the Yamnaya people spread into the Danube Valley as far as Hungary.[176] According to Anthony, this migration probably gave rise to Proto-Celtic[177] and Pre-Italic.[177] Pre-Germanic dialects may have developed between the Dniestr (west Ukraine) and the Vistula (Poland) at c. 31002800 BCE, and spread with the Corded Ware culture.[178] Slavic and Baltic developed at the middle Dniepr (present-day Ukraine)[5] at c. 2800 BCE, also spreading with the Corded Ware horizon.[48]

 

기원전 3100년에서 2600년 사이에 야마나야 사람들은 헝가리처럼 먼 다뉴브 계곡 안까지 퍼져나갔다. Anthony에 따르면, 이러한 이주는 아마도 프로토-셀틱과 프리-이탈릭을 낳았을 것이다. Pre-Germanic dialects는 기원전 31002800년에 Dniestr(서 우크라이나)와 비스툴라(폴란드) 사이에 발달하여 코데드 웨어 문화와 함께 전파되었을 수 있다. 슬라브어와 발트어는 기원전 2800년 중부 Dniepr(현재의 우크라이나)에서 발달했으며, 코데드 웨어 지평선과 함께 퍼져나갔다.

 

< Post-Yamnaya >

 

In the northern Don-Volga area the Yamnaya horizon was followed by the Poltavka culture (27002100 BCE), while the Corded Ware culture extended eastwards, giving rise to the Sintashta culture (21001800). The Sintashta culture extended the Indo-European culture zone east of the Ural mountains, giving rise to Proto-Indo-Iranian and the subsequent spread of the Indo-Iranian languages toward India and the Iranian plateau.[1]

 

북부 돈-볼가 지역에서는 야마나야 지평선은 폴타브카 문화(기원전 27002100)가 되었고, 코데드 웨어 문화는 동쪽으로 확장되어 신타시타 문화(기원전 21001800)가 생겨났다. 신타슈타 문화는 우랄 산맥 동쪽의 인도-유럽 문화 지역을 확장하여 프로토-인도-이란어를 낳았고, 이후 인도-이란 언어가 인도와 이란 고원을 향해 확산되었다.

 

 

 

 

<< Europe >>

 

Decline of neolithic populations(신석기 인구의 감소)

 

Between ca. 4000 and 3000 BCE, neolithic populations in western Europe declined, probably due to the plague and other viral hemorrhagic fevers. This decline was followed by the migrations of Indo-European populations into western Europe, transforming the genetic make-up of the western populations.[179][note 19]

 

기원전 약 기원전 4000년과 3000년 사이에 서유럽의 신석기 인구 감소는 페스트와 다른 바이러스성 출혈열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감소는 인도-유럽 인구가 서유럽으로 이주하게 하였고, 서구 인구의 유전적 구성을 변형시키게 되었다.

 

Three autosomal genetic studies in 2015 gave support to the Kurgan hypothesis of Gimbutas regarding the proto-Indo-European homeland. According to those studies, haplogroups R1b and R1a expanded from the West Eurasian Steppe, along with the Indo-European languages; they also detected an autosomal component present in modern Europeans which was not present in Neolithic Europeans, which would have been introduced with paternal lineages R1b and R1a, as well as Indo-European languages.[180][73][181]

 

20153건의 autosomal genetic studiesproto-Indo-European homeland에 관한 김 부타스의 쿠르간 가설을 지지하였다. 그 연구에 따르면, 인도유럽 언어와 함께 haplogroups R1bR1a가 서유라시아 스텝으로부터 확장되었다; 그들은 또한 Neolithic Europeans(신석기 유럽인)에게는 존재하지 않지만 현대 유럽인들에게 존재하는 autosomal component 을 발견했는데, 그것은 인도유럽 언어뿐만 아니라 아버지성 계통인 R1bR1a와 함께 도입되었을 것이다

 

< Origins of the European IE languages >

 

See also: Origin and dispersal of R1a and Origin and dispersal of R1b

 

The origins of Italo-Celtic, Germanic and Balto-Slavic have often been associated with the spread of the Corded Ware horizon and the Bell Beakers, but the specifics remain unsolved. A complicating factor is the association of haplogroup R1b with the Yamnaya horizon and the Bell Beakers, while the Corded Ware horizon is strongly associated with haplogroup R1a. Ancestors of Germanic and Balto-Slavic may have spread with the Corded Ware, originating east of the Carpatians, while the Danube Valley was ancestral to Italo-Celtic.

 

이탈로-셀틱, 게르마닉, 발토-슬라빅의 기원은 코데드 웨어 지평선과 벨 비커스의 확산과 관련이 있는 경우가 많았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여전히 미해결로 남아 있다. 복잡한 요인은 Yamnaya 지평선과 Bell Beakers 와 함께 Happlogroup R1b이 연관성이 있는 반면 Coded Ware 지평선은 Happlogroup R1a와 강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것이다. 게르만과 발토-슬라빅의 조상들은 카르파티안 동쪽에서 발원한 코데드 웨어와 함께 퍼져 나갔을 것이며, 다뉴브 계곡은 이탈로-셀틱의 조상일 것이다.

 

** 간단 정리

* Coded Ware(Happlogroup R1a와 연관)-> 게르만과 발토-슬라빅의 조상들

* Yamnaya horizon and the Bell Beakers( haplogroup R1b와 연관)

* Bell Beakers= proto-Celtic의 조상

 

< Relations between the branches >

 

According to David Anthony, pre-Germanic split off earliest (3300 BCE), followed by pre-Italic and pre-Celtic (3000 BCE), pre-Armenian (2800 BCE), pre-Balto-Slavic (2800 BCE) and pre-Greek (2500 BCE).[27]

 

David Anthony에 따르면, pre-Germanic이 가장 일찍 분리되었고(기원전 3300), pre-Italic and pre-Celtic (3000 BCE), pre-Armenian (2800 BCE), pre-Balto-Slavic (2800 BCE) and pre-Greek (2500 BCE)이 뒤를 따랐다.

 

Mallory notes that the Italic, Celtic and Germanic languages are closely related, which accords with their historic distribution. The Germanic languages are also related to the Baltic and Slavic languages, which in turn share similarities with the Indo-Iranic languages.[182] The Greek, Armenian and Indo-Iranian languages are also related, which suggests "a chain of central Indo-European dialects stretching from the Balkans across the Black sea to the east Caspian".[182] And the Celtic, Italic, Anatolian and Tocharian languages preserve archaisms which are preserved only in those languages.[182]

 

말로리는 이탈리아어, 켈트어어, 게르만어어는 그들의 역사적 분포와 일치하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지적한다. 게르만어는 발트어, 슬라브어 등과도 관련이 있는데, 이는 인도-이란어어와 유사성을 공유한다.[182] 그리스어, 아르메니아어, 인도-이란어 또한 관련이 있는데, 이것은 "흑해를 건너 발칸반도에서 동쪽 카스피안까지 이어지는 central Indo-European dialects의 체인"를 암시한다.[182] 그리고 켈트어, 이탈리아어, 아나톨리아어, 토카리아어들은 오직 그 언어에서만 보존되는 고문체를 보존한다.[182]

 

Although Corded Ware is presumed to be largely derived from the Yamnaya culture, most Corded Ware males carried R1a Y-DNA, while males of the Yamnaya primarily carried R1b-M269.[note 20] According to Sjögren et al. (2020), R1b-M269 "is the major lineage associated with the arrival of Steppe ancestry in western Europe after 2500 BC[E],"[185] and is strongly related to the Bell Beaker expansion.

 

코데드 웨어는 주로 야마나야 문화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대부분의 코데드 웨어 남성은 R1a Y-DNA, 야마나야의 남성은 R1b-M269를 주로 가지고 다녔다. Sjögren 외 연구진(2020)에 따르면 R1b-M269"기원전 2500년 이후 서유럽에 스텝 조상이 도래하는 것과 관련된 주요 혈통"이며, 벨 비커 확산과 관련이 깊다.

 

 

 

< The Balkan-Danubian complex and the east-Carpathian contact-zone >

 

The Balkan-Danubian complex is a set of cultures in Southeast Europe, east and west of the Carpathian mountains, from which the western Indo-European languages probably spread into western Europe from c. 3500 BCE.[3] The area east of the Carpathian mountains formed a contact zone between the expanding Yamnaya culture and the northern European farmer cultures. According to Anthony, Pre-Italic and Pre-Celtic (related by Anthony to the Danube valley), and Pre-Germanic and Balto-Slavic (related by Anthony to the east-Carpathian contact zone) may have split off here from Proto-Indo-European.[186]

 

Balkan-Danubian complex는 카르파티아 산맥의 동부와 서부에 있는 남동유럽의 문화 집합체로서, 기원전 3500년부터 서부 인도-유럽 언어가 서유럽 안으로 전파되었을 것이다. 카르파티아 산맥의 동쪽 지역은 팽창하고 있는 야마나야 문화와 북유럽 농부 문화(northern European farmer cultures)의 접점을 형성하였다. 앤소니에 따르면 프리-이탈릭과 프리-셀틱(안소니에 의하면 다뉴브 계곡과 관련), 프리-게르마닉과 발토슬라빅(안소니에 의하면 동-카르파티안 접점 구역과 관련)은 여기서 프로토-인도-유럽으로부터 분리되었을 수 있다.

 

** 간단 정리

1) IE migrations north and south of the Carpathian Mountains, and the subsequent development of Celtic, Germanic, and Balto-Slavic, according to Anthony (2007)

 

https://en.wikipedia.org/wiki/Indo-European_migrations#/media/File:European_IE-migrations.jpeg

 

2) east-Carpathian contact-zone에서 Proto-Indo-EuropeanPre-Italic and Pre-Celtic (related by Anthony to the Danube valley)Pre-Germanic and Balto-Slavic (related by Anthony to the east-Carpathian contact zone)로 갈라졌다.

 

Anthony (2007) postulates the Usatovo culture as the origin of the pre-Germanic branch.[187] It developed east of the Carpathian mountains, south-eastern Central Europe, at around 33003200 BCE at the Dniestr river.[188] Although closely related to the Tripolye culture, it is contemporary with the Yamnaya culture, and resembles it in significant ways.[189] According to Anthony, it may have originated with "steppe clans related to the Yamnaya horizon who were able to impose a patron-client relationship on Tripolye farming villages".[190]

 

앤서니(2007)는 우사토보 문화를 pre-Germanic branch의 기원으로 추정한다. 그것은 기원전 33003200년 경 Dniestr river에서 중부 유럽 남동부인 카르파티아 산맥의 동쪽에서 발전했다. Tripolye culture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지만, 야마나야 문화와는 동시대적이며, 의미심장한 면에서 닮아 있다. 앤서니에 따르면, 그것은 "Tripolye farming villages 위에서 후원자-의뢰인 관계를 맺을 수 있었던 야마나야 지평선과 관련된 steppe clans"에서 비롯되었을지도 모른다.

 

** 간단 정리(정확하지 않음)

Tripolye culture-> Usatovo culture-> pre-Germanic

 

According to Anthony, the Pre-Germanic dialects may have developed in this culture between the Dniestr (west Ukraine) and the Vistula (Poland) at c. 31002800 BCE, and spread with the Corded Ware culture.[178] Slavic and Baltic developed at the middle Dniepr (present-day Ukraine)[5] at c. 2800 BCE, spreading north from there.[48]

 

앤서니에 따르면, Pre-Germanic dialects는 기원전 31002800년경에 Dniestr(서 우크라이나)Vistula(폴란드) 사이의 이 문화에서 발전했고, 코데드 웨어 문화와 함께 전파되었을 것이다. 슬라브어와 발트어는 기원전 2800년 중부 Dniepr(현재의 우크라이나)에서 발달하여 거기서 북쪽으로 퍼져나갔다

 

Anthony (2017) relates the origins of the Corded Ware to the Yamnaya migrations into Hungary.[191] Between 3100 and 2800/2600 BCE, when the Yamnaya horizon spread fast across the Pontic Steppe, a real folk migration of Proto-Indo-European speakers from the Yamna-culture took place into the Danube Valley,[4] moving along Usatovo territory toward specific destinations, reaching as far as Hungary,[192] where as many as 3,000 kurgans may have been raised.[193] According to Anthony (2007), Bell Beaker sites at Budapest, dated c. 28002600 BCE, may have aided in spreading Yamnaya dialects into Austria and southern Germany at their west, where Proto-Celtic may have developed.[177] Pre-Italic may have developed in Hungary, and spread toward Italy via the Urnfield culture and Villanovan culture.[177]

 

앤서니(2017)는 코데드 웨어의 기원을 야마나야의 헝가리로의 이동과 연관시킨다. Yamnaya 지평선이 빠르게 폰틱 스텝으로 퍼졌을 때인 기원전 3100년과 2800/2600년경 사이에 Yamna-culture로부터 Proto-Indo-European 화자들의 진정한 민족 이동은 다뉴브 밸리로 이뤄졌는데, 헝가리까지 특별한 목적지를 따라서 우사토보 영토를 따라서 이동하였고, 거기서 3000개의 쿠르간들이 세워졌다. 앤서니(2007)에 따르면 기원전 2800~2600년 경의 부다페스트의 벨 비커 유적지는 프로토-셀틱이 발달했을지도 모르는 그들의 서쪽의 오스트리아와 독일 남부 안으로 야마나야 방언을 퍼뜨리는 데 도움을 주었을지도 모른다. Pre-Italic은 헝가리에서 발전했고, 언필드 문화와 빌라노바 문화를 통해 이탈리아 쪽으로 퍼져 나갔을 것이다.

 

According to Parpola, this migration into the Danube Valley is related to the appearance of Indo-European speakers from Europe into Anatolia, and the appearance of Hittite.[37]

 

파르폴라에 따르면 이러한 다뉴브 계곡으로의 이동는 유럽으로부터 아나톨리아로 인도유럽어 화자들의 출현과 히타이트의 출현과 관련이 있다.

 

The Balkan languages (Thracian, Dacian, Illyrian) may have developed among the early Indo-European populations of southeastern Europe. In the early Middle Ages their territory was occupied by migrating Slavic people, and by east Asian steppe peoples.

 

발칸어(Thracian, Dacian, Illirian)는 남동 유럽의 초기 인도유럽 인구 사이에서 발전했을지도 모른다. 중세 초기의 그들의 영토는 이주해 온 슬라브 민족과 동아시아 스텝 민족에 의해 점령되었다.

 

< Corded Ware culture (30002400 BCE) >

 

The Corded Ware culture in Middle Europe (c. 3200[194] or 2,900[web 1]2450 or 2350 cal.[web 1][194] BCE) probably played an essential role in the origin and spread of the Indo-European languages in Europe during the Copper and Bronze Ages.[6][7] David Anthony states that "Childe (1953:133-38) and Gimbutas (1963) speculated that migrants from the steppe Yamnaya horizon (33002600 BCE) might have been the creators of the Corded Ware culture and carried IE languages into Europe from the steppes."[195]

 

중유럽의 코데드 웨어 문화(c. 3200 또는 2,9002450 또는 기원전 2350)는 아마도 동기 시대와 청동기 시대 동안 유럽에서 인도유럽 언어의 기원 및 확산에 필수적인 역할을 했을 것이다. 데이비드 앤서니는 "칠드(1953:133-38)와 김부타스(1963)는 스텝 야마나야 지평선(기원전 33002600)에서 온 이주자들이 코데드 웨어 문화의 창시자였을 것으로 추측하고 스텝에서 유럽으로 IE 언어를 운반했을 것으로 추측했다"라고 말한다.

 

According to Anthony (2007), the Corded Ware originated north-east of the Carpathian mountains, and spread across northern Europe after 3000 BCE, with an "initial rapid spread" between 2900 and 2700 BCE.[177] While Anthony (2007) situates the development of pre-Germanic dialects east of the Carpathians, arguing for a migration up the Dniestr,[178] Anthony (2017) relates the origins of the Corded Ware to the early third century Yamna-migrations into the Danube-valley, stating that "[t]he migration stream that created these intrusive cemeteries now can be seen to have continued from eastern Hungary across the Carpathians into southern Poland, where the earliest material traits of the Corded ware horizon appeared."[196] In southern Poland, interaction between Scandinavian and Global Amphora resulted in a new culture, absorbed by the incoming Yamnaya pastoralists.[197][note 21][note 22]

 

앤서니(2007)에 따르면, 코데드 웨어는 카르파티아 산맥의 북동쪽에서 발원하여 기원전 3000년 이후 북유럽 전역으로 퍼져 나갔으며, 기원전 2900년에서 2700년 사이에 "초기의 급속한 확산"이 있었다고 한다. Anthony (2007)Dniestr(드네스트르 강)으로 이동을 주장하며 카르파티아인 동쪽의 pre-Germanic dialects을 발전을 설명하는 반면에, Anthony (2017)는 초기 3세기의 다뉴브 밸리로의 Yamna-이동에 "지금 이러한 거슬리는 묘지를 만든 이동의 흐름이 동부 카르파티아 산맥을 가로질러 헝가리부터 폴란드 남부까지 이어진 것으로 보여집니다. 그 곳에서 코데드 웨어 지평선의 최초의 물질적 특성이 나타났습니다라고 말하며 코데드 웨어의 기원과 관련 시켰다. 폴란드 남부에서 스칸디나비니언과 글로벌 암포라 사이의 상호작용은 새로 들어온 얌나야 목축민들에 의해 흡수된 새로운 문화를 낳았다.

 

According to Mallory (1999), the Corded Ware culture may be postulated as "the common prehistoric ancestor of the later Celtic, Germanic, Baltic, Slavic, and possibly some of the Indo-European languages of Italy". Yet, Mallory also notes that the Corded Ware can not account for Greek, Illyrian, Thracian and East Italic, which may be derived from Southeast Europe.[200] According to Anthony, the Corded Ware horizon may have introduced Germanic, Baltic and Slavic into northern Europe.[177]

 

말로리(1999)에 따르면 코데드 웨어 문화는 "후기 켈트족, 게르만족, 발트족, 슬라브족, 그리고 아마도 이탈리아의 인도유럽어 일부 언어의 common prehistoric ancestor"이라고 가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말로리는 코데드 웨어가 남동 유럽에서 유래된 Greek, Illyrian, Thracian and East Italic를 설명할 수 없다는 점에도 주목한다. 앤소니에 따르면 코데드 웨어 지평선은 북유럽에서 게르만어, 발트어, 슬라브어를 소개했을 것이다.

 

According to Gimbutas, the Corded Ware culture was preceded by the Globular Amphora culture (34002800 BCE), which she also regarded to be an Indo-European culture. The Globular Amphora culture stretched from central Europe to the Baltic sea, and emerged from the Funnelbeaker culture.[201] According to Mallory, around 2400 BCE the people of the Corded Ware replaced their predecessors and expanded to Danubian and northern areas of western Germany. A related branch invaded the territories of present-day Denmark and southern Sweden. In places a continuity between Funnelbeaker and Corded Ware can be demonstrated, whereas in other areas Corded Ware heralds a new culture and physical type.[78] According to Cunliffe, most of the expansion was clearly intrusive.[202] Yet, according to Furholt, the Corded Ware culture was an indigenous development,[195] connecting local developments into a larger network.[196]

 

김부타스에 따르면, 코데드 웨어 문화는 the Globular Amphora culture (34002800 BCE)에 의해 선행했는데, 그녀는 그것을 역시 인도-유럽 문화로 간주했다. Globular Amphora culture는 중부 유럽에서부터 발트해까지 뻗어나갔고, Funnelbeaker culture에서 벗어났다?(퍼넬비커-> 구상 암포라로 발전했다) 말로리에 따르면 기원전 2400년경 코데드 웨어의 사람들이 전임자들을 교체하고 다누비언(다뉴브강의)과 서독일의 북부 지역으로 확장되었다고 한다. 관련된 브랜치가 오늘날의 덴마크와 스웨덴 남부 지역을 침공했다. 장소에 따라서는 Funnelbeaker와 코드드 웨어 사이의 연속성을 증명할 수 있는 반면, 다른 영역에서는 코드드 웨어가 새로운 문화와 물리적 유형을 예고한다. 쿠넬리페에 따르면 대부분의 확장은 명백히 거슬렸다. 그러나, 퍼홀트에 따르면, 코데드 웨어 문화는 지역 발전을 더 큰 네트워크로 연결시키는 토착적인 발전이었다.

 

Recent research by Haak et al. found that four late Corded Ware people (25002300 BCE) buried at Esperstadt, Germany, were genetically very close to the Yamna-people, suggesting that a massive migration took place from the Eurasian steppes to Central Europe.[8][web 2][9][203] According to Haak et al. (2015), German Corded Ware "trace ~75% of their ancestry to the Yamna."[204] In supplementary information to Haak et al. (2015) Anthony, together with Lazaridis, Haak, Patterson, and Reich, notes that the mass migration of Yamnaya people to northern Europe shows that "the languages could have been introduced simply by strength of numbers: via major migration in which both sexes participated."[205][note 23]

 

하크 외 연구원의 최근 연구는 독일 에스페르슈타트에 묻힌 4명의 후기 코데드 웨어 사람(기원전 25002300)이 유전적으로 Yamna-people과 매우 가깝다는 사실을 밝혀내, 유라시아 스텝으로부터 중부 유럽으로 대규모 이주가 이루어졌음을 시사했다. 하크 외 연구진(2015)에 따르면 독일 코데드 웨어는 "조상의 약 75%Yamna로 추적한다"고 한다. 하크 외 (2015)에 대한 보충 정보에서 앤서니는 라자리디스, 하크, 패터슨, 라이히와 함께 야마나야 사람들의 북유럽으로의 대량 이주는 "양성이 참여한 주요한 이주를 통해 단순히 숫자의 강도에 의해서 언어들이 도입되었을 수 있었다"고 지적한다

 

Volker Heyd has cautioned to be careful with drawing too strong conclusions from those genetic similarities between Corded Ware and Yamna, noting the small number of samples; the late dates of the Esperstadt graves, which could also have undergone Bell Beaker admixture; the presence of Yamna-ancestry in western Europe before the Danube-expansion; and the risks of extrapolating "the results from a handful of individual burials to whole ethnically interpreted populations."[206] Heyd confirms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Corded Ware and Yamna, but also states that "neither a one-to-one translation from Yamnaya to CWC, nor even the 75:25 ratio as claimed (Haak et al. 2015:211) fits the archaeological record."[206]

 

볼커 헤이드는 샘플 수가 적은 것에 주목하면서 코데드 웨어와 Yamna 사이의 유전적 유사점으로부터 너무 강한 결론을 도출하는 것에 주의할 것을 경고했다; 벨 비커 혼화물을 겪을 수 있는 에스퍼스타트 무덤의 늦은 날짜, 다뉴브-확장 이전에 서유럽에 있는 Yamna-ancestry의 존재; 그리고 "전체 인종적으로 해석된 인구에 대한 몇 안되는 개별 매장 결과"를 추론하는 위험들. 헤이드는 코데드 웨어와 Yamna의 긴밀한 연관성을 확인하면서도 "야마야에서 CWC로 일대일 변환이나, 주장된 75:25 비율(하크 외 2015:211)도 고고학적 기록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진술하고 있다.

 

< Bell Beaker culture (29001800 BCE) >

 

The Bell Beaker-culture (c. 29001800 BCE[208][209]) may be ancestral to proto-Celtic,[210] which spread westward from the Alpine regions and formed a "North-west Indo-European" Sprachbund with Italic, Germanic and Balto-Slavic.[211][note 24]

 

벨 비커-문화(기원전 29001800)proto-Celtic의 조상일 수 있는데, 이들은 알프스 지역에서 서쪽으로 퍼져 이탈리아어, 게르만어, 발토-슬라브어와 함께 "North-west Indo-European" Sprachbund를 형성했다.

 

The initial moves of the Bell Beakers from the Tagus estuary, Portugal were maritime. A southern move led to the Mediterranean where 'enclaves' were established in southwestern Spain and southern France around the Golfe du Lion and into the Po valley in Italy, probably via ancient western Alpine trade routes used to distribute jadeite axes. A northern move incorporated the southern coast of Armorica. The enclave established in southern Brittany was linked closely to the riverine and landward route, via the Loire, and across the Gâtinais valley to the Seine valley, and thence to the lower Rhine. This was a long-established route reflected in early stone axe distributions and it was via this network that Maritime Bell Beakers first reached the Lower Rhine in about 2600 BCE.[2

 

포르투갈 타구스 하구에서 벨비커스가 최초의 이동은 해양이었다. 남쪽의 이동은 스페인 남서부와 리옹만 주변의 프랑스 남부에서 'enclaves'(소수민족거주지) 성립된 지중해로 이어졌고, 아마도 비취 도끼를 보급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고대 서부 알프스 무역로를 통해 이탈리아의 포 계곡으로 들어섰을 것이다. 북쪽의 움직임은 Armorica(브르타뉴반도 부근 지역)의 남쪽 해안을 통합했다. 브리타니 남부에 세워진 이 거주지는 루아르 강을 거쳐 가티나스 계곡을 지나 센 계곡까지 이어진 뒤 라인 강 하류까지 이어져 있었으며 강과 내륙의 루트와 밀접하게 연결되어었다. 이것은 초기 돌도끼 분포에 반영되어 오랫동안 확립된 경로였으며, Maritime Bell Beakers가 기원전 2600년경에 처음으로 라인 강 하류에 도달한 것은 이 네트워크를 통해서였다.[209][212]

 

cf) Generalised distribution and movements of Bell-Beaker cultures

https://en.wikipedia.org/wiki/Indo-European_migrations#/media/File:Beaker_culture_diffusion.svg

 

< Germanic >

 

The Germanic peoples (also called Teutonic, Suebian or Gothic in older literature)[214] were an Indo-European ethno-linguistic group of Northern European origin, identified by their use of the Germanic languages which diversified out of Proto-Germanic starting during the Pre-Roman Iron Age.[web 16]

 

게르만 민족(고대 문학에서는 Teutonic, Suebian or Gothic이라고도 한다)은 북유럽 태생의 인도-유럽 민족 ethno-linguistic group으로, 로마 이전 철기 시대 동안 시작된 프로토-게르만어로부터 다양화된 게르만어를 사용했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ccording to Mallory, Germanicists "generally agree" that the Urheimat ('original homeland') of the Proto-Germanic language, the ancestral idiom of all attested Germanic dialects, was primarily situat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extent of the Jastorf culture,[215][216][217][note 25] situated in Denmark and northern Germany.[218]

 

말로리에 따르면 게르만주의자들은 모든 증명된 게르만 방언의 ancestral idiom인 프로토 게르만어의 우르하맛('original homeland')이 주로 덴마크와 북독일에 위치한 Jastorf culture의 범위에 해당하는 지역에 위치한다는 데 "대체적으로 동의한다"고 한다.

 

According to Herrin, the Germanic peoples are believed to have emerged about 1800 BCE with the Nordic Bronze Age (c.1700-500 BCE).[web 17] The Nordic Bronze Age developed from the absorption of the hunter-gatherer Pitted Ware culture (c.3500-2300 BCE) into the agricultural Battle Axe culture (c. 2800-2300 BCE),[219][220] which in turn developed from the superimposition of the Corded Ware culture (c. 3100-2350 BCE) upon the Funnelbeaker culture (c. 4300-2800 BCE) on the North European Plain, adjacent to the north of the Bell Beaker culture (c. 2800-2300 BCE).[web 17] Pre-Germanic may have been related to the Slavo-Baltic and Indo-Iranian languages, but reoriented towards the Italo-Celtic languages.[web 18]

 

헤린에 따르면, 게르만 민족은 the Nordic Bronze Age (c.1700-500 BCE)와 함께 기원전 1800년경에 출현한 것으로 추정된다. Nordic Bronze Agehunter-gatherer Pitted Ware culture (c.3500-2300 BCE)의 흡수로부터 agricultural Battle Axe culture (c. 2800-2300 BCE) 안으로 발전되었으며, 차례로 the Bell Beaker culture (c. 2800-2300 BCE)의 북쪽 인근인 North European Plain에서 Funnelbeaker culture (c. 4300-2800 BCE) 위에서 Corded Ware culture (c. 3100-2350 BCE)의 합성으로부터 발전하였다.

Pre-Germanic은 슬라보-발틱과 인도-이란어족과 관련이 있었을지 모르지만 이탈로-셀틱어족 쪽으로 방향을 바꾸었다?

 

** 간단 정리(정확하지 않음)

 

1) Scandinavian Hunter-Gatherer-> Pitted Ware culture(3500-2300 BCE)-> Battle Axe culture (c. 2800-2300 BCE/ Corded Ware culture의 분지)-> Nordic Bronze Age (c.1700-500 BCE)-> Jastorf culture(기원전 6~1세기/ 북독일과 덴마크에 위치, 남쪽으로 확장하여 Pre-Roman Iron Agesouthern part를 형성)

 

2) Funnelbeaker culture(4300-2800 BCE/ north-central Europe)-> Battle Axe culture (c. 2800-2300 BCE)

-Battle Axe culturePitted Ware culture를 흡수하고 후에 Nordic Bronze Age로 발전

 

 

By the early 1st millennium BC, Proto-Germanic is believed to have been spoken in the areas of present-day Denmark, southern Sweden, southern Norway and Northern Germany. Over time this area was expanded to include and a strip of land on the North European plain stretching from Flanders to the Vistula. Around 28% of the Germanic vocabulary is of non-Indo-European origin.[221]

 

기원전 1천년기 초까지, Proto-Germanic는 오늘날의 덴마크, 스웨덴 남부, 노르웨이 남부, 독일 북부 지역에서 사용되었다고 여겨진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지역은 플랑드르에서Vistula 까지 뻗어 있는 북유럽 평야에 있는 땅의 스트립으로 확장되었다. 게르만어 어휘의 약 28%가 비인도유럽어 기원이다.

 

By the 3rd century BC, the Pre-Roman Iron Age arose among the Germanic peoples, who were at the time expanding southwards at the expense of the Celts and Illyrians.[web 19] During the subsequent centuries, migrating Germanic peoples reached the banks of the Rhine and the Danube along the Roman border, and also expanded into the territories of Iranian peoples north of the Black Sea.[web 20]

 

기원전 3세기경에는 켈트족과 일리리리아인의 희생으로 당시 남쪽으로 확장하던 게르만족들 사이에서 Pre-Roman Iron Age가 일어났다. 이후 수세기 동안 이주한 게르만 민족은 로마 국경을 따라 라인 강과 다뉴브 강둑에 이르렀고, 흑해 북쪽에 있는 이란 민족의 영토로 확대되기도 했다

 

In the late 4th century, the Huns invaded the Germanic territories from the east, forcing many Germanic tribes to migrate into the Western Roman Empire.[web 21] During the Viking Age, which began in the 8th century, the North Germanic peoples of Scandinavia migrated throughout Europe, establishing settlements as far as North America. The migrations of the Germanic peoples in the 1st millennium were a formative element in the distribution of peoples in modern Europe.[web 17]

 

4 세기 후반에 훈족이 동쪽에서 게르만 영토를 침략하여 많은 게르만 부족들이 서로마 제국으로 이주할 수밖에 없었다. 8세기에 시작된 바이킹 시대에는 스칸디나비아의 북게르만족이 유럽 전역으로 이주하면서 북아메리카까지 정착촌이 형성되었다. 1천년기의 게르만 민족의 이주는 현대 유럽의 민족 분포에 있어서 하나의 구성 요소였다

 

< Italo-Celtic >

 

Main article: Italo-Celtic

 

Italic and Celtic languages are commonly grouped together on the basis of features shared by these two branches and no others. This could imply that they are descended from a common ancestor and/or Proto-Celtic and Proto-Italic developed in close proximity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 link to the Yamnaya-culture, in the contact zone of western and central Europe between Rhine and Vistula (Poland),[222] is as follows: Yamnaya culture (c. 33002600 BC) - Corded Ware culture (c. 3100-2350 BCE) - Bell Beaker culture (c.28001800 BC) - Unetice culture (c. 2300-1680 BCE) - Tumulus culture (c. 1600-1200 BCE) - Urnfield culture (c. 1300-750 BCE). At the Balkan, the Vučedol culture (c.3000-2200 BCE) formed a contact zone between post-Yamnaya and Bell Beaker culture.

 

이탤릭어와 켈트어는 일반적으로 이 두 브랜치가 다른 어떤 것과 다르게 공유하는 특징에 기초하여 함께 분류된다. 이것은 그들이 오랜 기간 동안 가까운 거리에서 발달한 공동 조상 and/ or Proto-Celtic and Proto-Italic에서 유래된 것을 암시한다.

 

라인과 비스툴라(폴란드) 사이의 서유럽과 중앙 유럽의 contact zone에서 Yamnaya-culture와의 연결은 다음과 같다;

 

Yamnaya culture (c. 33002600 BC) - Corded Ware culture (c. 3100-2350 BCE) - Bell Beaker culture (c.28001800 BC) - Unetice culture (c. 2300-1680 BCE/ 우네치체 문화/ 체코가 중심) - Tumulus culture (c. 1600-1200 BCE/ 봉분 문화) - Urnfield culture (c. 1300-750 BCE/ 언필드 문화)

 

발칸에서 Vučedol culture (c.3000-2200 BCE)post-Yamnaya Bell Beaker culture 사이의 contact zone을 형성했다.

 

cf) Urnfield culture (c. 1300-750 BCE/ 언필드 문화)

* Hallstatt culture로 계승

* Proto-Celtic language와 관련

 

 

1. Italic

 

The Italic languages are a subfamily of the Indo-European language family originally spoken by Italic peoples. They include the Romance languages derived from Latin (Italian, Sardinian, Spanish, Catalan, Portuguese, French, Romanian, Occitan, etc.); a number of extinct languages of the Italian Peninsula, including Umbrian, Oscan, Faliscan, South Picene; and Latin itself. At present, Latin and its daughter Romance languages are the only surviving languages of the Italic language family.

 

Italic languages는 원래 이탈리아 민족이 사용하는 인도유럽어족의 하위어족이다. 그것들(인도유 럽어족의 하위어족)은 라틴어로부터 파생된 로망스어들(이탈리아어, 사르디니아어, 스페인어, 카탈로니아어, 포르투갈어, 프랑스어, 루마니아어, 오크어 등)Umbrian, Oscan, Faliscan, South Picene를 포함하는 이탈리아 반도의 다수의 멸종된 언어들을 포함한다; 라틴어와 그의 딸 로망스어들은 이탈리아 어군의 유일한 생존언어이다.

 

The most widely accepted theory suggests that Latins and other proto-Italic tribes first entered in Italy with the late Bronze Age Proto-Villanovan culture (12th-10th cent. BCE), then part of the central European Urnfield culture system (1300-750 BCE).[223][224] In particular various authors, like Marija Gimbutas, had noted important similarities between Proto-Villanova, the South-German Urnfield culture of Bavaria-Upper Austria[225] and Middle-Danube Urnfield culture.[225][226][227] According to David W. Anthony, proto-Latins originated in today's eastern Hungary, kurganized around 3100 BCE by the Yamnaya culture,[228] while Kristian Kristiansen associated the Proto-Villanovans with the Velatice-Baierdorf culture of Moravia and Austria.[229]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이론은 Latins 과 다른 proto-Italic tribes이 청동기 시대 말기 프로토-빌라노반 문화(기원전 12-10세기)와 함께 이탈리아에 처음 들어오고, 그 후 중앙 유럽 Urnfield culture system (1300-750 BCE)의 일부가 되었다고 제안한다. 특히 마리자 김부타스와 같은 다양한 저자들은 Proto-VillanovaBavaria-Upper AustriaSouth-German Urnfield culture, 그리고 Middle-Danube Urnfield culture 사이의 중요한 유사성에 주목했다. 데이비드 W. 앤서니에 따르면, proto-Latins은 오늘날의 헝가리 동부에서 유래한 것으로 기원전 3100년경에 Yamnaya culture에 의해 쿠르가나화되었고, 한편 티안 크리스티아넨은 Proto-Villanovans이 모라비아와 오스트리아의 벨라티체-바이에르도르프 문화를 연관시켰다.

 

Today the Romance languages, which comprise all languages that descended from Latin, are spoken by more than 800 million native speakers worldwide, mainly in the Americas, Europe, and Africa. Romance languages are either official, co-official, or significantly used in 72 countries around the globe.[230][231][232][233][234]

 

오늘날 라틴어에서 파생된 모든 언어를 구성하는 로망스 언어는 주로 아메리카, 유럽, 아프리카를 비롯한 전 세계 8억 명 이상의 원어민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로망스어는 공식적이거나 공동 공식적이거나 전 세계 72개국에서 많이 사용된다.

 

2. Celtic

 

The Celts (/ˈkɛlts/, occasionally /ˈsɛlts/, see pronunciation of Celtic) or Kelts were an ethnolinguistic group of tribal societies in Iron Age and Medieval Europe who spoke Celtic languages and had a similar culture,[235] alth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thnic, linguistic and cultural elements remains uncertain and controversial.

 

켈트족은 민족, 언어, 문화적 요소 사이의 관계가 불확실하고 논쟁의 여지가 남아 있기는 하지만, 켈트어를 말하고 비슷한 문화를 가졌던 철기와 중세 유럽의 부족 사회의 민족 언어주의적 그룹이었다.

 

The earliest archaeological culture that may justifiably be considered Proto-Celtic is the Late Bronze Age Urnfield culture of Central Europe, which flourished from around 1200 BCE.[236]

 

프로토-셀틱으로 정당하게 여겨질 수 있는 최초의 고고학적 문화는 기원전 1200년경부터 번성했던 중유럽의 후기 청동기 시대 Urnfield culture 이다.

 

Their fully Celtic[236] descendants in central Europe were the people of the Iron Age Hallstatt culture (c. 800450 BCE) named for the rich grave finds in Hallstatt, Austria.[237] By the later La Tène period (c. 450 BCE up to the Roman conquest), this Celtic culture had expanded by diffusion or migration to the British Isles (Insular Celts), France and The Low Countries (Gauls), Bohemia, Poland and much of Central Europe, the Iberian Peninsula (Celtiberians, Celtici and Gallaeci) and Italy (Golaseccans, Lepontii, Ligures and Cisalpine Gauls)[238] and, following the Gallic invasion of the Balkans in 279 BCE, as far east as central Anatolia (Galatians).[239]

 

중부 유럽에서 켈트족의 후손들은 오스트리아 할슈타트에서 발견된 풍부한 무덤의 이름을 딴 철기시대 할슈타트 문화(기원전 800~450)의 사람들이었다. 이후의 라텐 시대(기기원전 450년경 부터 로마의 정복때 까지)에 이러한 켈트 문화는 the British Isles (Insular Celts), France and The Low Countries (Gauls), Bohemia, Poland and much of Central Europe, the Iberian Peninsula (Celtiberians, Celtici and Gallaeci) and Italy (Golaseccans, Lepontii, Ligures and Cisalpine Gauls)로 확산과 이동에 의해 팽창되었고, 기원전 279년에 중앙 아나톨리아(Galatians)처럼 먼 동쪽까지 발칸의 Gallic invasion이 뒤따랐다.

 

The Celtic languages (usually pronounced /ˈkɛltɪk/ but sometimes /ˈsɛltɪk/)[240] are descended from Proto-Celtic, or "Common Celtic"; a branch of the greater Indo-European language family. The term "Celtic" was first used to describe this language group by Edward Lhuyd in 1707.[241]

 

켈트어족은 더 큰 인도-유럽어족의 한 분파인 프로토-셀틱 혹은 "Common Celtic"의 후손이다. "Celtic"이라는 용어는 1707년 에드워드 루이드에 의해 처음으로 이 언어 그룹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Modern Celtic languages are mostly spoken on the northwestern edge of Europe, notably in Ireland, Scotland, Wales, Brittany, Cornwall, and the Isle of Man, and can be found spoken on Cape Breton Island. There are also a substantial number of Welsh speakers in the Patagonia area of Argentina. Some people speak Celtic languages in the other Celtic diaspora areas of the United States,[242] Canada, Australia,[243] and New Zealand.[244] In all these areas, the Celtic languages are now only spoken by minorities though there are continuing efforts at revitalization. Welsh is the only Celtic language not classified as "endangered" by UNESCO.

 

현대의 켈트어는 주로 유럽의 북서쪽 가장자리, 특히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브리타니, 콘월, 맨섬 등에서 쓰이고 있으며, 케이프 브레튼 섬(캐나다의 섬이름)에서도 쓰일 수 있다. 아르헨티나의 파타고니아 지역에도 상당한 수의 웨일스어 사용자들이 있다. 일부 사람들은 미국, 캐나다, 호주, 그리고 뉴질랜드의 다른 켈트 디아스포라 지역에서 켈트어를 사용한다. 이 모든 영역에서 켈트어는 현재 활성화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이 있지만 소수민족만이 사용하고 있다. 웨일스는 유네스코에 의해 "멸종위기"로 분류되지 않은 유일한 켈트어다.

 

During the 1st millennium BCE, they were spoken across much of Europe, in the Iberian Peninsula, from the Atlantic and North Sea coastlines, up to the Rhine valley and down the Danube valley to the Black Sea, the northern Balkan Peninsula and in central Asia Minor. The spread to Cape Breton and Patagonia occurred in modern times. Celtic languages, particularly Irish, were spoken in Australia before federation in 1901 and are still used there to some extent.[245]

 

기원전 1천년기 동안, 그것들은 유럽의 많은 지역- 이베리아 반도에서, 대서양로부터 북해 해안선에서, 위로는 라인 계곡과 아래로는 흑해의 다뉴브 밸리에서, 발칸 반도 북부-과 소아시아 중앙까지 사용되었다. 케이프 브레톤과 파타고니아로 확산된 것은 현대에 일어났다. 켈트어, 특히 아일랜드어는 1901년 연방 이전에 호주에서 사용되었으며, 여전히 호주에서 어느 정도 사용되고 있다.

 

< Balto-Slavic >

 

The Balto-Slavic language group traditionally comprises the Baltic and Slavic languages, belonging to the Indo-European family of languages. Baltic and Slavic languages share several linguistic traits not found in any other Indo-European branch, which points to a period of common development. Most Indo-Europeanists classify Baltic and Slavic languages into a single branch, even though some details of the nature of their relationship remain in dispute[note 26] in some circles, usually due to political controversies.[246] Some linguists, however, have recently suggested that Balto-Slavic should be split into three equidistant nodes: Eastern Baltic, Western Baltic and Slavic.[note 27][note 28]

 

발토슬라브어군은 전통적으로 발트어족과 슬라브어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도유럽어족에 속한다. 발트어와 슬라브어는 다른 인도유럽 브랜치에서 찾아볼 수 없는 여러 가지 언어적 특성을 공유하는데, 이는 공통의 발달기를 가리킨다. 대부분의 인도-유럽어연구자들?은 발트어와 슬라브어를 하나의 브랜치로 분류하는데, 비록 그들 관계의 성격에 대한 일부 세부사항들이 일부 서클에서 논쟁에 머물러 있지만, 대개 정치적 논란 때문이다. 그러나 일부 언어학자들은 최근 발토-슬라빅을 세 개의 등거리 노드로 분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Eastern Baltic, Western Baltic and Slavic

 

A Proto-Balto-Slavic language is reconstructable by the comparative method, descending from Proto-Indo-European by means of well-defined sound laws, and out of which modern Slavic and Baltic languages descended. One particularly innovative dialect separated from the Balto-Slavic dialect continuum and became ancestral to the Proto-Slavic language, from which all Slavic languages descended.[247]

 

프로토-발토-슬라브어는 잘 정의된 음향 법칙을 이용하여 프로토-인도-유럽어로부터 내려오고, 그 중에서 현대 슬라브어와 발트어들이 내려오면서 비교법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하나의 혁신적인 방언이 Balto-Slavic dialect continuum로부터 분리되었고, 프로토-슬라브 언어의 조상이 되었고, 거기로 부터 모든 슬라브 언어가 유래했다.

 

1. Balts

 

The Balts or Baltic peoples (Lithuanian: baltai, Latvian: balti) are an Indo-European ethno-linguistic group who speak the Baltic languages, a branch of the Indo-European language family, which was originally spoken by tribes living in the area east of the Jutland peninsula in the west and west of Moscow and the Oka and Volga rivers basins in the east. One of the features of Baltic languages is the number of conservative or archaic features retained.[248] Among the Baltic peoples are modern Lithuanians, Latvians (including Latgalians) all Eastern Balts as well as the Old Prussians, Yotvingians and Galindians the Western Balts whose people also survived, but their languages and cultures are now extinct, and are now being assimilated into the Eastern Baltic community.[vague]

 

발트족 또는 발틱 피플은 발트어를 사용하는 인도유럽어의 브랜치로 발틱어를 사용하는 인도유럽 민족-언어 그룹이다. 원래 서부에서는 주틀란트 반도(윌란 반도)의 동쪽 지역, 동부에서는 모스크바 와 오카강과 볼가강 분지의 서쪽에 살고 있던 부족들이 사용하였다. 발틱어의 특징 중 하나는 보수적이거나 남아 있는 고대의 특징의 수이다? 발트족 중에는 현대 리투아니아인, 라트비아인(라트갈리아인 포함)과 같은 동방의 발트인, 그리고 옛 프러시아인, 요트빙인, 갈린디아인과 같은 서부발트인도 있다. 이들도(서부 발트인?) 살아남았지만, 그들의 언어와 문화는 현재 멸종되어 동발트 공동체에 동화되고 있다.

 

2. Slavs

 

The Slavs are an Indo-European ethno-linguistic group living in Central Europe, Eastern Europe, Southeast Europe, North Asia and Central Asia, who speak the Indo-European Slavic languages, and share, to varying degrees, certain cultural traits and historical backgrounds. From the early 6th century they spread to inhabit most of Central and Eastern Europe and Southeast Europe. Slavic groups also ventured as far as Scandinavia, constituting elements amongst the Vikings;[249][note 29] whilst at the other geographic extreme, Slavic mercenaries fighting for the Byzantines and Arabs settled Asia Minor and even as far as Syria.[250] Later, East Slavs (specifically, Russians and Ukrainians) colonized Siberia[251] and Central Asia.[252] Every Slavic ethnicity has emigrated to other parts of the world.[253][254] Over half of Europe's territory is inhabited by Slavic-speaking communities.[255]

 

슬라브족은 중앙유럽, 동유럽, 남동유럽, 북아시아, 중앙아시아에 살고 있는 인도유럽 민족언어주의 집단으로 인도유럽 슬라브어를 구사하며, 다양한 정도, 특정한 문화적 특성과 역사적 배경을 공유하고 있다. 6세기 초부터 그들은 중앙유럽과 동유럽 그리고 남동유럽의 대부분에 거주하기 위해 확산되었다. 슬라브 그룹들은 또한 바이킹들 사이의 요소들을 구성하는 스칸디나비아까지 모험을 했다. 반면에 다른 지리적 극단에서는 비잔틴과 아랍인들을 위해 싸우는 슬라브 용병들이 소 아시아와 심지어 시리아까지 정착했다. 이후 동슬라브족(특히 러시아인과 우크라이나인)이 시베리아와 중앙아시아를 식민지로 삼았다. 모든 슬라브 민족은 세계의 다른 지역으로 이주해 왔다. 유럽 영토의 절반 이상이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공동체가 거주하고 있다.

 

Modern nations and ethnic groups called by the ethnonym Slavs are considerably diverse both genetically and culturally, and relations between them even within the individual ethnic groups themselves are varied, ranging from a sense of connection to mutual feelings of hostility.[256]

 

슬라브족이라고 부르는 현대 국가들과 민족들은 유전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상당히 다양하며, 그들 사이의 관계는, 심지어 개별 민족 집단 자체 내에서조차, 상호간의 적대감정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Present-day Slavic people are classified into East Slavic (chiefly Belarusians, Russians and Ukrainians), West Slavic (chiefly Poles, Czechs, Slovaks, Wends and Sorbs), and South Slavic (chiefly Bosniaks, Bulgarians, Croats, Goranis, Macedonians, Montenegrins, Serbs and Slovenes).[web 22] For a more comprehensive list, see the ethnocultural subdivisions.

 

현대의 슬라브족은 East Slavic (chiefly Belarusians, Russians and Ukrainians), West Slavic (chiefly Poles, Czechs, Slovaks, Wends and Sorbs), and South Slavic (chiefly Bosniaks, Bulgarians, Croats, Goranis, Macedonians, Montenegrins, Serbs and Slovenes)으로 분류된다.

 

cf) Wend(벤트인)/ Sorb(소르브인)/ Goranis(고라인)/ Serb(세르브인)

 

< Balkan languages >

 

1. Thracian and Dacian

 

cf) 트라키아/ 다키아

* 트라키아- 오늘날 트라키아는 불가리아 남부(북트라키아), 그리스 북동부(서트라키아), 터키의 유럽 영토(동트라키아)를 일컫는다

* 다키아- 현재 루마니아, 몰도바와 비슷

 

1) Thracian

 

The Thracian language was the Indo-European language spoken in Southeast Europe by the Thracians, the northern neighbors of the Greeks. Some authors group Thracian and Dacian into a southern Baltic linguistic family.[257] The Thracians inhabited a large area in southeastern Europe,[258] including parts of the ancient provinces of Thrace, Moesia, Macedonia, Dacia, Scythia Minor, Sarmatia, Bithynia, Mysia, Pannonia, and other regions of the Balkans and Anatolia. This area extended over most of the Balkans region, and the Getae north of the Danube as far as beyond the Bug and including Panonia in the west.[259]

 

트라키아어는 그리스인들의 북쪽 이웃인 트라키아인들이 남동유럽에서 사용하는 인도유럽어였다. 일부 저자들은 트라키안과 다키안을 발트 남부 언어학 패밀리로 분류한다. 트라키아인들은 트라스, 모에시아, 마케도니아, 다키아, 스키타이 마이너, 사르마티아, 비티니아, 미시아, 판노니아의 ancient provinces를 포함하는 남동유럽의 넓은 부위와 발칸과 아나톨리아의 다른 지역에 거주했다. 이 지역은 발칸 지역의 대부분과 버그(남부크강) 너머 다뉴브 강 북쪽의 게태 지역으로 확장되었고, 서쪽의 판노니아까지 포함하게 되었다.

 

The origins of the Thracians remain obscure, in the absence of written historical records. Evidence of proto-Thracians in the prehistoric period depends on artifacts of material culture. Leo Klejn identifies proto-Thracians with the multi-cordoned ware culture that was pushed away from Ukraine by the advancing timber grave culture. It is generally proposed that a proto-Thracian people developed from a mixture of indigenous peoples and Indo-Europeans from the time of Proto-Indo-European expansion in the Early Bronze Age[260] when the latter, around 1500 BCE, mixed with indigenous peoples.[261] We speak of proto-Thracians from which during the Iron Age[262] (about 1000 BCE) Dacians and Thracians begin developing.

 

역사 기록이 없는 상태에서, 트라키아 인의 기원은 여전히 불명확하다. 선사시대의 proto-Thracians의 증거는 물질 문화의 유물에 의존한다. Leo Klejntimber grave culture(= srubnaya culture)의 발달에 의해 우크라이나로부터 밀려난 multi-cordoned ware culture를 가진 proto-Thracians을 확인했다. 일반적으로 청동기 초기 프로토-인도-유럽이 팽창할 때부터 원주민과 인도-유럽 인이 혼합된 상태에서 원시-트라키아 인이 발전했다는 것이 제안되는데, 후반기인 기원전 1500년경에 원주민과 혼합되었다고 한다. 우리는 철기 시대(기원전 1000년경) 동안 데이키안과 트라키안들이 발달하기 시작한 proto-Thracians 에 대해 말한다.

 

2) Dacian

 

The Dacians (/ˈdeɪʃənz/; Latin: Daci, Ancient Greek: Δάκοι,[263] Δάοι,[263] Δάκαι[264]) were an Indo-European people, part of or related to the Thracians. Dacians were the ancient inhabitants of Dacia, located in the area in and around the Carpathian Mountains and west of the Black Sea. This area includes the present-day countries of Romania and Moldova, as well as parts of Ukraine,[265] Eastern Serbia, Northern Bulgaria, Slovakia,[266] Hungary and Southern Poland.[265]

 

데이키안족은 인도-유럽 민족으로, 트라키아인의 일부 이거나 이와 관련이 있었다. 데이키안은 카르파티아 산맥 안과 주변, 흑해 서쪽에 위치한 다키아의 고대 거주민이었다. 이 지역은 현재의 루마니아와 몰도바 국가들뿐만 아니라 우크라이나, 동부 세르비아, 북부 불가리아, 슬로바키아, 헝가리, 남부 폴란드의 일부 국가들도 포함한다.

 

The Dacians spoke the Dacian language, believed to have been closely related to Thracian, but were somewhat culturally influenced by the neighbouring Scythians and by the Celtic invaders of the 4th century BCE.[web 23] The Dacians and Getae were always considered as Thracians by the ancients (Dio Cassius, Trogus Pompeius, Appian, Strabo and Pliny the Elder), and were both said to speak the same Thracian language.[267][268]

 

데이키안족은 트라키아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데이키안어를 사용했지만, 이웃한 스키타이인들과 기원전 4세기 켈트족의 침략자들에 의해 다소 문화적으로 영향을 받았다. 데이키안족과 게테족은 고대인(다이오 카시우스, 트로구스 폼페이우스, 아피안, 스트라보, 플리니 장로)에 의해 항상 트라키아인으로 간주되었고, 둘 다 같은 트라키아어를 구사한다고 한다.

 

Evidence of proto-Thracians or proto-Dacians in the prehistoric period depends on the remains of material culture. It is generally proposed that a proto-Dacian or proto-Thracian people developed from a mixture of indigenous peoples and Indo-Europeans from the time of Proto-Indo-European expansion in the Early Bronze Age (3,3003,000 BCE)[260] when the latter, around 1500 BCE, conquered the indigenous peoples.[261] The indigenous people were Danubian farmers, and the invading people of the 3rd millennium BCE were Kurgan warrior-herders from the Ukrainian and Russian steppes.[269]

 

선사시대의 proto-Thracians or proto-Dacians의 증거는 물질 문화의 잔해에 달려 있다. 초기 청동기시대(기원전 3300~3000)에 프로토-인도-유럽이 팽창할 때부터 원주민과 인도-유럽인의 혼합에서 proto-Dacian or proto-Thracian people이 발전하여, 후기인 기원전 1500년경 원주민을 정복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제안되고 있다. 토착민들은 Danubian farmers이었고 기원전 3천년기의 침략민들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스텝으로부터 온 쿠르간 목동들이었다.

 

Indo-Europeanization was complete by the beginning of the Bronze Age. The people of that time are best described as proto-Thracians, which later developed in the Iron Age into Danubian-Carpathian Geto-Dacians as well as Thracians of the eastern Balkan Peninsula.[270]

 

인도-유럽화는 청동기 시대가 시작될 무렵 완성되었다. 당시 사람들은 철기시대에 발칸반도 동부의 트라시안뿐만 아니라 다누비아-카르파티아 게토-다키아인으로 발전한 proto-Thracians으로 가장 잘 묘사된다.

 

2. Illyrian

 

The Illyrians (Ancient Greek: Ἰλλυριοί, Illyrioi; Latin: Illyrii or Illyri) were a group of Indo-European tribes in antiquity, who inhabited part of the western Balkans and the southeastern coasts of the Italian peninsula (Messapia).[272] The territory the Illyrians inhabited came to be known as Illyria to Greek and Roman authors, who identified a territory that corresponds to the Croatia, Bosnia and Herzegovina, Slovenia, Montenegro, part of Serbia and most of Albania, between the Adriatic Sea in the west, the Drava river in the north, the Morava river in the east and the mouth of the Aoos river in the south.[273] The first account of Illyrian peoples comes from the Periplus of Pseudo-Scylax, an ancient Greek text of the middle of the 4th century BCE that describes coastal passages in the Mediterranean.[274]

 

일리리아인은 고대 인도-유럽 부족의 집단으로, 발칸 서부와 이탈리아 반도 남동쪽 해안(메사피아)의 일부에 거주했다. 일리리아인들이 거주하던 영토는 그리스와 로마 작가들에게 일리리아로 알려지게 되었는데, 이들은 서쪽으로 아드리아 해와 북쪽으로 드라바 강, 동쪽으로 모라바 강과 남쪽으로 Aoos river의 입구 사이의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슬로베니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의 일부와 알바니아의 대부분에 해당하는 영토에 해당하는 영토를 구분하였다. 일리리아 민족에 대한 첫 번째 설명은 기원전 4세기 중반에 지중해의 해안 통로를 묘사한 고대 그리스어 문헌인 Periplus of Phyos-Scylax에서 유래한다.

 

These tribes, or at least a number of tribes considered "Illyrians proper", of which only small fragments are attested enough to classify as branches of Indo-European;[275] were probably extinct by the 2nd century CE.[276]

 

이 부족들, 혹은 적어도 많은 부족들이 "Illyrians proper"라고 여겼는데, 그 중 작은 조각들만이 인도유럽의 분파로 분류될 만큼 증명되었다; 아마도 CE 2세기경에는 멸종되었을 것이다

 

The name "Illyrians", as applied by the ancient Greeks to their northern neighbors, may have referred to a broad, ill-defined group of peoples, and it is today unclear to what extent they were linguistically and culturally homogeneous. The Illyrian tribes never collectively regarded themselves as 'Illyrians', and it is unlikely that they used any collective nomenclature for themselves.[277] The name Illyrians seems to be the name applied to a specific Illyrian tribe, which was the first to come in contact with the ancient Greeks during the Bronze Age,[278] causing the name Illyrians to be applied to all people of similar language and customs.[279]

 

고대 그리스인들이 북쪽 이웃에 적용한 것처럼 '일리아인'이라는 명칭은 광범위하고 정의가 잘못된 민족 집단을 지칭했을지 모르며, 오늘날 그들이 언어학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어느 정도 동질적이었는지는 불분명하다. 일리리아 부족은 자신을 집단적으로 '일리리아인'으로 간주한 적이 없으며, 자기 자신을 위해 집단적 명칭을 사용했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 일리리아인이라는 명칭은 특정 일리리아 부족에 적용되는 명칭인 것 같은데, 청동기 시대에 고대 그리스인과 가장 먼저 접촉하면서 일리리아인이라는 명칭이 언어와 관습이 비슷한 모든 사람들에게 적용되게 되었다

 

 

3. Albanian

Main article: Albanian language

 

Albanian (shqip [ʃcip] or gjuha shqipe [ˈɟuha ˈʃcipɛ], meaning Albanian language) is an Indo-European language spoken by approximately 7.4 million people, primarily in Albania, Kosovo, North Macedonia and Greece, but also in other areas of the Balkans in which there is an Albanian population, including Montenegro and Serbia (Presevo Valley). Centuries-old communities speaking Albanian-based dialects can be found scattered in Greece, southern Italy,[280] Sicily, and Ukraine.[281] As a result of a modern diaspora, there are also Albanian speakers elsewhere in those countries and in other parts of the world, including Scandinavia, Switzerland, Germany, Austria and Hungary, United Kingdom, Turkey, Australia, New Zealand, Netherlands, Singapore, Brazil,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알바니아어는 주로 알바니아, 코소보, 북 마케도니아와 그리스에서, 또한 몬테네그로와 세르비아(Presevo Valley). 알바니아 계열 방언이 그리스에서 흩어진 채로 발견되는 Centuries-old communities, 남부 이태리, 시실리, 우크라이나를 포함하는 알바니아 인구가 있는 발칸의 다른 지역에서 약 740만명의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이다. 현대 디아스포라의 결과로, 스칸디나비아, 스위스, 독일, 오스트리아와 헝가리, 영국, 터키, 호주, 뉴질랜드, 네덜란드, 싱가포르, 브라질, 캐나다, 미국을 포함한 다른 나라와 세계의 다른 지역에도 알바니아어 사용자들이 있다.

 

The earliest written document that mentions the Albanian language is a late 13th-century crime report from Dubrovnik. The first audio recording of the Albanian language was made by Norbert Jokl on 4 April 1914 in Vienna.[282]

 

알바니아어를 언급한 가장 초기의 서면 문서는 두브로브니크의 13세기 후반 범죄 보고서다. 알바니아어의 첫 오디오 녹음은 191444일 빈에서 노르베르트 조클에 의해 만들어졌다.

 

< Armenian, Greek and Phrygian >

 

1. Armenian

Main articles: Armenian language and Armenians

 

The Armenian language was first put into writing in 406 or 407AD when a priest known as Mesrop developed an Armenian alphabet.

 

아르메니아어는 메스로프라고 알려진 신부가 아르메니아 문자를 개발했을 때인 서기 406년 또는 407년에 처음 쓰여졌다.

 

There are three views amongst scholars about how speakers of Armenian came to be in what is now Armenia. One is that they came with Phrygians from the west, or with the Mitanni from the east, and took over from the non-Indo-European speaking Urartians, who were previously dominant in this area. Another view is that the Armenian people came to speak an Indo-European language after originally speaking a Caucasian language. The third view is that the ancestor of the Armenian language was already spoken in the area during the time when it was politically dominated first by the Hittites, and later by the Urartians.[283]

 

아르메니아어를 말하는 사람들이 지금의 아르메니아에 있게 된 경위에 대해 학자들 사이에서는 세 가지 견해가 있다. 하나는 그들이 서쪽에서 온 프리기아인이나 동쪽에서 온 미타니와 함께 와서 이전에 이 지역에서 우세한 비인도유럽어 사용자인 우라르티족으로부터 인수했다는 것이다. 또 다른 견해는 아르메니아인들이 원래 코카시언 언어를 사용하다가 인도유럽 언어를 사용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세 번째 견해는 아르메니아어의 조상어가 처음에 히타이트에 의해 후에 우라르티언에 의해 정치적으로 지배되는 동안 이미 사용되어졌다는 것이다.

 

A minority view also suggests that the Indo-European homeland may have been located in the Armenian Highland.[284]

 

소수 견해는 또한 인도-유럽 홈랜드가 아르메니아 고원에 위치했을 수도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2. Hellenic Greek

 

Hellenic is the branch of the Indo-European language family that includes the different varieties of Greek.[286] In traditional classifications, Hellenic consists of Greek alone,[287][288] but some linguists group Greek together with various ancient languages thought to have been closely related or distinguish varieties of Greek that are distinct enough to be considered separate languages.[289][290]

 

헬레닉(Hellenic)은 그리스어의 다양한 여러가지를 포함하는 인도유럽어족의 브랜치다. 전통적인 분류에서 헬레닉은 그리스어로만 구성되지만, 몇몇 언어학자들은 그리스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거나 별개의 언어로 여겨질 만큼 뚜렷한 그리스어의 여러가지를 구별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다양한 고대 언어와 함께 그리스어를 분류한다.

 

The Proto-Greeks, who spoke the predecessor of the Mycenaean language, are mostly placed in the Early Helladic period in Greece (early 3rd millennium BCE; circa 3200 BCE) towards the end of the Neolithic in Southern Europe.[291][292] In the late Neolithic, speakers of this dialect, which would become Proto-Greek, migrated from their homeland northeast of the Black Sea to the Balkans and into the Greek peninsula. The evolution of Proto-Greek could be considered within the context of an early Paleo-Balkan sprachbund that makes it difficult to delineate exact boundaries between individual languages.[293] The characteristically Greek representation of word-initial laryngeals by prothetic vowels is shared, for one, by the Armenian language, which also seems to share some other phonological and morphological peculiarities of Greek; this has led some linguists to propose a hypothetically closer relationship between Greek and Armenian, although evidence remains scant.[294]

 

미케네어의 전신을 말했던 Proto-Greeks은 남유럽 신석기 말기에 초기 그리스 헬라딕 시대(기원전 3천년경기 초, 약 기원전 3200년경)에 주로 배치된다. 후기 신석기 시대에는 프로토-그리스어가 될 이 방언의 화자들이 그들의 홈랜드인 흑해 북동부에서 발칸으로 이동하여 그리스 반도 안으로 이주하였다. 프로토-그리스어의 진화는 개별 언어 사이의 정확한 경계를 기술하기 어렵게 만드는 초기 Palyo-Balkan sprachbund(고대 발칸 제어 언어 동조대)의 맥락 안에서 고려될 수 있다. 특성적으로 그리스어의 초기 후두어를 프로테틱 모음에 의한 표현은 아르메니아 언어에 의해 공유되는데, 이것은 또한 그리스어의 다른 음운론적, 형태학적 특성을 공유하는 것 같다; 이것은 몇몇 언어학자들이 그리스어와 아르메니아어 사이의 더 가까운 관계를 제안하게 만들었는데 근거는 미약하다.

 

3. Phrygian

Main articles: Phrygians and Phrygian language

 

The Phrygians (gr. Φρύγες, Phrúges or Phrýges) were an ancient Indo-European people, who established their kingdom with a capital eventually at Gordium. It is presently unknown whether the Phrygians were actively involved in the collapse of the Hittite capital Hattusa or whether they simply moved into the vacuum left by the collapse of Hittite hegemony after the Late Bronze Age collapse.

 

프리지아인은 고대 인도-유럽 민족으로, 결국 고르디움에서 수도로 그들의 왕국을 세웠다. 프리지아인이 히타이트 수도 하투사의 붕괴에 적극적으로 관여했는지, 청동기 후기 붕괴 이후 히타이트 패권주의가 붕괴하면서 남겨진 진공상태 안으로 단순히 옮겨간 것인지는 지금은 알 수 없다

 

The Phrygian language /ˈfrɪdʒiən/ was the language spoken by the Phrygians in Asia Minor during Classical Antiquity (ca. 8th century BCE to 5th century CE). Phrygian is considered by some linguists to have been closely related to Greek.[295][296] The similarity of some Phrygian words to Greek ones was observed by Plato in his Cratylus (410a). However, Eric P. Hamp suggests that Phrygian was related to Italo-Celtic in a hypothetical "Northwest Indo-European" group.[297]

 

프리지아어는 고전고대(기원전 8-5세기경) 소아시아에서 프리기아인들이 사용한 언어였다. 일부 언어학자들은 프리지아어를 그리스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여긴다. 그리스어와 일부 프리지아어의 유사성은 플라톤이 크라틸루스(410a)에서 관찰한 것이다. 하지만 에릭 P. 햄프는 프리지안이 가상의 "북서부 인도유럽인" 그룹에서 이탈로-셀틱과 관련이 있었다고 암시한다.

 

According to Herodotus, the Phrygians were initially dwelling in the southern Balkans under the name of Bryges (Briges), changing it to Phruges after their final migration to Anatolia, via the Hellespont. Though the migration theory is still defended by many modern historians, most archaeologists have abandoned the migration hypothesis regarding the origin of the Phrygians due to a lack substantial archaeological evidence, with the migration theory resting only on the accounts of Herodotus and Xanthus.[298]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프리지아인들은 초기에는 Bryges (Briges)라는 이름으로 남부 발칸에 거주하고 있었는데, 헬레스폰트를 거쳐 아나톨리아로 최종 이주한 후 프루게스로 바뀌었다. 여전히 많은 현대 역사학자들이 이주 이론을 옹호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고고학자들은 실질적인 고고학적 증거가 부족하여, 이주 이론이 헤로도토스와 크산토스의 설명에만 머물러 있다는 이유로, 프리지아인들의 기원에 관한 이주 가설을 버렸다.

 

From tribal and village beginnings, the state of Phrygia arose in the eighth century BCE with its capital at Gordium. During this period, the Phrygians extended eastward and encroached upon the kingdom of Urartu, the descendants of the Hurrians, a former rival of the Hittites. Meanwhile, the Phrygian Kingdom was overwhelmed by Cimmerian invaders around 690 BCE, then briefly conquered by its neighbour Lydia, before it passed successively into the Persian Empire of Cyrus the Great and the empire of Alexander and his successors, was taken by the Attalids of Pergamon, and eventually became part of the Roman Empire. The last mention of the Phrygian language in literature dates to the fifth century CE and it was likely extinct by the seventh century.[299]

 

부족과 마을의 시초부터, 프리지아 왕국은 기원전 8세기에 수도를 고르디움에 두고 일어났다. 이 기간 동안, 프리지아인들은 동쪽으로 뻗어 히타이트의 전 라이벌이었던 후리아인들의 후손인 우라르투 왕국을 잠식했다. 한편, 기원전 690년경 프리지아 왕국은 Cimmerian invaders에 의해 압도되었다가 이웃 리디아에 의해 잠시 정복되었다가, 연이어 키루스 대왕 페르시아 제국과 알렉산더와 그의 후계자들의 제국으로로 넘어가기 전에 페르가몬의 아탈리드 왕국에 의해 점령되었고, 결국 로마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문학에서 프리지아어에 대한 마지막 언급은 5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7세기에 이르러 소멸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cf) Kingdom of Pergamon

https://en.wikipedia.org/wiki/Kingdom_of_Pergamon

 

 

<< Indo-Iranian migrations >>

 

Indo-Iranian peoples are a grouping of ethnic groups consisting of the Indo-Aryan, Iranian, Dardic and Nuristani peoples; that is, speakers of Indo-Iranian languages, a major branch of the Indo-European language family.

 

인도-이란 민족은 Indo-Aryan, Iranian, Dardic and Nuristani peoples(누리스탄인)으로 구성된 민족 그룹의 집단이다; 즉 인도-이란어의 화자이자 인도유럽어족의 주요 브랜치다.

 

The Proto-Indo-Iranians are commonly identified with the Sintashta culture and the subsequent Andronovo culture within the broader Andronovo horizon, and their homeland with an area of the Eurasian steppe that borders the Ural River on the west, the Tian Shan on the east.

 

Proto-Indo-Iranians은 신타슈타 문화와 더 넓은 안드로보노 지평선을 갖는 그 이후의 안드로노보 문화, 그리고 서쪽의 우랄 강, 동쪽의 톈샨과 경계를 갖는 있는 유라시아 스텝 지역의 홈랜드로 동일시 될 수 있다.

 

The Indo-Iranians interacted with the Bactria-Margiana Culture, also called "BactriaMargiana Archaeological Complex". Proto-Indo-Iranian arose due to this influence.[139] The Indo-Iranians also borrowed their distinctive religious beliefs and practices from this culture.[139]

 

인도-이란인은 또한 "박트리아-마르기아나 고고학 콤플렉스"라고도 불렸던 박트리아-마르기아나 문화와 교류했다. Proto-Indo-Iranian도 이러한 영향으로 생겨났다. 인도-이란인들도 그들의 독특한 종교적 신념과 관행을 이 문화로부터 차용했다

 

The Indo-Iranian migrations took place in two waves.[300][301] The first wave consisted of the Indo-Aryan migration into the Levant and a migration south-eastward of the Vedic people, over the Hindu Kush into northern India.[2] The Indo-Aryans split-off around 18001600 BCE from the Iranians,[49] where-after they were defeated and split into two groups by the Iranians,[302] who dominated the Central Eurasian steppe zone[303] and "chased [the Indo-Aryans] to the extremities of Central Eurasia".[303] Supposedly one group were the Indo-Aryans who founded the Mitanni kingdom around northern Syria;[304] (c. 15001300 BCE) the other group were the Vedic people.[305] Christopher I. Beckwith suggests that the Wusun, an Indo-European Caucasian people of Inner Asia in antiquity, were also of Indo-Aryan origin.[306]

 

인도-이란인의 이동은 두 번의 웨이브로 일어났다. 첫 번째 웨이브는 인도-아리아인의 레반트로의 이주(미탄니를 말함), 그리고 힌두쿠시를 넘어 인도 북부로의 베다인의 남동쪽으로의 이주로 이루어졌다. 인도-아리아인들은 기원전 18001600년경 이란인으로부터 분리되었는데, 그 후 중앙 유라시아 스텝 지대를 지배하고 "인도-아리아인"을 중부 유라시아의 끝자락으로 쫓아낸 이란 사람들에 의해 패배하고 두 그룹으로 갈라졌다. 아마도 한 집단은 시리아 북부에 미타니 왕국을 세운 인도-아리아인일 것이다.(기원전 15001300) 다른 집단은 베다인일 것이다. 크리스토퍼 1세 벡위드는 고대 내아시아의 인도유럽계 백인인 오손도 인도아리아 기원임을 제안했다.

 

The second wave is interpreted as the Iranian wave,[307] and took place in the third stage of the Indo-European migrations[2] from 800 BCE onwards.

 

2의 물결은 이란의 물결로 해석되며 기원전 800년 이후 인도-유럽 이주의 3단계에서 일어났다.

 

 

** 간단 정리

1. Proto-Indo-Iranians은 신타슈타 문화와 더 넓은 안드로보노 지평선을 갖는 그 이후의 안드로노보 문화, 그리고 서쪽의 우랄 강, 동쪽의 톈샨과 경계를 갖는 있는 유라시아 스텝 지역의 홈랜드로 동일시 될 수 있다.

2. 인도-이란인은 박트리아-마르기아나 문화와 교류했다

: 인도-이란인들도 그들의 독특한 종교적 신념과 관행을 이 문화로부터 차용했다

3. 인도-이란인 이동은 두번의 wave가 있었다

1) first wave

* 인도-아리아인의 레반트로의 이주(미탄니) & 힌두쿠시를 넘어 베다인의 남동쪽 이주

* 기원전 1800-1600년경 인도-아리아인은 이란인으로부터 분리

-> 그 이후 중앙 유라시아 스텝의 인도-아리아인은 이란인에 패해 두 그룹으로 나눠졌다

-> 한 집단은 미타니 왕국을 건설(기원전 1500-1300)/ 다른 한 집단은 베다인

2) second wave

* 기원전 800년경 이후 이란인의 이동

 

cf) Indo-Iranians

* Indo-Iranians= Indo-Iranian peoples= Indo-Iranic peoples= Arya= Aryans

* Indo-Iranians-> Iranian peoples and Indo-Aryan peoples

 

 

< Sintashta-Petrovka and Andronovo culture >

 

1. Sintashta-Petrovka culture

 

The Sintashta culture, also known as the Sintashta-Petrovka culture[308] or Sintashta-Arkaim culture,[309] is a Bronze Age archaeological culture of the northern Eurasian steppe on the borders of Eastern Europe and Central Asia, dated to the period 21001800 BCE.[1] It is probably the archaeological manifestation of the Indo-Iranian language group.[310]

 

신타슈타-페트로브카 문화 또는 신타슈타-아카임 문화라고도 알려진 신타슈타 문화는 기원전 2100~1800년 동유럽과 중앙아시아의 경계에 있는 북유라시아 스텝의 청동기 시대의 고고학 문화다. 그것은 아마도 인도-이란 언어 집단의 고고학적 표현일 것이다.

 

The Sintashta culture emerged from the interaction of two antecedent cultures. Its immediate predecessor in the Ural-Tobol steppe was the Poltavka culture, an offshoot of the cattle-herding Yamnaya horizon that moved east into the region between 2800 and 2600 BCE. Several Sintashta towns were built over older Poltavka settlements or close to Poltavka cemeteries, and Poltavka motifs are common on Sintashta pottery. Sintashta material culture also shows the influence of the late Abashevo culture, a collection of Corded Ware settlements in the forest steppe zone north of the Sintashta region that were also predominantly pastoralist.[311] Allentoft et al. (2015) also found close autosomal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peoples of Corded Ware culture and Sintashta culture.[73]

 

신타슈타 문화는 앞선 두 문화의 상호작용에서 생겨났다. 우랄-토볼 스텝에서 그것의 직접적인 전임자는 기원전 2800년에서 2600년 사이에 이 지역 안으로 동쪽으로 이동한 소떼를 기르는 야마나야 지평선의 파생물인 Poltavka culture(폴타브카 문화)였다. 몇몇 신타슈타 마을은 오래된 폴타브카 정착촌이나 폴타브카 묘지 근처에 지어졌으며, 신타슈타 도자기에서는 폴타브카 모티브가 흔하다. 신타슈타 물질문화는 또한 주로 목축민이었던 신타슈타 북부의 숲 스텝지구에 있는 코데드 웨어 정착촌의 집합체인 late Abashevo culture의 영향을 보여준다. 알렌토프트 외 연구진(2015)도 코데드 웨어 문화와 신타슈타 문화권 사람들 사이에서 밀접한 autosomal genetic relationship을 발견했다

 

** 간단 정리(정확하지 않음)

1) 직접적인 영향

Yamnaya culture-> Poltavka culture(2700-2100 BCE)-> Sintashta culture(20501750 BCE)

2) 간접적인 영향(위 보다 보다 북쪽 지역)

Corded Ware culture(2900-2350 BCE)-> FatyanovoBalanovo culture(29002050 BCE)-> Abashevo culture(2300 1850 BCE)-> Sintashta culture(20501750 BCE)

 

The earliest known chariots have been found in Sintashta burials, and the culture is considered a strong candidate for the origin of the technology, which spread throughout the Old World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ncient warfare.[312] Sintashta settlements are also remarkable for the intensity of copper mining and bronze metallurgy carried out there, which is unusual for a steppe culture.[313]

 

가장 일찍 알려진 전차가 신타슈타 매장지에서 발견되었으며, 이 문화는 구세계에 퍼져 고대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이 기술의 기원에 유력한 후보로 꼽힌다. 신타슈타 정착촌은 구리 채굴과 청동 야금의 강도도 뛰어나며, 이는 스텝 문화로는 이례적인 일이다.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identifying the remains of Sintashta sites beneath those of later settlements, the culture was only recently distinguished from the Andronovo culture.[309] It is now recognised as a separate entity forming part of the 'Andronovo horizon'.[308]

 

이후 정착지 아래 신타슈타 유적지를 확인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 문화는 최근에야 안드로노보 문화와 구별되었다. 현재는 '안드로노보 지평선'의 일부를 구성하는 별도 실체로 인식되고 있다.

 

2. Andronovo culture

 

The Andronovo culture is a collection of similar local Bronze Age Indo-Iranian cultures that flourished c. 1800900 BCE in western Siberia and the west Asiatic steppe.[314] It is probably better termed an archaeological complex or archaeological horizon. The name derives from the village of Andronovo (55°53N 55°42E), where in 1914, several graves were discovered, with skeletons in crouched positions, buried with richly decorated pottery. The older Sintashta culture (21001800), formerly included within the Andronovo culture, is now considered separately, but regarded as its predecessor, and accepted as part of the wider Andronovo horizon. At least four sub-cultures of the Andronovo horizon have been distinguished, during which the culture expands towards the south and the east:

 

안드로노보 문화는 기원전 1800900년 서 시베리아와 서아시아 스텝 사이에서 번성했던 비슷한 지역 청동기 시대 인도-이란 문화들의 집합체다. 그것은 아마도 고고학적 콤플렉스 혹은 고고학적 지평선이라고 용어가 더 나을 것이다. 그 이름은 안드로노보 마을에서 유래되었는데, 거기서 웅크린 자세의 유골이 발견되었으며, 풍성하게 장식된 도자기도 함께 묻혀 있었다. 이전의 안드로노보 문화권 내에 포함되었던 더 오래된 신타시타 문화(21001800)는 현재는 별도로 고려되고, 그 전신으로 간주되어, 보다 넓은 안드로노보 지평선의 일부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안드로노보 지평선의 하위 문화는 적어도 4가지 서브 컬쳐로 구분되었고, 그 동안 문화는 남쪽과 동쪽을 향해 확장된다.

 

1) Sintashta-Petrovka-Arkaim (Southern Urals, northern Kazakhstan, 22001600 BCE)

* the Sintashta fortification of ca. 1800 BCE in Chelyabinsk Oblast

* the Petrovka settlement fortified settlement in Kazakhstan

* the nearby Arkaim settlement dated to the 17th century

 

2) Alakul (18001400 BCE)[16][315] between Oxus and Jaxartes, Kyzylkum desert

* Alekseyevka (13001100 BCE "final Bronze") in eastern Kazakhstan, contacts with Namazga VI in Turkmenia

* Ingala Valley in the south of the Tyumen Oblast

 

3) Fedorovo (19001400 BCE)[15] in southern Siberia (earliest evidence of cremation and fire cult)[316]

* Beshkent-Vakhsh (1000800 BCE)

 

cf) Andronovo culture에 들어가 보면 시대순으로 나온다

https://en.wikipedia.org/wiki/Andronovo_culture

 

1) Fëdorovo (19001400 BC)[7] in southern Siberia (earliest evidence of cremation and fire cult[8]) 시베리아 남부에 위치

 

2) Alakul (18001500 BC)[9] between Oxus (today Amu Darya), and Jaxartes, Kyzylkum desert 아무 다리야, 시리 다리야, 키질쿰 사막 사이에 위치

 

3) Eastern Fedorovo (17501500 BC)[10] in Tian Shan mountains (Northwestern Xinjiang, China), southeastern Kazakhstan, eastern Kyrgyzstan

톈산 산맥, 카자흐스탄 남동부, 키르기스탄 동부

 

4) Alekseyevka (12001000 BC)[11] "final Bronze Age phase" in eastern Kazakhstan, contacts with Namazga VI in Turkmenia

카자흐스탄 동부

 

 

The geographical extent of the culture is vast and difficult to delineate exactly. On its western fringes, it overlaps with the approximately contemporaneous, but distinct, Srubna culture in the Volga-Ural interfluvial. To the east, it reaches into the Minusinsk depression, with some sites as far west as the southern Ural Mountains,[317] overlapping with the area of the earlier Afanasevo culture.[318] Additional sites are scattered as far south as the Koppet Dag (Turkmenistan), the Pamir (Tajikistan) and the Tian Shan (Kyrgyzstan). The northern boundary vaguely corresponds to the beginning of the Taiga.[317] In the Volga basin, interaction with the Srubna culture was the most intense and prolonged, and Federovo style pottery is found as far west as Volgograd.

 

그 문화의 지리적 범위는 방대하고 정확하게 묘사하기 어렵다. 서부의 가장자리는 the Volga-Ural interfluvial(볼가강과 우랄강 사이)에서 대략 동시대적이지만 뚜렷한 Srubna culture와 겹친다. 동쪽으로는 미누신스크 분지에 이르는데, 어떤 지역은 더 이른 아프나세보 문화의 영역과 겹치면서 남부 우랄 산맥만큼 서쪽 멀리 떨어진 곳도 있다? 코페트 다그(투르크메니스탄과 이란 사이에 위치), 파미르(타지키스탄), 톈산(키르기스스탄)까지 남쪽으로 추가 유적지가 산재해 있다. 북쪽 경계는 애매하게 타이가의 시작과 일치한다. 볼가 분지에서는 Srubna culture와의 교류가 가장 강렬하고 길었으며, Federovo style 도자기는 볼고그라드만큼 서쪽 멀리까지 발견된다.

 

Most researchers associate the Andronovo horizon with early Indo-Iranian languages, though it may have overlapped the early Uralic-speaking area at its northern fringe. According to Narasimhan et al. (2018), the expansion of the Andronovo culture towards the BMAC took place via the Inner Asia Mountain Corridor.[14]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안드로노보 지평선을 인도-이란 초기 언어와 연관 짓고 있지만 북부 가장자리의 초기 우랄어 사용 지역과 겹쳤을 수 있다. 나라심한 외 연구진(2018)에 따르면 안드로노보 문화가 BMAC로 확장된 것은 Inner Asia Mountain Corridor(알타이 산맥에서 힌두쿠시 사이의 교역로)를 통해 이뤄졌다.

 

 

3. Bactria-Margiana Culture

 

The Bactria-Margiana Culture, also called "Bactria-Margiana Archaeological Complex" (BMAC), was a non-Indo-European culture which influenced the Indo-European groups of the second stage of the Indo-European migrations.[139] It was centered in what is nowadays northwestern Afghanistan and southern Turkmenistan,[139] and had an elaborate trade-network reachings as far as the Indus civilisation, the Iranian plateau, and the Persian Gulf.[319] Finds within BMAC sites include an Elamite-type cylinder seal and a Harappan seal stamped with an elephant and Indus script found at Gonur-depe.[320]

 

박트리아-마르기아나 문화 혹은 박트리아-마르기아나 고고학적 컴플렉스는 인도-유럽 이주 2단계의 인도-유럽 그룹에 영향을 준 비인도-유럽 문화였다. 그것은 오늘날 아프가니스탄 북서부와 남부 투르크메니스탄이 중심이었으며 인더스 문명, 이란 고원, 페르시아 만까지 멀리 정교한 무역망이 있었다. BMAC 사이트 내 발견물에는 엘라마이트형 실린더 씰과 코끼리와 고누르데페(투르크메니스탄에 위치)에서 발견된 인더스 문자로 도장을 찍은 하라판 씰이 포함된다.

 

Proto-Indo-Iranian arose due to this BMAC-influence.[139] The Indo-Iranians also borrowed their distinctive religious beliefs and practices from this culture.[139] According to Anthony, the Old Indic religion probably emerged among Indo-European immigrants in the contact zone between the Zeravshan River (present-day Uzbekistan) and (present-day) Iran.[321] It was "a syncretic mixture of old Central Asian and new Indo-European elements",[321] which borrowed "distinctive religious beliefs and practices"[139] from the BactriaMargiana Culture.[139] At least 383 non-Indo-European words were borrowed from this culture, including the god Indra and the ritual drink Soma.[322]

 

프로토-인도-이란인은 이 BMAC-영향으로 인해 생겨났다. 인도-이란인들은 또한 그들의 독특한 종교적 신념과 관행을 이 문화로부터 차용했다. 앤서니에 따르면, Old Indic religion은 아마도 제라브산 강(현재의 우즈베키스탄/ 아무 다리야 강의 지류)(현재의) 이란 사이의 접경지대에서 인도유럽 이민자들 사이에서 생겨났을 것이다. 그것은 박트리아-마르기아나 문화에서 '간결한 종교적 신념과 실천'을 차용한 '구 중앙아시아와 새로운 인도-유럽 요소들의 혼합주의의 혼합체'였다. 인드라 신과 소마 의식 음용을 포함한 적어도 383개의 비인도유럽 단어들이 이 문화에서 차용되었다.

 

< Indo-Aryan migrations >

 

1. Syria: Mitanni

 

Mitanni (Hittite cuneiform KURURUMi-ta-an-ni), also Mittani (Mi-it-ta-ni) or Hanigalbat (Assyrian Hanigalbat, Khanigalbat cuneiform Ḫa-ni-gal-bat) or Naharin in ancient Egyptian texts was a Hurrian (non-Indo-European)-speaking state in northern Syria and south-east Anatolia from c. 15001300 BCE. Founded by an Indo-Aryan ruling class governing a predominantly Hurrian population, Mitanni came to be a regional power after the Hittite destruction of Amorite[323] Babylon and a series of ineffectual Assyrian kings created a power vacuum in Mesopotamia.

 

Mitanni는 시리아 북부와 아나톨리아 남동부에서 기원전 1500-1300년경 후르리어(비인도어)를 말하는 사람들의 국가였다. 후리언 인구를 지배하는 인도-아리아 지배계급이 세운 미타니는 히타이트가 Amorite Babylon을 파괴하고 일련의 무능한 아시리아 왕들이 메소포타미아에 권력 공백을 만든 후 지역 강국이 되었다.

 

At the beginning of its history, Mitanni's major rival was Egypt under the Thutmosids. However, with the ascent of the Hittite empire, Mitanni and Egypt made an alliance to protect their mutual interests from the threat of Hittite domination. At the height of its power, during the 14th century BCE, Mitanni had outposts centered around its capital, Washukanni, whose location has been determined by archaeologists to be on the headwaters of the Khabur River. Eventually, Mitanni succumbed to Hittite and later Assyrian attacks, and was reduced to the status of a province of the Middle Assyrian Empire.

 

역사의 시작에 미타니의 주요 라이벌은 투트모시드 휘하의 이집트였다. 그러나 히타이트 제국이 등극하면서 미타니와 이집트는 히타이트 지배의 위협으로부터 상호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동맹을 맺었다. 그 권력의 정점에 있던 기원전 14세기 미타니는 수도 와슈칸니를 중심으로 한 전초기지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 전초기지는 고고학자들에 의해 하부르 강의 상류에 있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결국 미타니는 히타이트와 후에 아시리아군의 공격에 굴복하여 중 아시리아 제국의 한 주로 전락하였다.

 

Their sphere of influence is shown in Hurrian place names, personal names and the spread through Syria and the Levant of a distinct pottery type.

 

그들의 세력권은 후리아식 지명, 개인 이름, 시리아와 레반트를 통해 퍼져나가는 독특한 도자기의 형태에 나타나 있다.

 

2. India: Indo-Aryans

 

Spread of Vedic culture

 

The research on the Indo-Aryan migrations began with the study of the Rig Veda in the mid-19th century by Max Muller, and gradually evolved from a theory of a large scale invasion of a racially and technologically superior people to being a slow diffusion of small numbers of nomadic people that had a disproportionate societal impact on a large urban population. Contemporary claims of Indo-Aryan migrations are drawn from linguistic,[324] archaeological, literary and cultural sources.

 

인도-아리아 이동에 관한 연구는 맥스 뮬러에 의한 19세기 중엽 리그 베다의 연구로 시작되었고, 인종적으로나 기술적으로 우수한 민족에 대한 대규모 침략설에서 large urban population에 불균형적인 사회적 영향을 미친 소수의 유목민족의 느린 확산설로 진화되었다. 인도-아리안의 이동에 관한 현대의 주장은 언어학적, 고고학적, 문학적, 문화적 소스에서 도출된다.

 

The Indo-Aryan migrations involved a number of tribes, who may have infiltrated northern India in series of "waves" of migration. Archaeological cultures identified with phases of Indo-Aryan culture include the Ochre Coloured Pottery culture, the Gandhara Grave culture, the Black and red ware culture and the Painted Grey Ware culture.[325]

 

인도-아리아 이주에는 여러 부족이 참여했는데, 이들은 일련의 이주 'waves'으로 인도 북부에 침입했을 것이다. 인도-아리안 문화의 단계와 함께 확인된 고고학적 문화로는 the Ochre Coloured Pottery culture, the Gandhara Grave culture(= Swat), the Black and red ware culture and the Painted Grey Ware culture가 있다.

 

Parpola postulates a first wave of immigration from as early as 1900 BCE, corresponding to the Cemetery H culture and the Copper Hoard Culture, c.q. Ochre Coloured Pottery culture, and an immigration to the Punjab ca. 17001400 BCE.[301][326] According to Kochhar there were three waves of Indo-Aryan immigration that occurred after the mature Harappan phase:[327]

 

파르폴라는 기원전 1900년처럼 이른 시기부터 the Cemetery H culture and the Copper Hoard Culture, c.q. Ochre Coloured Pottery culture에 상응하는 1차 이동의 파도, 그리고 기원전 1700-1400년경의 펀자브로의 이주를 상정했다. 코흐하르에 따르면, mature Harappan phase 이후 발생한 인도-아리아 이민의 세 번의 웨이브가 있다.

 

1) the "Murghamu" (Bactria-Margiana Culture) related people who entered Balochistan at Pirak, Mehrgarh south cemetery, and other places, and later merged with the post-urban Harappans during the late Harappans Jhukar phase (20001800 BCE);

 

피라크, 메르가르 남부 묘지 등에서 발로치스탄에 입성했다가 나중에 late Harappans Jhukar phase (20001800 BCE) post-urban Harappans과 함께 합쳐진 사람과 (박트리아-마르기아나 문화) 관련된 "Murghamu"

 

2) the Swat IV that co-founded the Harappan Cemetery H phase in Punjab (20001800 BCE);

 

펀자브(기원전 20001800)에서 Harappan Cemetery H phase를 공동 설립한 Swat IV

 

3) and the Rigvedic Indo-Aryans of Swat V that later absorbed the Cemetery H people and gave rise to the Painted Grey Ware culture (PGW) (to 1400 BCE).

 

후에 Cemetery H people을 흡수하고 Painted Grey Ware culture (PGW) (to 1400 BCE)를 불러 일으킨 Swat V 의 리그베딕 인도-아리아인들

 

The Vedic Indo-Aryans started to migrate into northwestern India around 1500 BCE, as a slow diffusion during the Late Harappan period, establishing the Vedic religion during the Vedic period (c. 1500500 BCE). The associated culture was initially a tribal, pastoral society centred in the northwestern parts of the Indian subcontinent; it spread after 1200 BCE to the Ganges Plain, as it was shaped by increasing settled agriculture, a hierarchy of four social classes, and the emergence of monarchical, state-level polities.[328][329]

 

베딕 인도-아리아인들은 기원전 1500년경에 인도 북서부 지역으로 이주하기 시작했는데, Late Harappan period에는 서서히 확산되었고 베다 시대(기원전 1500500)에는 베딕 종교가 확립되었다. 관련 문화는 초기에는 인도 아대륙의 북서부를 중심으로 한 부족적 유목적 사회였다. 기원전 1200년 이후 갠지스 평원으로 확산되었는데, 이는 정착 농업, 4개 사회 계층의 계층 구조, 그리고 군주적, 국가 차원의 정치의 출현에 의해 형성되었다.

 

The end of the Vedic period witnessed the rise of large, urbanized states as well as of shramana movements (including Jainism and Buddhism) which opposed and challenged the expanding Vedic orthodoxy.[330] Around the beginning of the Common Era, the Vedic tradition formed one of the main constituents of the so-called "Hindu synthesis"[331]

 

베다 시대의 말기(기원전 500년경?)에는 대규모의 도시화된 국가들(십육대국)뿐만 아니라 확대되는 베딕 정통성에 반대하고 도전하는 슈라마나 운동(자이나교와 불교 포함)의 증가를 목격했다. 서력 기원의 시작될 무렵 베딕 전통은 이른바 "Hindu synthesis"(= Hinduism)의 주성분 중 하나를 형성하였다.

 

3. Inner Asia: Wusun

 

According to Christopher I. Beckwith the Wusun, an Indo-European Caucasian people of Inner Asia in antiquity, were also of Indo-Aryan origin.[306] From the Chinese term Wusun, Beckwith reconstructs the Old Chinese *âswin, which he compares to the Old Indo-Aryan aśvin "the horsemen", the name of the Rigvedic twin equestrian gods.[306] Beckwith suggests that the Wusun were an eastern remnant of the Indo-Aryans, who had been suddenly pushed to the extremities of the Eurasian Steppe by the Iranian peoples in the 2nd millennium BCE.[332]

 

크리스토퍼 1세 베크위드에 따르면 고대 내아시아의 인도유럽 코카시언인 오손도 인도아리아 출신이었다. 베크위드는 중국 용어인 오손에서 옛 중국어 *swin을 재구성하는데, 그는 이것을 리그베딕 쌍둥이 승마신의 이름인 Old Indo-Aryan aśvin "the horsemen“에 비유한다. 베크위드는 오손이 기원전 2천년기 이란 민족에 의해 갑자기 유라시아 스텝의 끝자락에 밀려난 인도-아리아인의 동부 잔당이었다고 제안한다.

 

The Wusun are first mentioned by Chinese sources as vassals in the Tarim Basin of the Yuezhi,[333] another Indo-European Caucasian people of possible Tocharian stock.[43][334] Around 175 BCE, the Yuezhi were utterly defeated by the Xiongnu, also former vassals of the Yuezhi.[334][335] The Yuezhi subsequently attacked the Wusun and killed their king (Kunmo Chinese: 昆彌 or Kunmi Chinese: 昆莫) Nandoumi (Chinese: 難兜靡), capturing the Ili Valley from the Saka (Scythians) shortly afterwards.[335] In return the Wusun settled in the former territories of the Yuezhi as vassals of the Xiongnu.[335][336]

 

오손은 중국 소식통에 의해 아마도 토카리안 계통의 또 다른 인도-유럽계 백인인 월지의 타림 분지에 있는 속국으로 처음 언급되고 있다. 기원전 175년경, 월지는 역시 이전에 월지의 속국이었던 흉노에게 완패했다. 이어 월지는 오손을 공격하여 그들의 왕 난두미(중국어: 昆兜靡)를 살해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사카(Scythians)로부터 일리계곡을 점유했다. 차례로 오순은 흉노의 속국으로서 월지의 이전 영토에 정착했다.

 

The son of Nandoumi was adopted by the Xiongnu king and made leader of the Wusun.[336] Around 130 BCE he attacked and utterly defeated the Yuezhi, settling the Wusun in the Ili Valley.[336]

 

난두미의 아들은 흉노 왕에게 입양되어 오순의 지도자가 되었다. 기원전 130년경에 월지를 대패시키고, 일리 계곡에 오손을 정착시켰다.

 

After the Yuezhi were defeated by the Xiongnu, in the 2nd century BCE, a small group, known as the Little Yuezhi, fled to the south, while the majority migrated west to the Ili Valley, where they displaced the Sakas (Scythians). Driven from the Ili Valley shortly afterwards by the Wusun, the Yuezhi migrated to Sogdia and then Bactria, where they are often identified with the Tokhárioi (Τοχάριοι) and Asioi of Classical sources. They then expanded into northern South Asia, where one branch of the Yuezhi founded the Kushan Empire. The Kushan empire stretched from Turfan in the Tarim Basin to Pataliputra on the Gangetic plain at its greatest extent,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Silk Road and the transmission of Buddhism to China.

 

기원전 2세기경 월지가 흉노에게 패한 후 소월지로 알려진 작은 그룹은 남쪽으로 도망쳤고, 대다수가 일리계곡으로 서쪽으로 이주하여 거기서 사카스(스키타이인)를 대체했다. 오손에 의해 얼마 지나지 않아 일리계곡에서 쫓겨난 월지는 소그디아와 그 다음 박트리아로 이주했는데, 그곳에서 흔히 고전적 소스의 토하리오이(τχάρι)와 아시오이와 동일시된다. 그 후 그들은 남아시아 북부로 확대되어, 월지의 한 브랜치가 쿠샨 제국을 세웠다. 쿠샨 제국은 타림 분지의 투루판에서 갠지스 평원의 파탈리푸트라까지 그 최대 범위로 뻗어나갔고, 실크로드의 발전과 불교가 중국에 전파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Soon after 130 BCE the Wusun became independent of the Xiongnu, becoming trusted vassals of the Han Dynasty and powerful force in the region for centuries.[336] With the emerging steppe federations of the Rouran, the Wusun migrated into the Pamir Mountains in the 5th century CE.[335] They are last mentioned in 938 when a Wusun chieftain paid tribute to the Liao dynasty.[335]

 

기원전 130년 직후 오순은 흉노로부터 독립하여 한나라의 신임을 받는 속국이 되어 수세기 동안 이 지역의 강력한 세력이 되었다. 유연의 스텝 연합이 부상하면서 오순은 5세기에 파미르 산맥으로 이주하였다. 그들은 오순의 지도자가 요 왕조에게 조공을 바친 938년에 마지막으로 언급이 되었다.

 

** 오손 간단 정리

* 처음에는 월지 근처 간쑤에 거주

-> 기원전 175년경 오손은 월지에 패배하고 흉노의 속국이 되어 간쑤에 재정착

-> 기원전 130년 오손은 월지를 패퇴시키고 일리 계곡으로 이주 & 한나라의 속국이 된다

-> 서기 5세기경 유연에 밀려 파미르 산맥으로 이주

-> 아마도 later Hephthalites에 흡수 되었을 것이다

 

4. Mesopotamia Kassites

 

The Kassite language was not Indo-European. However, the appearance of the Kassites in Mesopotamia in the 18th century BCE has been connected to the contemporary Indo-European expansion into the region at the time.[337][web 24][338]

 

카사이트어는 인도유럽어가 아니었다. 그러나 기원전 18세기 메소포타미아에 카사이트가 출현한 것은 당시 인도유럽인이 이 지역으로 확장된 것과 관련이 있다.

 

The Kassites gained control of Babylonia after the Hittite sack of the city in 1595 BCE (i.e. 1531 BCE per the short chronology), and established a dynasty based in Dur-Kurigalzu.[web 25][web 26][web 27] The Kassites were members of a small military aristocracy but were efficient rulers and not locally unpopular.[web 25] The horse, which the Kassites worshipped, first came into use in Babylonia at this time.[web 25] The Kassites were polytheistic, and the name of some 30 gods are known.[web 27]

 

카사이트는 기원전 1595(짧은 연대기 기준 기원전 1531)에 그 도시의 히타이트 약탈 이후 바빌로니아를 장악하고 두르쿠리갈즈에 근거지를 둔 왕조를 세웠다. Kassites는 작은 군대의 귀족들이었지만 효율적인 통치자였고 지역적으로 평판이 좋지 않지는 않았었다. 카사이트가 숭배하던 말은 이 시기에 바빌로니아에서 처음 쓰이게 되었다. Kassites는 다신교였고, 30여 명의 신들의 이름이 알려져 있다.

 

The Kassite language has not been classified.[web 27] Genetic relations of the Kassite language are unclear, although it is generally agreed that it was not Semitic; relation with Elamite is doubtful. Relationship with or membership in the Hurro-Urartian family has been suggested,[339] being possibly related to it,[339] based on a number of words. However, several Kassite leaders bore Indo-European names,[web 28] and the Kassites worshipped several Indo-Aryan gods,[340][341] suggesting that the Kassites were under significant Indo-European influence.[340][341] The reign of the Kassites laid the essential groundwork for the development of subsequent Babylonian culture.[web 27]

 

카사이트의 언어는 분류되지 않았다. 카사이트 언어의 유전적 관계는 분명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셈어가 아니라는 것은 동의되어 있다. 엘람어와의 관계는 의심스럽다. Hurro-Urartian family(후르리우라르투어족)과의 관계나 멤버쉽은 여러 단어에 근거하여 그것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몇몇 카사이트 지도자들은 인도유럽의 이름을 갖고 있었고, 카사이트는 여러 인도아리아 신들을 숭배하여 카사이트가 인도-유럽의 상당한 영향력을 받고 있음을 암시했다. 카사이트의 통치는 이어지는 바빌로니아 문화의 발전을 위한 필수적인 토대를 마련하였다.

 

< Iranians >

 

1. Iranian plateau

 

The Iranian peoples[note 30] (also known as Iranic peoples) are an Indo-European ethno-linguistic group that comprise the speakers of Iranian languages.[342] Their historical areas of settlement were on the Iranian plateau (mainly Iran, Azerbaijan and Afghanistan) and certain neighbouring areas of Asia (such as parts of the Caucasus, Eastern Turkey, Northeast Syria, Uzbekistan, Tajikistan, Bahrain, Oman, northern Iraq, Northwestern and Western Pakistan) reflecting changing geopolitical range of the Persian empires and the Iranian history.[343][344]

 

이란 민족은 이란어 화자를 구성하는 인도-유럽 민족-언어학적 그룹이다. 그들의 역사적 정착 지역은 페르시아 제국과 이란 역사의 변화하는 지정학적 범위에 따라 이란 고원(주로 이란, 아제르바이잔, 아프가니스탄)과 아시아의 특정 인접 지역(카프카스, 동 터키, 북동 시리아,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바레인, 오만, 북부 이라크, 북서쪽과 서쪽 파키스탄 등)이었다.

 

The Medes, Parthians and Persians begin to appear on the western Iranian plateau from c. 800 BCE, after which they remained under Assyrian rule for several centuries, as it was with the rest of the peoples in the Near East. The Achaemenids replaced Median rule from 559 BCE. Around the first millennium CE, the Kambojas, the Pashtuns and the Baloch began to settle on the eastern edge of the Iranian plateau, on the mountainous frontier of northwestern and western Pakistan, displacing the earlier Indo-Aryans from the area.

 

메데스, 파르티아, 페르시아인들은 기원전 800년경부터 서부 이란 고원에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그 후 그들은 근동의 나머지 민족들과 마찬가지로 몇 세기 동안 아시리아 통치하에 있었다. 아케메니드는 기원전 559년부터 메디아의 통치를 대체했다. 서기 제1천년기를 전후하여 캄보자족, 파슈툰인, 발루치족은 북서쪽과 서쪽 파키스탄의 산악 변경의 이란 고원의 동쪽 가장자리에 정착하기 시작했고, 이 지역에서 더 이른 인도-아리아인들을 대체했다.

 

Their current distribution spreads across the Iranian plateau, and stretches from the Caucasus in the north to the Persian Gulf in the south, and from the Indus River in the east to eastern Turkey in the west a region that is sometimes called the "Iranian cultural continent", or Greater Iran by some scholars, and represents the extent of the Iranian languages and significant influence of the Iranian peoples, through the geopolitical reach of the Iranian empire.[345]

 

그들의 현재 분포는 이란 고원을 가로질러 퍼져 있으며, 북쪽의 코카서스로부터 남쪽의 페르시아만까지, 동쪽의 인더스 강으로부터 서쪽의 터키 동부에 이르기까지 뻗어나가고 있는데, 이 지역은 일부 학자들에 의해 "Iranian cultural continent", or Greater Iran 으로 불리기도 하는 지역이며, 이란 제국의 지정학적 범위를 통해 이란어의 정도와 이란인의 중대한 영향력을 보여준다.

 

The Iranians comprise the present day Persians, Lurs, Ossetians, Kurds, Pashtuns, Balochs, Tajiks and their sub-groups of the historic Medes, Massagetaes, Sarmatians, Scythians, Parthians, Alans, Bactrians, Soghdians and other people of Central Asia, the Caucasus and the Iranian plateau. Another possible group are the Cimmerians who are mostly supposed to have been related to either Iranian or Thracian speaking groups, or at least to have been ruled by an Iranian elite.

 

이란인은 오늘날 Persians, Lurs, Ossetians(오세트인), Kurds(쿠르드족), Pashtuns(파슈툰인), Balochs(발루치족), Tajiks(타지크인)historic Medes, Massagetaes, Sarmatians, Scythians, Parthians, Alans, Bactrians, Soghdians의 서브 그룹, 그리고 중앙 아시아, 코카서스, 이란 고원의 다른 민족들이다. 또 다른 가능한 집단은 대부분 이란어나 트라키아어를 사용하는 그룹과 관련이 있거나 적어도 이란 엘리트들에 의해 통치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시메르인(킴메르인)이다.

 

2. Scythians

 

The first Iranians to reach the Black Sea may have been the Cimmerians in the 8th century BCE, although their linguistic affiliation is uncertain. They were followed by the Scythians, who would dominate the area, at their height, from the Carpathian Mountains in the west, to the easternmost fringes of Central Asia in the east, including the Indo-Scythian Kingdom in India. For most of their existence, they were based in what is modern-day Ukraine and southern European Russia.

 

흑해에 도달한 최초의 이란인들은 비록 언어적 연관성은 불확실하지만 기원전 8세기에 킴메르인이었을 것이다. 절정일 때 서쪽의 카르파티아 산맥에서부터 인도의 Indo-Scythian Kingdom을 포함한 동쪽의 중앙아시아 최동단에 이르기까지 이 지역을 지배하게 되는 스키타이가 뒤를 따랐다. 그들의 존재의 대부분은 현대 우크라이나와 남유럽 러시아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Sarmatian tribes, of whom the best known are the Roxolani (Rhoxolani), Iazyges (Jazyges) and the Alani (Alans), followed the Scythians westwards into Europe in the late centuries BCE and the 1st and 2nd centuries of the Common Era (The Age of Migrations). The populous Sarmatian tribe of the Massagetae, dwelling near the Caspian Sea, were known to the early rulers of Persia in the Achaemenid Period. In the east, the Saka occupied several areas in Xinjiang, from Khotan to Tumshuq.

 

Roxolani (Rhoxolani), Iazyges (Jazyges) and the Alani (Alans)으로 잘 알려진 Sarmatian tribes는 기원전 수세기 말엽과 서력 1-2세기(The Age of Migration)에 스키타이족을 따라 유럽으로 서쪽으로 들어갔다. 카스피해 부근에 거주하고 있는 마사게테의 인구가 많은 사르마티아 부족은 아케메드 시대에 페르시아의 초기 통치자들로 알려져 있었다. 동쪽에서는 사카가 호탄으로부터 툼슈크(투무수커)까지 신장의 여러 지역을 점령했다.

 

cf) Sarmatian tribes

1) Roxolani (Rhoxolani), Iazyges (Jazyges) and the Alani (Alans)

 

https://en.wikipedia.org/wiki/Roxolani#/media/File:Roman_Empire_125.png

2) Massagetae

 

https://en.wikipedia.org/wiki/Massagetae#/media/File:Asia_323bc.jpg

 

3) Sarmatians-> Alans-> Ossetians(오세트인)

 

 

3. Decline in central Asia

 

In Central Asia, the Turkic languages have marginalized Iranian languages as a result of the Turkic expansion of the early centuries CE. In Eastern Europe, Slavic and Germanic peoples assimilated and absorbed the native Iranian languages (Scythian and Sarmatian) of the region. Extant major Iranian languages are Persian, Pashto, Kurdish, and Balochi, besides numerous smaller ones.

 

중앙아시아에서 투르크어는 서기 초기 수 세기의 투르크어 확장의 결과로 이란어를 쳐지게 했다. 동유럽에서는 슬라브 민족과 게르만 민족이 이 지역의 토착 이란어(Scythian and Sarmatian)를 동화하여 흡수하였다. 현존하는 이란의 주요 언어는 수많은 작은 언어 외에도 페르시아어, 파슈토어, 쿠르드어, 발로치어 등이 있다.

반응형

댓글